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가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제르마노타라는 발음은 영어권이나 한국어권에서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더구나 생애 란에서 아버지의 성을 저머노타로 표기한 이상 내용의 통일이 필요합니다.
(사용자 42명의 중간 판 1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좋은 글 딱지}}
{{좋은 글 딱지}}
{{음악가 정보
{{음악가 정보
| 이름 = 레이디 가가
| 이름 = 레이디 가가
| 그림 = The Monster Ball - Poker Face revamped2-tweak.jpg
| 그림 = Lady Gaga performing 2011 cropped.jpg
| 설명 = 2010년 The Monster Ball Tour 중 레이디 가가
| 설명 = 2011년 The Monster Ball Tour 중 레이디 가가
| 예명 =
| 예명 =
| 본명 = 스테파니 조앤 안젤리나 저마노타<br />(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 본명 =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 <br />(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 출생 = {{출생일과 나이|1986|3|28}}
| 국적 = {{국기나라|미국}}
| 출생 = {{출생일과 나이|1986|3|28}}
| 출생지 = {{국기나라|미국}} [[뉴욕 주]] [[:en:Yonkers, New York|용커스]]
| 출생지 = [[뉴욕 주]] [[용커스]]
| 사망 =
| 사망지 =
| 사망 =
| 가족 =
| 사망지 =
| 가족 =
| 장르 = [[팝 음악|팝]]<ref name="Allmusic bio">{{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artist/lady-gaga-p1055684|제목=Biography(바이오그래피)|이름=Jason |성=Birchmeier|작품명=[[올뮤직]]|확인일자=2009-01-13|언어=영어}}</ref>, [[일렉트로니카]]<ref name="Electro Pop Diva">{{ 웹 인용 | 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10125/Why-world-going-gaga-electro-pop-diva-Stefani.html | 제목=Why the world is going gaga for electro-pop diva Stefani | 작품명=Daily Mail | 출판사=Mail Online| 이름=Adrian |성=Thrills | 작성일자=January 9, 2008 | 확인일자=2009-01-12|언어=영어 }}</ref><ref>{{웹 인용 |url=http://www.urb.com/reviews/cd/feature.php?ReviewId=707 |제목=Lady Gaga :: The Fame (레이디 가가 :: The Fame)|확인일자=2009-02-20 |저자=Powers, Nicole |작성일자=July 23, 2008 |작품명=URB}}</ref>
| 직업 = [[음악가]], [[디스크자키|DJ]], [[고고 댄서]]<ref name="mtv 55">{{웹 인용|url=http://www.mtv.com/news/articles/1589013/20080609/lady_gaga.jhtml|제목=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Harris|이름=Chris|작성일자=June 9, 2008|확인일자=2009-05-07|작품명=[[MTV]]}}</ref><ref>{{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album/the-fame-r1421208 |제목=''The Fame'' ? Overview |확인일자=2009-02-17 |저자=Chisling, Matthew |작성일자=September 8, 2008 |작품명=[[올뮤직]] |출판사=Macrovision Corporation}}</ref>
| 장르 = [[팝 음악|팝]]<ref name="Allmusic bio">{{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artist/lady-gaga-p1055684|제목=Biography(바이오그래피)|이름=Jason |성=Birchmeier|작품명=[[올뮤직]]|확인일자=2009-01-13|언어=영어}}</ref>, [[댄스 팝]], [[일렉트로니카]]<ref name="Electro Pop Diva">{{ 웹 인용 | 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10125/Why-world-going-gaga-electro-pop-diva-Stefani.html | 제목=Why the world is going gaga for electro-pop diva Stefani | 작품명=데일리 매일| 출판사=메일 온라인| 이름=Adrian |=Thrills | 작성일자=2008-01-09| 확인일자=2009-01-12|언어=영어 }}</ref><ref>{{웹 인용 |url=http://www.urb.com/reviews/cd/feature.php?ReviewId=707 |제목=Lady Gaga :: The Fame (레이디 가가 :: The Fame)|확인일자=2009-02-20 |저자=Powers, Nicole |작성일자=2008-06-23 |작품명=URB}}</ref>
| 직업 = [[음악가]], [[디스크자키|DJ]], [[고고 댄서]]<ref name="mtv 55">{{웹 인용|url=http://www.mtv.com/news/articles/1589013/20080609/lady_gaga.jhtml|제목=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성=Harris|이름=Chris|작성일자=2008-06-09|확인일자=2009-05-07|작품명=[[MTV]]}}</ref><ref>{{웹 인용|url=http://www.allmusic.com/album/the-fame-r1421208 |제목=''The Fame'' ? Overview |확인일자=2009-02-17 |저자=Chisling, Matthew |작성일자=September 8, 2008 |작품명=[[올뮤직]] |출판사=Macrovision Corporation}}</ref>
| 악기 = [[보컬]], [[피아노]], [[신디사이저]]<ref name="Bio">{{ 웹 인용| url=http://www.ladygaga.com/bio/ | 제목=Biography of Lady Gaga(레이디 가가의 약력)| 출판사=LadyGaga.com | 확인일자=2009-01-08 }}</ref>
| 악기 = [[보컬]], [[피아노]], [[신디사이저]]<ref name="Bio">{{ 웹 인용| url=http://www.ladygaga.com/bio/ | 제목=Biography of Lady Gaga(레이디 가가의 약력)| 출판사=LadyGaga.com | 확인일자=2009-01-08 }}</ref>
| 활동시기 = [[2006년]] ~ 현재
| 활동시기 = [[2006년]] ~ 현재
| 레이블 = [[데프 잼]] <small>(2007 - 2008)</small><br />[[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small>(2008 - 현재)</small><ref>{{웹 인용 |url=http://www.billboard.com/bbcom/discography/index.jsp?aid=1197779&pid=1003999 |제목=Discography - Lady GaGa(디스코그래피 - 레이디 가가)|확인일자=2009-02-20 | 작품명=[[빌보드]] |출판사=Billboard.com}}</ref>, [[콘 라이브]], 스트림라인, [[체리트리 레코드|체리트리]]
| 레이블 = [[데프 잼]] <small>(2007 - 2008)</small><br />[[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small>(2008 - 현재)</small><ref>{{웹 인용 |url=http://www.billboard.com/bbcom/discography/index.jsp?aid=1197779&pid=1003999 |제목=Discography - Lady GaGa(디스코그래피 - 레이디 가가)|확인일자=2009-02-20 | 작품명=[[빌보드]] |출판사=Billboard.com}}</ref>, [[콘 라이브]], 스트림라인, [[체리트리 레코드|체리트리]]
| 소속사 =
| 소속사 =
| 관련활동 = 레이디 스타라이트, 스페이스 카우보이
| 관련활동 = 레이디 스타라이트, 스페이스 카우보이
| 웹사이트 = [http://www.ladygaga.com/ ladygaga.com]
| 웹사이트 = [http://www.ladygaga.com/ ladygaga.com]
}}
}}
