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골든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전 골든벨에서 넘어옴)

도전! 골든벨
2015년 소방관 특집방송 당시 모습
2015년 소방관 특집방송 당시 모습
장르 퀴즈 프로그램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역대 방송채널 참조
방송 기간 1999년 1월 8일 ~ 2020년 6월 28일
방송 시간 역대 방송시간 참조
추가 채널 KBS 프라임
KBS 조이
KBS 스토리
프로듀서 류송희
(KBS 교양운영팀)
제작사 KBS 시사교양1국
연출 하용일
김형호
송현주
하동현
강호림
조연출 신성아
작가 장수미
이윤정
이미로
임소윤
박희원
전소영
진행자 역대 진행자 참조
해설 역대 내레이션 참조
닫는 곡 이승철 - 해낼 수 있다
음성 1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관련 프로그램 1 대 100 (정양)
외부 링크  KBS 도전! 골든벨 홈페이지(2019년 10월 20일 ~ 2020년 6월 28일)

비고:
KBS 위성 1TV 재송신 편성 및 KBS 위성 2TV(이후 KBS 코리아) 재방송 편성
1TV 본방송 이후 재방송 및 2TV 재방송 포함
홈페이지의 2000년 3월 31일(KBS 2TV) ~ 2016년 12월 25일(KBS 1TV)까지 다시보기 서비스는 없어짐

도전! 골든벨》은 1999년 1월 8일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방송하여 청소년 서바이벌 퀴즈 프로그램으로 참가한 퀴즈 프로그램이었다.[1][2]

역대 MC[편집]

남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김홍성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접속! 신세대》 코너 편성, 남성 MC 첫 진행
1999년 9월 3일 ~ 2001년 3월 30일 프로그램 독립 편성(2TV 이후)
2대 윤인구(24기) 2001년 4월 6일 ~ 2001년 11월 2일 (2TV 편성 당시)
2001년 11월 11일 ~ 2002년 11월 10일 (1TV 편성 당시)
3대 김홍성 2002년 11월 17일 ~ 2005년 9월 11일 남성 MC 2번째 재진행
4대 김현욱(26기) 2005년 9월 25일 ~ 2011년 2월 20일
5대 김승휘 2011년 2월 20일 ~ 2012년 3월 18일
6대 박태원(30기) 2012년 3월 25일 ~ 2016년 1월 3일
7대 오승원(30기) 2016년 1월 10일 ~ 2018년 6월 17일
8대 강성규 2018년 6월 24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5월 10일
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

여자[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1대 손미나(24기)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 《접속! 신세대》 코너 편성, 남성 MC 첫 진행
1999년 9월 3일 ~ 2001년 5월 18일 프로그램 독립 편성(2TV 이후)
2대 최원정 2001년 5월 25일 ~ 2001년 11월 2일 (2TV 편성 당시)
2001년 11월 11일 ~ 2004년 5월 2일 (1TV 편성 당시))
3대 김보민 2004년 5월 9일 ~ 2007년 5월 20일
4대 오정연 2007년 5월 27일 ~ 2008년 12월 7일
5대 박은영(33기) 2008년 12월 14일 ~ 2009년 11월 29일
7대 정다은(34기) 2009년 12월 6일 ~ 2011년 12월 4일
6대 차다혜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10월 7일
7대 가애란 2012년 10월 14일 ~ 2012년 12월 23일
8대 정지원(38기) 2013년 1월 6일 ~ 2013년 10월 27일
9대 전주리 2013년 11월 3일 ~ 2015년 3월 29일
10대 김지원(39기) 2015년 4월 5일 ~ 2017년 5월 28일
11대 박소현(42기) 2017년 6월 4일 ~ 2018년 9월 30일
12대 이혜성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
13대 강서은 2019년 3월 10일 ~ 2019년 8월 25일
14대 박지원 2019년 9월 1일 ~ 2020년 4월 5일
2020년 4월 12일 ~ 2020년 5월 10일
2020년 5월 17일 ~ 2020년 5월 31일
2020년 6월 7일 ~ 2020년 6월 28일

역대 진행 방식[편집]

  • 50개의 문제가 출제되며, 학생은 문제를 듣고 답을 자신의 답안판에 쓴다.
  • 문제를 맞히지 못한 학생은 장외로 나가게 되며 문제를 풀수록 살아남은 사람의 수가 적어진다.
  • 48번 문제까지는 찬스를 사용할 수 있고 최후의 2인 중 49번 문제에서 답이 갈라지면 사라 브라이트만과 안드레아 보첼리의 타임 투 세이 굿 바이 노래가 나온다.
  •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1명을 "최후의 1인"이라고 하며, 최후의 1인이 마지막 50번째 문제까지 다 풀게 되면 "골든벨"을 울릴 수 있고,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3]
  • 마지막 50번 문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참가 학교의 교장이 아나운서석에서 직접 출제하지만, 참가 학교의 교장이 불참일 경우 위원장이나 해당 교육기관 관장 또는 해당 직장기관 회장이 아나운석에서 직접 출제했다.

골든벨 소재를 응용하거나 차용한 예들[편집]

수상 경력[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