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강하향 반사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서론에서 강하향 반사슬(強下向反사슬, 영어: strong downward antichain)은 서로 다른 두 원소가 공통된 하계를 갖지 않는, 원순서 집합반사슬이다. 반대로, 강상향 반사슬(強下向反사슬, 영어: strong downward antichain)은 서로 다른 두 원소가 공통된 상계를 갖지 않는, 원순서 집합반사슬이다.

정의[편집]

원소의 양립[편집]

원순서 집합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만약 하계를 갖는다면, 하향 양립(下向兩立, 영어: downward compatible)한다고 한다.[1]:53, Definition II.2.2 마찬가지로, 만약 하계를 갖는다면, 상향 양립(上向兩立, 영어: upward compatible)한다고 한다.

서로 비양립하는 두 원소는 보통 로 표기하며, 서로 양립하는 두 원소는 보통 로 표기한다. (이 기호들이 상향·하향을 나타내는지 여부는 문헌에 따라 다르다.)

강하향·강상향 반사슬[편집]

원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원순서 집합강하향 반사슬이라고 한다.[1]:53, Definition III.2.2

  • 부분 집합 가운데 크기 2 이상인 것은 하계를 갖지 않는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 하향 양립한다면,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마찬가지로, 원순서 집합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원순서 집합강하향 반사슬이라고 한다.

  • 부분 집합 가운데 크기 2 이상인 것은 상계를 갖지 않는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 상향 양립한다면,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강한 하향 반사슬 및 강한 상향 반사슬은 반사슬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반사슬 조건[편집]

임의의 기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원순서 집합 의 모든 강하향 반사슬의 크기가 미만이라면, -강하향 반사슬 조건(-強上向反사슬條件, 영어: -strong downward antichain condition)을 만족시킨다고 한다.[2]:227, Definition 15.2[1]:212, Definition VII.6.7 마찬가지로, 원순서 집합 의 모든 강상향 반사슬의 크기가 미만이라면, -강상향 반사슬 조건(-強上向反사슬條件, 영어: -strong upward antichain condition)을 만족시킨다고 한다.

특히, 만약 일 경우, 이 조건들은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可算強上向反사슬條件, 영어: countable strong downward antichain condition가산 강상향 반사슬 조건(可算強上向反사슬條件, 영어: countable strong downward antichain condition)이라고 한다.[2]:220, Definition 14.33[1]:53, Definition II.2.3[3] (집합론에서는 이 조건들을 보통 "가산 반사슬 조건" 또는 "가산 사슬 조건"으로 부른다. 후자는 불 대수의 경우 사슬과 반사슬 사이의 관계에 따른 것이다.)

성질[편집]

완비 불 대수라고 하고, 가 임의의 기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집합 사이에는 자연스러운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 의 강하향 반사슬을 이루는 함수 들의 집합
  • 단사 증가 함수 가운데, 임의의 에 대하여 (), 인 것들의 집합. (특히, 일 때 이다.)

구체적으로, 이 전단사 함수는 다음과 같다. 가 주어졌을 때,

를 정의한다. 반대로, 가 주어졌을 때,

를 정의한다.

[편집]

공집합한원소 집합은 (자명하게) 항상 강하향 반사슬이자 강상향 반사슬이다.

최대 원소를 갖는 원순서 집합의 강상향 반사슬은 공집합이거나 한원소 집합이다. 마찬가지로, 최소 원소를 갖는 원순서 집합의 강하향 반사슬은 공집합이거나 한원소 집합이다.

멱집합[편집]

집합 에 대하여, 부분 순서 집합 을 생각하자. 이 경우, 공집합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족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의 강하향 반사슬이다.
  • 서로소 집합족이다. 즉, 임의의 두 에 대하여, 라면 이다.

특히, 의 강하향 반사슬의 최대 크기는 이다.

마찬가지로, 집합족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의 강상향 반사슬이다.
  • 임의의 두 에 대하여, 이다.
  • 서로소 집합족이다.

특히, 의 강상향 반사슬의 최대 크기는 이다.

속의 반사슬 가운데, 반하향 반사슬이자 반상향 반사슬인 것들을 생각한다면, 이는 항상 크기가 2 이하이다. 즉, (크기 2일 경우) 에 대하여 의 꼴이다.

위상 공간[편집]

위상 공간 의,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을 생각하자.

만약 수슬린 직선이라면, 는 (정의에 따라)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을 만족시킨다.

만약 분해 가능 공간이라면, 는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을 만족시킨다. 사실, 거리화 가능 공간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집합 곱공간 위상을 줄 경우, 이는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이는 분해 가능 공간이 아니다. (여기서 베트 수이다.)

응용[편집]

강하향·강상향 반사슬의 개념은 강제법에 등장한다. 강제법에서, 만약 공시작 집합포괄적 필터를 사용할 경우 가산 강하향 반사슬 조건을 사용하며, 반대로 공종 집합포괄적 순서 아이디얼을 사용할 경우 가산 강상향 반사슬 조건을 사용한다.

각주[편집]

  1.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Studies in Logic and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영어) 102. North-Holland. ISBN 978-0-444-86839-8. MR 597342. Zbl 0534.03026. 2016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1일에 확인함. 
  2. Jech, Thomas (2003). 《Set theory》.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3판. Springer-Verlag. doi:10.1007/3-540-44761-X. ISBN 978-3-540-44085-7. ISSN 1439-7382. Zbl 1007.03002. 
  3. Schindler, Ralf (2014). 《Set theory: exploring independence and truth》. Universitext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319-06725-4. ISBN 978-3-319-06724-7. ISSN 0172-5939.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