'''스테파니 조앤 안젤리나 저마노타'''(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1986년]] [[3월 28일]]<ref>{{웹 인용 |url= http://www.allmusic.com/artist/lady-gaga-p1055684|제목= Biography|확인일자= 2009-04-03|작품명= allmusic|언어= 영어}}</ref> [[~]])는 예명인 '''레이디 가가'''(Lady Gaga)로 활동하는 미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이자 [[행위예술가]]이다. 가가는 [[퍼기]], [[푸시캣 돌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뉴 키즈 온 더 블록]]와 같은 유명 가수들의 노래를 작곡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제작자인 [[에이콘]]의 노래 또한 가가가 작곡한 적이 있는데, 에이콘은 가가와 함께 작업하면서 그녀의 가창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고 자신의 레이블인 콘 라이브 배급사를 통해 그녀와 계약을 맺었다. 이후 가가는 첫 데뷔 음반에 자신만의 새로운 곡을 담아 정식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1986년]] [[3월 28일]]<ref>{{웹 인용 |url= http://www.allmusic.com/artist/lady-gaga-p1055684|제목= Biography|확인일자= 2009-04-03|작품명= allmusic|언어= 영어}}</ref> ~ )는 예명인 '''레이디 가가'''(Lady Gaga)로 활동하는 미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이자 [[행위예술가]]이다. 가가는 [[퍼기]], [[푸시캣 돌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뉴 키즈 온 더 블록]]와 같은 유명 가수들의 노래를 작곡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제작자인 [[에이콘]]의 노래 또한 가가가 작곡한 적이 있는데, 에이콘은 가가와 함께 작업하면서 그녀의 가창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고 자신의 레이블인 콘 라이브 배급사를 통해 그녀와 계약을 맺었다. 이후 가가는 첫 데뷔 음반에 자신만의 새로운 곡을 담아 정식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가가는 2008년, 데뷔 음반 ''[[The Fame]]''을 발매하고, "누구나 유명함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앨범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음반에 포함된 싱글 곡 "[[Just Dance]]"와 "[[Poker Face]]"가 세계적인 각종 음악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하기도 하였다. 또한 "Just Dance"는 [[그래미 상|제 51회 그래미 상]] 최우수 댄스 음악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었다. 이후 리패키지 EP 형식의 음반 ''[[The Fame Monster]]''를 발매해 데뷔 음반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다. 가가는 [[마이클 잭슨]] [[마돈나]], [[신디 로퍼]] 같은 [[팝]] 가수뿐만 아니라 [[데이빗 보위]]와 [[엘튼 ]], [[퀸 (밴드)|퀸]]과 같은 글램 뮤지션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한다.<ref name="interview">{{뉴스 인용|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522380|제목=도발적 패션과 음악으로 레이디 가가 “마돈나는 나의 영감, 자체”|출판사=[[중앙일보]]|저자=이영희|작성일자=2009-03-09}}</ref><ref name="Allmusic bio"/> 또한 그녀의 노래와 공연의 영감은 패션이라고 말하였다.
가가는 2008년, 데뷔 음반 ''[[The Fame]]''을 발매하고, "누구나 유명함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앨범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음반에 포함된 싱글 곡 "[[Just Dance]]"와 "[[Poker Face]]"가 세계적인 각종 음악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이후 리패키지 형식의 EP 음반 ''[[The Fame Monster]]''를 발매해 데뷔 음반 못지않은 성과를 거뒀는데, 앨범의 싱글인 "[[Bad Romance]]", "[[Telephone (노래)|Telephone]]", "[[Alejandro]]"는 여러 나라에서 1위를 했다. EP 앨범의 홍보를 위해 가가는 1년이 넘도록 [[The Monster Ball Tour]]를 진행 해왔고,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투어 하나로 남았다. 가가의 번째 정규 음반 ''[[Born This Way]]''는 2011년 5월 발매되었고, 음반의 싱글인 "[[Born This Way (노래)|Born This Way]]", "[[Judas]]", "[[The Edge of Glory]]"는 세계 여러 주요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가가는 [[마이클 잭슨]]과 [[마돈나]], [[신디 로퍼]]와 같은 [[팝]] 가수뿐만 아니라 [[데이빗 보위]]와 [[엘튼 존]], [[퀸 (밴드)|퀸]]과 같은 글램 락 뮤지션들에게도 영향을 받았다.<ref name="interview">{{뉴스 인용|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522380|제목=도발적 패션과 음악으로 뜬 레이디 가가 “마돈나는 나의 영감, 그 자체”|출판사=[[중앙일보]]|저자=이영희|작성일자=2009-03-09}}</ref><ref name="Allmusic bio"/> 가가는 세계적으로 2,300만 장의 음반 판매고와 6,400만의 싱글 판매고를 올리고있다.<ref>{{cite news|url=http://www.bbc.co.uk/news/uk-northern-ireland-15340049|title=Lady Gaga to perform at Belfast MTV awards|publisher=[[BBC]]|date=2011-10-17|accessdate=2011-11-08|언어=영어}}</ref> 가가는 [[그래미 상]],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그리고 [[빌보드]]가 선정한 올해의 아티스트에 올랐으며,<ref>{{cite web |title=Lady Gaga Is Billboard's 2010 Artist of the Year, Ke$ha Takes Top New Act |url=http://www.billboard.com/news/lady-gaga-is-billboard-s-2010-artist-of-1004134049.story |date=2010-09-12 |author=Caulfield, Keith |work=빌보드|언어=영어|publisher=Nielsen Business Media, Inc}}</ref> 이외에 각종 시상식에서 주요 상을 수상했다. 또한 《[[포브스]]》가 선정하는 순위에서 가가는 매년 상위권에 오르고 있으며,<ref>{{cite news |url=http://www.forbes.com/profile/lady-gaga|accessdate=2011-06-03|title=Forbes Profile: Lady Gaga|work=포브스|언어=영어}}</ref> 《[[타임스]]》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 순위에도 매년 상위권에 오르고있다.
2010년 5월 레이디 가가는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장이 넘는 음반과 4000만 장 이상의 싱글 판매고를 올렸다.<ref>{{뉴스 인용|url=http://shine.yahoo.com/channel/beauty/is-lady-gaga-about-to-fall-1814311/|제목=Is Lady Gaga about to fall?|작성일자=2010-06-23|확인일자=2010-06-29|마지막=Douglas|작품명=Joanna|출판사=야후!}}</ref>
또한 2010년 5월 레이디 가가는 미국의 잡지 《[[타임스]]》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중 5위에 선정되었고,<ref name="타임스">{{뉴스 인용|제목 =김연아-비 ‘타임 영향력있는 100인’ 레이디가가 꺾고 3, 4위 확정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4301023541001 |출판사 = 뉴스엔|저자 =백지현 기자|작성일자 = 2010-04-30|확인일자 =}}</ref>
2010년 6월에는 경제전문지 [[포보스]]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있는 100대 셀레브러티' 중 2008년 총 6,2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 4위에 랭크 되었다.<ref name="포보스">{{웹 인용 |url=http://www.ukopia.com/ukoHollywood/?page_code=read&uid=135094&sid=30&sub=3|제목=포브스 선정 '100대 유명인사' 중 레이디 가가는 몇위? |확인일자=2010-06-29|출판사=유코피아 연예}}</ref>
2010년 8월 20일에는 [[브리트니 스피어스]]를 제치고 트위터 팔로윙이 570만명에 도달하며 1위에 올랐다.<ref>{{웹 인용 |url=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082215592360900&outlink=1|제목=레이디 가가 '트위터 여왕' 등극 |확인일자=2010-08-22|저자=박성민 기자|출판사=머니투데이}}</ref>
