본문으로 이동

호미곶

(장기곶에서 넘어옴)

새천년기념관에서 바라본 해맞이광장 전경

호미곶(虎尾串, Homigot) 또는 동외곶(冬外串) 또는 장기곶(長鬐串)은 포항시의 동쪽, 장기반도의 북쪽 끝에 있는 이다. 원래 생김새가 말갈기와 같다 하여 장기곶으로 불렸는데, 1918년 일제강점기 때 일본식 표현인 갑(岬)으로 고쳐 장기갑으로 불리다가 1995년에 장기곶으로 변경하였다. 2001년 12월부터 일본식 표현을 뺀 호미곶으로 변경하였다.[1]에 의거 포항시 남구 대보면 대보리 소재 장기곶이 호미곶으로 지명 변경됨에 다라 지정문화재인 "장기곶등대"를 지도표기와 동일한 명칭인 "호미곶등대"로 변경한다. 해돋이 명소로 유명하다.

어원[편집]

호미곶은 16세기 조선 명종 때 풍수지리학자인 남사고(南師古)가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한반도는 백두산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형상으로 기술하였고, 백두산은 호랑이 코, 호미곶은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 일명 장기곶(長鬐串), 동외곶(冬外串)이라고도 한다.

지질[편집]

호미곶 해안단구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의 지질유산으로 약 90만 년 전에 만들어졌다. 원래 파식대였던 해안단구는 지면이 점차 융기하여 현재 농경지로 이용된다. 호미곶 일대 해안에는 바위가 노출되어 있는데 이는 지질학적으로 신생대 고제3기의 강사리 각력암에 해당한다. 이 각력암은 내부에 다른 암석의 조각들을 포함하고 있다.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국립지리원고시제2001-355호(지명제정,변경및폐지), 제14994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02. 1. 5. / 17 페이지 / 1.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