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파일:어전준천제명첩 수문상친림관역도.jpg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본 파일(2,262 × 1,571 픽셀, 파일 크기: 2.12 M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설명
한국어: 이 작품은 영조 36년에 실시된 청계천 준천공역(준설)을 성공적으로 완공한 것을 기념하여 그린 일종의 기록화첩이다.
목활자본의 준천소좌목(濬川所座目)이 1폭 2면에 걸쳐 있고 그 뒤에 영화당친임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 수문상친임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 그림 2폭 4면, 어제어필(御製御筆) 2폭 4면, 어제시(御製詩) 1폭 2면, 입시대신(入侍大臣)과 대관(侍官), 준천에 참여한 사람들 16명이 영조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 ‘력(力)’과 ‘국(國)’자에 차운(次韻)하여 지은 이른바 갱운시(賡韻詩) 8폭 16면의 순서로 이루어진 견본채색의 서화첩이다. 
이 화첩은 준천역이 끝난 뒤 도감에서 기록화로서 병풍을 제작하는 관례 대신에 임금이 직접 화첩의 배열순서와 실제 행사 장면들을 그린 그림의 내용을 결정하여 어람(御覽)을 위해 진헌(進獻)하고, 준천소 당상도 한 책씩 나누어 갖도록 특별히 명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 작품은 궁중행사를 기록한 그림 중 왕의 명령에 의해 제작된 화첩으로는 가장 빠른 시기의 예로 추정되며, 임금이 직접 화첩의 내용을 정하는 관심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록의 여러 기록과도 일치하여 기록화로서의 사료적 가치도 크다. 
다만 화첩으로서는 4점의 그림 가운데 2점이 빠졌고, 시첩으로서는 27인의 시 가운데 11인의 시가 결락되고 일부 순서가 바뀐 것이 아쉬우나, 작품의 전체적인 품격으로 보아 문화재로 지정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문화재이다.
(출처: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2100770000)
날짜
출처 御前濬川題名帖
저자 미상Unknown author

라이선스

KOGL Type 1

이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자표시: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 저작물 변경: 2차적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설명

이 파일이 나타내는 바에 대한 한 줄 설명을 추가합니다

이 파일에 묘사된 항목

다음을 묘사함

0.00625

f-number 영어

18

52 밀리미터

ISO speed 영어

125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섬네일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1년 4월 12일 (월) 14:562021년 4월 12일 (월) 14:56 판의 섬네일2,262 × 1,571 (2.12 MB)SadopaulCropped 10 % horizontally, 22 % vertically using CropTool with lossless mode.
2020년 6월 20일 (토) 12:412020년 6월 20일 (토) 12:41 판의 섬네일2,516 × 2,002 (2.85 MB)SadopaulUploaded a work by unknown from 御前濬川題名帖 with UploadWizard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