또한 2010년 10월 포보스가 선정한 '세계서 영향력 있는 여성 100인' 중 레이디 가가는 7위를 차지하였다.<ref>{{웹 인용|url=http://mnb.mt.co.kr/mnbview.php?no=2010100715463044294|제목=미셸 오바마, 세계서 영향력 있는 여성 1위|작성일자=2010-10-07|확인일자=2010-10-23|저자=송선옥 기자|출판사=머니투데이}}</ref>


== 생애 ==
== 생애 ==
=== 1986–2004: 어린 시절 ===
=== 1986–2004: 어린 시절 ===
레이디 가가는 뉴욕 용커스에서 스테파니 조앤 안젤리나 저마노타 라는 이름으로 이탈리아계 미국인 부모의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ref name="BBB">{{웹 인용|url=http://www.netglimse.com/celebs/pages/lady_gaga/index.shtml |제목=Lady GaGa - Biography | 작성일자=April 16, 2009 | 확인일자=2009-04-16}}</ref> 그녀의 아버지 조지프 저마노타는 인터넷 기업가였으며, 어머니인 신시아는 그의 전자 통신 보조원으로 일하고 있었다.<ref name="BBB"/><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thisday/chart-beat-lady-gaga-luis-fonsi-taylor-swift-1003928565.story |제목=Chart Beat: Lady GaGa, Luis Fonsi, Taylor Swift, 'Purple Rain' |확인일자=2009-02-19 |author=Bronson, Fred |작성일자=January 8, 2008 |작품명=빌보드|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언어=영어}}</ref><ref name="timesonline2">{{웹 인용 | 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music/article5746827.ece| 제목=Lady Gaga: ready for her close-up | 이름=Ruby | 성=Warrington | 작품명=Sunday Times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Company | 작성일자=2009년 2월 22일| 확인일자=2009-02-22|언어=영어}}</ref> 가가는 일곱 살이 되어 맨해튼의 줄리아드 학교에 입학할 예정이었지만,<ref name="independent">{{웹 인용|url=http://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music/features/lady-gaga-how-the-world-went-crazy-for-the-new-queen-of-pop-1684375.html|제목=Lady Gaga: How the world went crazy for the new queen of pop|성=Sturges|이름=Fiona|작성일자=2009년 5월 16일|작품명=Independent.co.uk|확인일자=2009-05-26|언어=영어}}</ref> 뉴욕에 위치한 사립 가톨릭 학교인 콘벤트 오브 더 세크레드 하트 고등학교(CSH)에 다니게 되었다.<ref name="Times Online.co.uk">{{웹 인용|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music/article5325327.ece?token=null&offset=0&page=1|제목=Lady GaGa: the future of pop?|작성일자=December 14, 2008|작품명=Sunday Times|출판사=The New York Times Company|확인일자=2009-02-06|언어=영어}}</ref> 가가는 어렸을 때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음악에 대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는 [[핑크 플로이드]]나 비틀즈, 빌리 조엘, 엘튼 존 등의 음악을 가가에게 들려주었다. 어머니가 예절 교육 차원으로 피아노를 배우게 하면서 네 살 때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 가가는 열세 살에 첫 번째 피아노 발라드를 작곡하였고, 열네 살 때는 오픈 믹 나이트에서 연주하기 시작했다.<ref name="gomtv">{{웹 인용|url=http://ch.gomtv.com/view.gom?ch=2009&type=3&intpid=25472&intbid=256743|제목=레이디 가가-인터뷰|출판사=곰TV|작성일자=2009-04-14}}</ref><ref name="Bio"/> 열일곱 살 때는 뉴욕 대학의 티시 예술학부에 조기 지원 입학하여 음악을 공부하기 시작했다.<ref name="Bio"/> 그곳에서 가가는 예술, 종교, 정치에 관한 주제를 담은 분석 논문과 작곡 에세이를 통해서 자신의 음악 실력을 연마하였으나,<ref name=ARTISTdirect>{{웹 인용 |url=http://www.artistdirect.com/nad/news/article/0,,4931544,00.html |제목= Interview: Lady GaGa |확인일자=2009-02-18 |author=Florino, Rick |작성일자=January 30, 2009 |작품명=ARTISTdirect |출판사= ARTISTdirect, Inc|언어=영어}}</ref> 1년 동안 재학하다 중퇴하였다.<ref name="gomtv"/><ref name = "mtv 55"/>
레이디 가가는 뉴욕 용커스에서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라는 이름으로 이탈리아계 미국인 부모의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ref name="BBB">{{웹 인용|url=http://www.netglimse.com/celebs/pages/lady_gaga/index.shtml |제목=Lady GaGa - Biography | 작성일자=April 16, 2009 | 확인일자=2009-04-16}}</ref> 그녀의 아버지 조지프 저머노타는 인터넷 기업가였으며, 어머니인 신시아는 그의 전자 통신 보조원으로 일하고 있었다.<ref name="BBB"/><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thisday/chart-beat-lady-gaga-luis-fonsi-taylor-swift-1003928565.story |제목=Chart Beat: Lady GaGa, Luis Fonsi, Taylor Swift, 'Purple Rain' |확인일자=2009-02-19 |author=Bronson, Fred |작성일자=January 8, 2008 |작품명=빌보드|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언어=영어}}</ref><ref name="timesonline2">{{웹 인용 | 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music/article5746827.ece| 제목=Lady Gaga: ready for her close-up | 이름=Ruby | 성=Warrington | 작품명=Sunday Times | 출판사=The New York Times Company | 작성일자=2009년 2월 22일| 확인일자=2009-02-22|언어=영어}}</ref> 가가는 일곱 살이 되어 맨해튼의 줄리아드 학교에 입학할 예정이었지만,<ref name="independent">{{웹 인용|url=http://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music/features/lady-gaga-how-the-world-went-crazy-for-the-new-queen-of-pop-1684375.html|제목=Lady Gaga: How the world went crazy for the new queen of pop|성=Sturges|이름=Fiona|작성일자=2009년 5월 16일|작품명=Independent.co.uk|확인일자=2009-05-26|언어=영어}}</ref> 뉴욕에 위치한 사립 가톨릭 학교인 콘벤트 오브 더 세크레드 하트 고등학교(CSH)에 다니게 되었다.<ref name="Times Online.co.uk">{{웹 인용|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music/article5325327.ece?token=null&offset=0&page=1|제목=Lady GaGa: the future of pop?|작성일자=December 14, 2008|작품명=Sunday Times|출판사=The New York Times Company|확인일자=2009-02-06|언어=영어}}</ref> 가가는 어렸을 때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음악에 대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는 [[핑크 플로이드]]나 [[비틀즈]], [[빌리 조엘]], [[엘튼 존]] 등의 음악을 가가에게 들려주었다. 어머니가 예절 교육 차원으로 피아노를 배우게 하면서 네 살 때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 가가는 열세 살에 첫 번째 피아노 발라드를 작곡하였고, 열네 살 때는 오픈 믹 나이트에서 연주하기 시작했다.<ref name="gomtv">{{웹 인용|url=http://ch.gomtv.com/view.gom?ch=2009&type=3&intpid=25472&intbid=256743|제목=레이디 가가-인터뷰|출판사=곰TV|작성일자=2009-04-14}}</ref><ref name="Bio"/> 열일곱 살 때는 뉴욕 대학의 티시 예술학부에 조기 지원 입학하여 운지를 공부하기 시작했다.<ref name="Bio"/> 그곳에서 가가는 예술, 종교, 정치에 관한 주제를 담은 분석 논문과 작곡 에세이를 통해서 자신의 음악 실력을 연마하였으나,<ref name=ARTISTdirect>{{웹 인용 |url=http://www.artistdirect.com/nad/news/article/0,,4931544,00.html |제목= Interview: Lady GaGa |확인일자=2009-02-18 |author=Florino, Rick |작성일자=January 30, 2009 |작품명=ARTISTdirect |출판사= ARTISTdirect, Inc|언어=영어}}</ref> 1년 동안 재학하다 중퇴하였다.<ref name="gomtv"/><ref name = "mtv 55"/>
