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체리 피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체리피킹에서 넘어옴)

체리 피킹(cherry picking), 증거 은닉의 오류 또는 불완전한 증거의 오류는 모순될 만한 중요한 비율과 관련이 있는 개별 사례, 특정 상황과 관련된 해당 사례나 해당 입장과 상충될 수 있는 자료의 상당 부분을 무시하고 본인의 논증에 유리한 사례만 선택하는 논리 오류이다. 이것의 가장 흔한 예는 확증편향이다. 용어는 배경은 체리를 수확하는 과정에서 왔다. 수확자는 오직 가장 잘 익고 싱싱한 과일을 선택할 것이다. 선택된 과일을 보는 관찰자는 그러므로 과일의 대부분, 혹은 모두가 좋은 상태라고 결론 지을 것이다. 이는 관찰자가 나무에 있는 과일에 대해서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한다.[1]

체리피킹은 많은 논리적 오류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테면,"일화적 증거"나, 증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 거짓 딜레마 등을 들 수 있다. 체리피킹은 연구나 조사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게 하는 데이터를 취사선택하거나 그 데이터군을 지칭하는 데도 쓰인다. 그로인한 결과는 사실과 다르거나 혼동될 수도 있다.[2]

통계에서[편집]

정치에서[편집]

예컨대 “정치인의 세습은 좋은가 나쁜가”라는 명제가 있을 때, 전 세계에 무수한 세습 정치인 중 평가가 좋은 자만 또는 나쁜 자만 선택해서 “A도 B도 C도 세습이니까 세습은 좋다”라거나 “갑도 을도 병도 세습이니까 세습은 나쁘다”라고 논증하는 것이 이 오류에 해당한다.

과학에서[편집]

의학에서[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