스무 살이 되어 그녀는 [[인터스코프 레코드]]에서 작곡가로 일하기 시작하였고 푸시캣 돌스와 같은 대중 가수들의 노래를 썼다. 이후 부모의 집에서 독립한 후,<ref>{{웹 인용|url=http://www.riffin.com/iframes/record/artist_spotlights/Lady_Gaga.html|제목=Artist Spotlights: Lady Gaga|출판사=Riffin'|확인일자=2009-02-21||author=Webjockey Spiceboyedgar|언어=영어}}</ref> 가가는 맥킨 펄시퍼, SG밴드와 함께 뉴욕 라워 에스트 사이드 클럽 무대에서 공연을 시작했다. 무대의 전형적인 로큰롤과 차별화된 음악을 원했던 가가는 대중 음악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심하고 벌레스크 쇼를 시작하였다.<ref name="Contactmusic.com">{{웹 인용|url=http://www.contactmusic.com/new/artist.nsf/artistnames/lady%20gaga |제목=Lady GaGa |확인일자=2009-02-20 |작품명=Contactmusic.com }}</ref> 마약을 하고 벌레스크 쇼에서 공연을 하던 그녀를 보는 아버지에 대해 훗날 가가는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아버지는 몇 달간 나와 만나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내가 끈이 달린 가죽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보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단지 그것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ref name="Times Online.co.uk"/>
스무 살이 되어 그녀는 [[인터스코프 레코드]]에서 작곡가로 일하기 시작하였고 푸시캣 돌스와 같은 대중 가수들의 노래를 썼다. 이후 부모의 집에서 독립한 후,<ref>{{웹 인용|url=http://www.riffin.com/iframes/record/artist_spotlights/Lady_Gaga.html|제목=Artist Spotlights: Lady Gaga|출판사=Riffin'|확인일자=2009-02-21||author=Webjockey Spiceboyedgar|언어=영어}}</ref> 가가는 맥킨 펄시퍼, SG밴드와 함께 뉴욕 라워 에스트 사이드 클럽 무대에서 공연을 시작했다. 무대의 전형적인 로큰롤과 차별화된 음악을 원했던 가가는 대중 음악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심하고 벌레스크 쇼를 시작하였다.<ref name="Contactmusic.com">{{웹 인용|url=http://www.contactmusic.com/new/artist.nsf/artistnames/lady%20gaga |제목=Lady GaGa |확인일자=2009-02-20 |작품명=Contactmusic.com }}</ref> 마약을 하고 벌레스크 쇼에서 공연을 하던 그녀를 보는 아버지에 대해 훗날 가가는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아버지는 몇 달간 나와 만나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내가 끈이 달린 가죽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보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단지 그것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ref name="Times Online.co.uk"/>


46번째 줄: 43번째 줄:
에 초청작이 되었고, 거침없는 공연으로 관객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ref name="WMagazine">{{웹 인용|url=http://www.wmagazine.com/celebrities/2007/10/lady_gaga|제목=Going Ga-Ga for Lady Gaga|성=D'Souza|이름=Nandini|작성일자=October 2007|작품명=W Magazine|확인일자=2009-01-03}}</ref> 쇼는 극찬을 받았고, 그들의 공연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ref name="Bio"/>
에 초청작이 되었고, 거침없는 공연으로 관객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ref name="WMagazine">{{웹 인용|url=http://www.wmagazine.com/celebrities/2007/10/lady_gaga|제목=Going Ga-Ga for Lady Gaga|성=D'Souza|이름=Nandini|작성일자=October 2007|작품명=W Magazine|확인일자=2009-01-03}}</ref> 쇼는 극찬을 받았고, 그들의 공연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ref name="Bio"/>


[[파일:Fameballpokerface2.jpg|thumb|200px|2008년 [[The Fame Ball Tour]]에서 "Poker Face"를 부르고있는 가가.]]
[[팝 음악|팝]] 멜로디와 [[데이빗 보위]], [[퀸 (밴드)|퀸]]의 빈티지 글램 락을 믹스하는 것으로 가가는 [[아방가르드]]와 [[전자 음악|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바탕을 둔 자신의 음악적 터전을 찾게 된다.<ref name="Electro Pop Diva"/> 레이디 가가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퀸과 데이빗 보위는 나에게 열쇠였다... 그들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내가 뉴욕의 록 클럽에서 활동할 때에 많은 음반 제작사들이 나를 너무 연극적이라고 생각했고, 뮤지컬 공연을 위해 오디션을 볼 때에는 감독으로 부터 너무 팝적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ref name="Electro Pop Diva"/> 에이콘의 협력 아래 가가는 제작자 [[레드원]]과 함께 데뷔 앨범을 위한 새로운 곡들을 만들기 시작한다. 기존의 데이빗 보위와 퀸에게 영감을 받은 곡들과 일렉트로 글램을 바탕으로 가가는 그녀의 레트로 댄스 비트와 어반 멜로디, 팝 코러스, 약간의 로큰롤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이 때, 처음으로 제작한 "Boys, Boys, Boys"는 Motley Crue의 히트곡 "Girls, Girls, Girls"와 AC/DC의 "T.N.T."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ref name="Contactmusic.com"/>
[[팝 음악|팝]] 멜로디와 [[데이빗 보위]], [[퀸 (밴드)|퀸]]의 빈티지 글램 락을 믹스하는 것으로 가가는 [[아방가르드]]와 [[전자 음악|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바탕을 둔 자신의 음악적 터전을 찾게 된다.<ref name="Electro Pop Diva"/> 레이디 가가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퀸과 데이빗 보위는 나에게 열쇠였다... 그들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내가 뉴욕의 록 클럽에서 활동할 때에 많은 음반 제작사들이 나를 너무 연극적이라고 생각했고, 뮤지컬 공연을 위해 오디션을 볼 때에는 감독으로 부터 너무 팝적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ref name="Electro Pop Diva"/> 에이콘의 협력 아래 가가는 제작자 [[레드원]]과 함께 데뷔 앨범을 위한 새로운 곡들을 만들기 시작한다. 기존의 데이빗 보위와 퀸에게 영감을 받은 곡들과 일렉트로 글램을 바탕으로 가가는 그녀의 레트로 댄스 비트와 어반 멜로디, 팝 코러스, 약간의 로큰롤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이 때, 처음으로 제작한 "[[Boys, Boys, Boys]]"는 머틀리 크루의 히트곡 "Girls, Girls, Girls"와 AC/DC의 "T.N.T."의 영향을 받았다.<ref name="Contactmusic.com"/>


=== 2008–10: ''The Fame''과 ''The Fame Monster'' ===
=== 2008–10: ''The Fame''과 ''The Fame Monster'' ===
[[파일:Gaga front profile.jpg|200px|right|thumb|2010년 The Monster Ball Tour 공연 중]]
[[파일:Gaga-monster-ball-uk-speechless-re.jpg|200px|thumb|left|영국에서 열린 The Monster Ball Tour 중 "Speechless"의 피아노 연주 모습.]]
2008년 가가는 로스앤젤레스로 자리를 옮겨 레코드 레이블과 데뷔 음반 ''[[The Fame]]''의 세밀한 마무리 작업을 마쳤다.<ref name="Contactmusic.com"/> 가가는 자신의 음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The Fame''은 어떻게 누구나 유명해진 것처럼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앨범이다. 팝 문화는 예술이다. 팝 문화를 혐오한다는 것이 당신을 멋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그러니까 나는 팝을 감싸 안았고, 여러분은 ''The Fame''을 들으며 그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Fame''의 유명세는 공유할 수 있는 유명세이다. 나는 여러분 모두를 파티로 초대한다. 나는 사람들이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를 느끼길 원한다."<ref name="Bio"/> 또한, 이 음반에서 "[[데프 레퍼드]] 드럼과 박수에서 어반 트랙의 [[헤비 메탈|메탈]] 드럼까지" 여러가지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을 이루었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Lady GaGa Billboard"/> 가가는 의상과 무대 세트, 음향을 담당하는 집단인 "Haus of GaGa"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가요 업계에서는 많은 스타일리스트와 제작자들을 접하게 된다. 그러나 Haus of GaGa는 나만의 창작 팀이다. 앤디 워홀의 팩토리를 모델로 하고 있다. 모든 구성원이 26세 이하이고 우리는 모든 것을 함께 한다."<ref name="Times Online.co.uk"/> ''The Fame''은 비평가들에게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의 음악 평가단은 이 음반에 100점 만점에 평균 71점을 주었다.<ref>{{ 웹 인용 | url=http://www.metacritic.com/music/artists/ladygaga/fame | 제목=The Fame | 작품명=[[메타크리틱]] | 확인일자=2009-01-09}}</ref> 〈[[타임 (잡지)|타임 온라인]]〉은 "[[보위]]풍의 발라드, 드라마틱, [[퀸]]의 영향을 받은 미드템포 노래와 신시사이저 바탕의 댄스 트랙은 신선한 재미를 준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음반의 대표 싱글인 "[[Just Dance]]"는 2008년 4월 8일 발매되었으며, 일곱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ref name="Just Dance acharts">{{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5829|제목=Lady Gaga and Colby O'Donis - Just Danc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7}}</ref> 그중 하나인 미국에서는 10월부터 라디오 방송 차트에 오르기 시작하였고, 2009년에 "Just Dance"가 1위로 등극하면서 가가의 첫 번째 미국 1위 싱글이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retrieve_chart_history.do?model.vnuArtistId=1003999&model.vnuAlbumId=1172154|제목=Artist Chart History - Lady GaGa|작품명=Billboard|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확인일자=2009-01-03}}</ref> 두 번째 싱글인 "[[Poker Face]]"는 2008년 9월 29일 발매되어 세계 주요 음악 시장을 모두 포함하여 열두 국가에서 1위를 달성하였다. "Poker Face"를 통해 가가는 2009년 4월 [[빌보드]] 핫 100에 이전 싱글에 이어 1위에 올랐다.<ref name="Poker Face on acharts">{{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7371|제목=Lady Gaga - Poker Fac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3}}</ref>
2008년 가가는 로스앤젤레스로 자리를 옮겨 레코드 레이블과 데뷔 음반 ''[[The Fame]]''의 세밀한 마무리 작업을 마쳤다.<ref name="Contactmusic.com"/> 가가는 자신의 음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The Fame''은 어떻게 누구나 유명해진 것처럼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앨범이다. 팝 문화는 예술이다. 팝 문화를 혐오한다는 것이 당신을 멋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그러니까 나는 팝을 감싸 안았고, 여러분은 ''The Fame''을 들으며 그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Fame''의 유명세는 공유할 수 있는 유명세이다. 나는 여러분 모두를 파티로 초대한다. 나는 사람들이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를 느끼길 원한다."<ref name="Bio"/> 또한, 이 음반에서 "[[데프 레퍼드]] 드럼과 박수에서 어반 트랙의 [[헤비 메탈|메탈]] 드럼까지" 여러가지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을 이루었다고 설명했다.<ref name="Lady GaGa Billboard"/> 가가는 의상과 무대 세트, 음향을 담당하는 집단인 "Haus of GaGa"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가요 업계에서는 많은 스타일리스트와 제작자들을 접하게 된다. 그러나 Haus of GaGa는 나만의 창작 팀이다. 앤디 워홀의 팩토리를 모델로 하고 있다. 모든 구성원이 26세 이하이고 우리는 모든 것을 함께 한다."<ref name="Times Online.co.uk"/> ''The Fame''은 비평가들에게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의 음악 평가단은 이 음반에 100점 만점에 평균 71점을 주었다.<ref>{{웹 인용|url=http://www.metacritic.com/music/artists/ladygaga/fame | 제목=The Fame | 작품명=[[메타크리틱]] | 확인일자=2009-01-09}}</ref> 〈[[타임 (잡지)|타임 온라인]]〉은 "[[보위]]풍의 발라드, 드라마틱, [[퀸]]의 영향을 받은 미드템포 노래와 신시사이저 바탕의 댄스 트랙은 신선한 재미를 준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음반의 대표 싱글인 "[[Just Dance]]"는 2008년 4월 8일 발매되었으며, 일곱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ref name="Just Dance acharts">{{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5829|제목=Lady Gaga and Colby O'Donis - Just Danc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7}}</ref> 그중 하나인 미국에서는 10월부터 라디오 방송 차트에 오르기 시작하였고, 2009년에 "Just Dance"가 1위로 등극하면서 가가의 첫 번째 미국 1위 싱글이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retrieve_chart_history.do?model.vnuArtistId=1003999&model.vnuAlbumId=1172154|제목=Artist Chart History - Lady GaGa|작품명=Billboard|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확인일자=2009-01-03}}</ref> 두 번째 싱글인 "[[Poker Face]]"는 2008년 9월 29일 발매되어 세계 주요 음악 시장을 모두 포함하여 열두 국가에서 1위를 달성했다. "Poker Face"를 통해 가가는 2009년 4월 [[빌보드]] 핫 100에 이전 싱글에 이어 1위에 올랐다.<ref name="Poker Face on acharts">{{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37371|제목=Lady Gaga - Poker Fac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3}}</ref>


[[파일:GaGaonNWOTBT.jpg|thumb|250px|left|[[뉴 키즈 블록]]의 전국 투어에서 공연하는 가가.]]
[[파일:Monster-ball-eheh.jpg|thumb|220px|2010년 The Monster Ball Tour "Eh, Eh" 공연 .]]
''The Fame''은 오스트리아,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에서 음반 차트 1위를 기록하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jam.canoe.ca/Music/Artists/L/Lady_GaGa/2009/01/14/8022056-jam.html | 제목=Lady GaGa's 'Fame' rises to No. 1 | 작품명=Canadian Online Explorer | 출판사=Canoe | 이름=John |성=Williams | 확인일자=2009-01-14 }}</ref><ref>{{웹 인용|url=http://acharts.us/album/37558|제목=Lady Gaga - The Fam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8}}</ref> 이후에 Haus of GaGa가 미국 시장에 더욱 중점을 두면서 가가는 당시 컴백한 [[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소속의 팝 그룹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함께 첫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2008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공연을 시작하였으며, 11월 말까지 계속되었다.<ref>{{웹 인용|제목=International Pop Star Lady Gaga Set to Tour With New Kids on the Block|작품명=Reuters|작성일자=2008-10-03|url=http://www.reuters.com/article/pressRelease/idUS16002+04-Oct-2008+PRN20081004|확인일자=2009-01-08}}</ref> 그녀는 그룹의 새 음반 ''[[The Block]]''의 수록곡 ''Big Girl Now''의 피처링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ref>{{ 웹 인용 | url=http://www.amazon.com/Big-Girl-featuring-Lady-Gaga/dp/B001ESU2DM | 제목=Big Girl Now (featuring Lady Gaga)|작품명=Amazon.com|확인일자=2008-12-08}}</ref> 2008년 10월 말에 가가는 미국에서 ''The Fame''을 발매하였고, 빌보드 200에서 17위로 데뷔하였다. 음반은 첫 주에 24,000장이 팔렸으며,<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esearch/article_display.jsp?vnu_content_id=1003887056|제목=AC/DC Fends Off High Debuts To Remain No. 1|성=Hasty|작성일자=2008-11-05|이름=Katie|작품명=[[빌보드]]|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확인일자=2009-01-08}}</ref> 순위에서는 최고 2위까지 올라간 바 있다.<ref>{{뉴스 인용|이름=Katy|성=Hasty|제목=U2 Tops The Billboard 200|url=http://www.billboard.com/bbcom/news/u2-tops-the-billboard-200-1003950115.story| 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작품명=[[빌보드]]|작성일자=2009년 4월 11일|확인일자=2009-03-11}}</ref> 당시 전 세계에서는 약 230만 장이 판매되었다.<ref name="mirrorstone"/> 이러한 인기 속에 2008년 12월 5일, 가가는 최고의 떠오르는 가수를 소개하는 BBC 2009년의 사운드 목록에 올랐다.<ref name="BBC">{{cite web|제목=BBC Sound of 2009: Lady GaGa|출판사=BBC.co.uk|작품명=BBC|작성일자=2008-12-05|url=http://news.bbc.co.uk/2/hi/entertainment/7766439.stm|확인일자=2009-01-09|언어=영어}}</ref> 2009년 1월부터 5월까지 가가는 [[푸시캣 돌스]]의 유럽과 오세아니아 지역 투어의 서포트 공연을 해왔다. 투어는 1월 18일 [[스코틀랜드]] [[애버딘]]을 시작으로 5월 30일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퍼스]]를 마지막으로 종료하였다.<ref name="Tour Dates">{{웹 인용 |url=http://www.interscope.com/ladygaga/dates|제목=Lady Gaga: Tour & Events |작품=[[Interscope Records]] |확인일자=2009-12-08 }}</ref> 가가의 "Just Dance"는 그래미상에서 베스트 댄스 레코딩 부문의 후보에 올랐으나, 상은 [[다프트 펑크]]의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가 받았다.<ref name="Grammy">{{웹 인용|url=http://content.grammy.com/grammy_awards/51st_show/list.aspx|제목=The 51st Annual Grammy Awards Nominations List|출판사=The Recording Academy|확인일자=2009-01-02}}</ref> 2009년 2월 18일 가가는 록 밴드 [[더 킬러스]]의 [[브랜든 플라워즈]]와 함께 2009년 BRIR 어워즈에서 전자 댄스 듀오 [[펫 샵 보이즈]]의 무대에 참여했다. 펫 샵 보이즈는 가가와 플라워즈가 그들의 마지막 순서인 1985년 싱글 "[[West End Girls]]"에 참여하였을 때 인기를 끌었던 노래의 메들리를 공연하였다.<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1/hi/entertainment/7901677.stm|제목=Pet Shop Boys to compose ballet|작성일자=2009-02-20|저자=BBC News|확인일자=2009-02-20|작품명=BBC|출판사=BBC.co.uk}}</ref> 가가의 첫 북아메리카 투어 공연인 The Fame Ball Tour는 2009년 3월 12일 시작하였으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ref name="Interscope">{{웹 인용 |url=http://www.interscope.com/artist/news/default.aspx?nid=20117&aid=599&utm_source=rss&utm_campaign=rss&utm_medium=News&utm_content=nid_20117 |제목="The Fame Ball" U.S. Tour! |작품명=[[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저자=IGA |작성일자=2009-01-13 |확인일자=2009-01-14 }}</ref><ref>{{웹 인용|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61705/Bubble-wrap-Lady-GaGa-swaps-leotard-clear-plastic-dreamcoat.html?ITO=1490|제목=Bubble wrap! Lady GaGa swaps her leotard for a clear plastic dreamcoat|성=McConnell|이름=Donna|작성일자=March 13, 2009|확인일자=2009-04-06|작품명=Dailymail.co.uk|출판사=Associated Newspapers Ltd}}</ref> 사전에 가가는 팬들에게 다가올 공연에서는 높은 수준의 극적인 요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약속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팝 엔터테인먼트 예술, 멀티미디어, 패션, 기술, 영상, 영화와 같은 [[앤디 워홀]] 컨셉에 더욱 가까워지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공연에서는 이러한 영역들을 모두 보여줄 것이며, 박물관 쇼를 보는 체험이 될 것이다."<ref>{{ 웹 인용 | url=http://www.universalmusic.com/artist-news/lady-gaga-announces-dates-for-the-fame-ball-tour | 제목=Lady GaGa Announces Dates For "The Fame Ball" Tour | 작품명=Universal Music Group | 출판사=Universal Music|작성일자=2009-01-12|확인일자=2009-01-14}}</ref> 5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푸시캣 돌스]]를 위한 합동 공연을 하면서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푸시캣 돌스보다 그녀의 공연이 주목을 받았다는 평가도 있었다.<ref name="fairfax">{{웹 인용|url=http://www.theage.com.au/news/entertainment/music/2009/05/27/1243103570348.html|제목=Fans go gaga as the Lady upstages the Dolls|성=Northover|이름=Kylie|작성일자=May 27, 2009|작품명=Theage.com.au|출판사=Fairfax Digital|확인일자=2009-05-27}}</ref><ref name="herald">{{웹 인용|url=http://www.news.com.au/heraldsun/story/0,21985,25544078-5006024,00.html|제목=Lady Gaga upstages Pussycat Dolls at Rod Laver Arena|성=Adams|이름=Cameron|작성일자=May 26, 2009|작품명=News.com.au|출판사=Herald|확인일자=2009-05-27}}</ref> 북 아메리카 공연이 끝나자 2009년 8월 9일에는 [[대한민국]] [[서울]]의 [[올림픽공원|올림픽공원 올림픽 홀]]에서 공연을 하였다. 또한 공연 중 입은 의상은 〈[[롤링 스톤]]〉지의 2009년 5월 표지에서 플라스틱 비누 거품 의상을 입은 세미누드로 등장하여 화제가 되었다.<ref name="mirrorstone">{{웹 인용|url=http://www.mirror.co.uk/celebs/news/2009/05/28/lady-gaga-gets-naked-for-rolling-stone-cover-shoot-see-her-sexy-pictures-here-115875-21396568/|제목=Lady GaGa gets naked for Rolling Stone cover shoot|성=Gregory|이름=Jason|작성일자=May 28, 2009|작품명=Mirror.co.uk|확인일자=2009-05-29}}</ref><ref>{{웹 인용|url=http://www.rollingstone.com/rockdaily/index.php/2009/05/27/the-new-issue-of-rolling-stone-the-rise-of-lady-gaga/|제목= The Rise of Lady Gaga |성=Hiatt|이름=Brian|확인일자=2009-06-02|작성일자=2009-05-27|작품명=[[롤링 스톤]]}}</ref>
''The Fame''은 오스트리아,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에서 음반 차트 1위를 기록하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jam.canoe.ca/Music/Artists/L/Lady_GaGa/2009/01/14/8022056-jam.html | 제목=Lady GaGa's 'Fame' rises to No. 1 | 작품명=Canadian Online Explorer | 출판사=Canoe | 이름=John |성=Williams | 확인일자=2009-01-14 }}</ref><ref>{{웹 인용|url=http://acharts.us/album/37558|제목=Lady Gaga - The Fame|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09-01-08}}</ref> 이후에 Haus of GaGa가 미국 시장에 더욱 중점을 두면서 가가는 당시 컴백한 [[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소속의 팝 그룹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함께 첫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2008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공연을 시작하였으며, 11월 말까지 계속되었다.<ref>{{웹 인용|제목=International Pop Star Lady Gaga Set to Tour With New Kids on the Block|작품명=Reuters|작성일자=2008-10-03|url=http://www.reuters.com/article/pressRelease/idUS16002+04-Oct-2008+PRN20081004|확인일자=2009-01-08}}</ref> 그녀는 그룹의 새 음반 ''[[The Block]]''의 수록곡 ''Big Girl Now''의 피처링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ref>{{ 웹 인용 | url=http://www.amazon.com/Big-Girl-featuring-Lady-Gaga/dp/B001ESU2DM | 제목=Big Girl Now (featuring Lady Gaga)|작품명=Amazon.com|확인일자=2008-12-08}}</ref> 2008년 10월 말에 가가는 미국에서 ''The Fame''을 발매하였고, 빌보드 200에서 17위로 데뷔하였다. 음반은 첫 주에 24,000장이 팔렸으며,<ref>{{웹 인용|url=http://www.billboard.com/bbcom/esearch/article_display.jsp?vnu_content_id=1003887056|제목=AC/DC Fends Off High Debuts To Remain No. 1|성=Hasty|작성일자=2008-11-05|이름=Katie|작품명=[[빌보드]]|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확인일자=2009-01-08}}</ref> 순위에서는 최고 2위까지 올라간 바 있다.<ref>{{뉴스 인용|이름=Katy|성=Hasty|제목=U2 Tops The Billboard 200|url=http://www.billboard.com/bbcom/news/u2-tops-the-billboard-200-1003950115.story| 출판사=Nielsen Business Media Inc.|작품명=[[빌보드]]|작성일자=2009년 4월 11일|확인일자=2009-03-11}}</ref> 당시 전 세계에서는 약 230만 장이 판매되었다.<ref name="mirrorstone"/> 이러한 인기 속에 2008년 12월 5일, 가가는 최고의 떠오르는 가수를 소개하는 BBC 2009년의 사운드 목록에 올랐다.<ref name="BBC">{{cite web|제목=BBC Sound of 2009: Lady GaGa|출판사=BBC.co.uk|작품명=BBC|작성일자=2008-12-05|url=http://news.bbc.co.uk/2/hi/entertainment/7766439.stm|확인일자=2009-01-09|언어=영어}}</ref> 2009년 1월부터 5월까지 가가는 [[푸시캣 돌스]]의 유럽과 오세아니아 지역 투어의 서포트 공연을 해왔다. 투어는 1월 18일 [[스코틀랜드]] [[애버딘]]을 시작으로 5월 30일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퍼스]]를 마지막으로 종료하였다.<ref name="Tour Dates">{{웹 인용 |url=http://www.interscope.com/ladygaga/dates|제목=Lady Gaga: Tour & Events |작품=[[Interscope Records]] |확인일자=2009-12-08 }}</ref> 가가의 "Just Dance"는 그래미상에서 베스트 댄스 레코딩 부문의 후보에 올랐으나, 상은 [[다프트 펑크]]의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가 받았다.<ref name="Grammy">{{웹 인용|url=http://content.grammy.com/grammy_awards/51st_show/list.aspx|제목=The 51st Annual Grammy Awards Nominations List|출판사=The Recording Academy|확인일자=2009-01-02}}</ref> 2009년 2월 18일 가가는 록 밴드 [[더 킬러스]]의 [[브랜든 플라워즈]]와 함께 2009년 BRIR 어워즈에서 전자 댄스 듀오 [[펫 샵 보이즈]]의 무대에 참여했다. 펫 샵 보이즈는 가가와 플라워즈가 그들의 마지막 순서인 1985년 싱글 "[[West End Girls]]"에 참여하였을 때 인기를 끌었던 노래의 메들리를 공연하였다.<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1/hi/entertainment/7901677.stm|제목=Pet Shop Boys to compose ballet|작성일자=2009-02-20|저자=BBC News|확인일자=2009-02-20|작품명=BBC|출판사=BBC.co.uk}}</ref> 가가의 첫 북아메리카 투어 공연인 The Fame Ball Tour는 2009년 3월 12일 시작하였으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ref name="Interscope">{{웹 인용 |url=http://www.interscope.com/artist/news/default.aspx?nid=20117&aid=599&utm_source=rss&utm_campaign=rss&utm_medium=News&utm_content=nid_20117 |제목="The Fame Ball" U.S. Tour! |작품명=[[인터스코프 레코드|인터스코프]] |저자=IGA |작성일자=2009-01-13 |확인일자=2009-01-14 }}</ref><ref>{{웹 인용|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61705/Bubble-wrap-Lady-GaGa-swaps-leotard-clear-plastic-dreamcoat.html?ITO=1490|제목=Bubble wrap! Lady GaGa swaps her leotard for a clear plastic dreamcoat|성=McConnell|이름=Donna|작성일자=March 13, 2009|확인일자=2009-04-06|작품명=Dailymail.co.uk|출판사=Associated Newspapers Ltd}}</ref> 사전에 가가는 팬들에게 다가올 공연에서는 높은 수준의 극적인 요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약속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팝 엔터테인먼트 예술, 멀티미디어, 패션, 기술, 영상, 영화와 같은 [[앤디 워홀]] 컨셉에 더욱 가까워지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공연에서는 이러한 영역들을 모두 보여줄 것이며, 박물관 쇼를 보는 체험이 될 것이다."<ref>{{ 웹 인용 | url=http://www.universalmusic.com/artist-news/lady-gaga-announces-dates-for-the-fame-ball-tour | 제목=Lady GaGa Announces Dates For "The Fame Ball" Tour | 작품명=Universal Music Group | 출판사=Universal Music|작성일자=2009-01-12|확인일자=2009-01-14}}</ref> 5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푸시캣 돌스]]를 위한 합동 공연을 하면서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푸시캣 돌스보다 그녀의 공연이 주목을 받았다는 평가도 있었다.<ref name="fairfax">{{웹 인용|url=http://www.theage.com.au/news/entertainment/music/2009/05/27/1243103570348.html|제목=Fans go gaga as the Lady upstages the Dolls|성=Northover|이름=Kylie|작성일자=2009-05-27|작품명=Theage.com.au|출판사=Fairfax Digital|확인일자=2009-05-27}}</ref><ref name="herald">{{웹 인용|url=http://www.news.com.au/heraldsun/story/0,21985,25544078-5006024,00.html|제목=Lady Gaga upstages Pussycat Dolls at Rod Laver Arena|성=Adams|이름=Cameron|작성일자=2009-05-26|작품명=News.com.au|출판사=Herald|확인일자=2009-05-27}}</ref> 북 아메리카 공연이 끝나자 2009년 8월 9일에는 [[대한민국]] [[서울]]의 [[올림픽공원|올림픽공원 올림픽 홀]]에서 공연을 하였다. 또한 공연 중 입은 의상은 〈[[롤링 스톤]]〉지의 2009년 5월 표지에서 플라스틱 비누 거품 의상을 입은 세미누드로 등장하여 화제가 되었다.<ref name="mirrorstone">{{웹 인용|url=http://www.mirror.co.uk/celebs/news/2009/05/28/lady-gaga-gets-naked-for-rolling-stone-cover-shoot-see-her-sexy-pictures-here-115875-21396568/|제목=Lady GaGa gets naked for Rolling Stone cover shoot|성=Gregory|이름=Jason|작성일자=May 28, 2009|작품명=Mirror.co.uk|확인일자=2009-05-29}}</ref><ref>{{웹 인용|url=http://www.rollingstone.com/rockdaily/index.php/2009/05/27/the-new-issue-of-rolling-stone-the-rise-of-lady-gaga/|제목= The Rise of Lady Gaga |성=Hiatt|이름=Brian|확인일자=2009-06-02|작성일자=2009-05-27|작품명=[[롤링 스톤]]}}</ref>


이후 리패키지 형식의 EP 음반 ''[[The Fame Monster]]''를 준비하게 되고 첫 싱글 "[[Bad Romance]]"를 발표하는데, 미국에서는 안타깝게 2위를 차지했지만, 영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등 약 18개 나라에서 정상을 차지하며 인기를 이어갔다.<ref name="finance2">{{뉴스 인용|url=http://www.prnewswire.com/news-releases/lady-gaga-returns-with-8-new-songs-on-the-fame-monster-63780227.html|제목=Lady Gaga Returns With 8 New Songs on 'The Fame Monster'|이름=Release|성=Press|작성일자=2009-10-08|출판사=PR Newswire|확인일자=2009-10-09}}</ref><ref>{{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51422|제목=Lady Gaga – Bad Romance – World Charts(레이디 가가 - Bad Romance - 월드 차트)|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10-04-17}}</ref> 연이어 세 번째 싱글 "[[Telephone]]"을 발매한다. 이 곡은 미국의 알앤비 가수 [[비욘세]]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곡으로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그외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도 탑 3위권안에 드는 매우 성공적인 성적을 기록하였다.<ref>{{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52122|제목=Lady Gaga – Telephone ft. Beyoncé – World Charts|이름=aCharts.us|작성일자=2009-01-08}}</ref> 또한 레이디 가가와 비욘세가 함께 출연한 "Telephone"의 뮤직비디오는 공개된지 12시간만에 50만건이 넘는 인터넷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폭팔적인 관심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 =만나면 뜬다…레이디 가가ㆍ비욘세 |url =http://www.fnn.co.kr/content.asp?aid=dfe8957d95924f51845cdf56347d07d5|출판사=포커스신문사저자=이솔기자|쪽 = |작성일자 =2010-03-15|확인일자 =}} </ref> 그리고 [[2010년]] 열린 영국의 음악시상식인 [[브릿 어워드]]에서 3개 부문에서 후보로 올랐는데, 3개 부문 모두 수상을 하여 브릿 어워드를 휩쓸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브릿어워드 3관왕|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093899|출판사 = 뉴시스|저자 = realpaper7@newsis.com|쪽 = |작성일자 = 2010-02-17|확인일자 = }} </ref>레이디 가가는 현재 [[The Monster Ball Tour]]를 진행하는 중으로 2011년 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이후 리패키지 형식의 EP 음반 ''[[The Fame Monster]]''를 준비하게 되고 첫 싱글 "[[Bad Romance]]"를 발표하는데, 미국에서는 안타깝게 2위를 차지했지만, 영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등 약 18개 나라에서 정상을 차지하며 인기를 이어갔다.<ref name="finance2">{{뉴스 인용|url=http://www.prnewswire.com/news-releases/lady-gaga-returns-with-8-new-songs-on-the-fame-monster-63780227.html|제목=Lady Gaga Returns With 8 New Songs on 'The Fame Monster'|이름=Release|성=Press|작성일자=2009-10-08|출판사=PR Newswire|확인일자=2009-10-09}}</ref><ref>{{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51422|제목=Lady Gaga – Bad Romance – World Charts(레이디 가가 - Bad Romance - 월드 차트)|출판사=acharts.us|확인일자=2010-04-17}}</ref> 연이어 세 번째 싱글 "[[Telephone]]"을 발매한다. 이 곡은 미국의 알앤비 가수 [[비욘세]]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곡으로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그외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도 탑 3위권안에 드는 매우 성공적인 성적을 기록하였다.<ref>{{웹 인용|url=http://acharts.us/song/52122|제목=Lady Gaga – Telephone ft. Beyoncé – World Charts|이름=aCharts.us|작성일자=2009-01-08}}</ref> 또한 레이디 가가와 비욘세가 함께 출연한 "Telephone"의 뮤직비디오는 공개된지 12시간만에 50만건이 넘는 인터넷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 =만나면 뜬다…레이디 가가ㆍ비욘세 |url =http://www.fnn.co.kr/content.asp?aid=dfe8957d95924f51845cdf56347d07d5|출판사=포커스신문사저자=이솔기자|쪽 = |작성일자 =2010-03-15|확인일자 =}} </ref> 그리고 [[2010년]] 열린 영국의 음악시상식인 [[브릿 어워드]]에서 3개 부문에서 후보로 올랐는데, 3개 부문 모두 수상을 하여 브릿 어워드를 휩쓸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브릿어워드 3관왕|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093899|출판사 = 뉴시스|저자 = realpaper7@newsis.com|쪽 = |작성일자 = 2010-02-17|확인일자 = }} </ref>레이디 가가는 현재 [[The Born This Way Ball Tour]]를 진행하는 중으로 2013년 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 2010–현재: ''Born This Way'' ===
=== 2011–현재: ''Born This Way'' ===
[[파일:Lady Gaga The Edge of Glory GMA2.jpg|thumb|200px|2011년 GMA 콘서트에서 "The Edge of Glory" 공연중의 가가.]]
레이디 가가는 2010년 3월 MTV 영국의 인터뷰에서,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음반을 작업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미 핵심작업은 마친 상태라고 밝혔다. 3개월 후 롤링 스톤 인터뷰에선 세번째 음반작업은 모두 마쳤지만 2011년 3, 4월 중에 공개된다고 밝히고, 새 음반의 제목은 새해 자정에 발표한다고 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guardian.co.uk/music/2010/jun/23/lady-gaga-new-album-finished|제목=Lady Gaga's new album 'finished'(레이디 가가의 새 음반 '완료')|성=Michaels|이름=Sean|확인일자=2010-06-23|작성일자=2010-06-23|작품명=The Guardian}}</ref> 한편 레이디 가가는 7월 17일 [[세인트 루이스]]에서 [[The Monster Ball Tour]] 콘서트 중에 밖에서 반동성애자 운동가들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하였고, 가가는 자신의 [[트위터]]에 기쁜 마음을 나타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콘서트장 대규모 시위 사태|url=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382452&year=2010 |출판사 = 스타투데이|저자 =이민주 인턴 기자|작성일자 = 2010-07-20}}</ref> 2010년 그녀는 세계적인 향수 회사 Coty Inc와 장기적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가가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2012년 봄 첫 향수가 출시될 예정이다.<ref>{{뉴스 인용|제목=Scent Of A Lady|작품명=[[Vogue (magazine)|Vogue]]|작성일자=2010-09-13|이름=Forrester|성=Sharon|url=http://www.vogue.co.uk/beauty/news/100913-lady-gaga-signs-with-coty-perfumes.aspx|확인일자=2010-09-12}}</ref>
레이디 가가는 2010년 3월 MTV 영국의 인터뷰에서,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음반을 작업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미 핵심작업은 마친 상태라고 밝혔다. 3개월 후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새 정규 음반 작업은 모두 마쳤지만, 2011년 초에 발매된다고 밝혔고 새 음반의 제목은 새해 자정에 발표한다고 말했다.<ref>{{웹 인용|url=http://www.guardian.co.uk/music/2010/jun/23/lady-gaga-new-album-finished|제목=Lady Gaga's new album 'finished'(레이디 가가의 새 음반 '완료')|성=Michaels|이름=Sean|확인일자=2010-06-23|작성일자=2010-06-23|작품명=The Guardian}}</ref> 이후 앨범의 첫 싱글이자 리드 싱글인 "[[Born This Way (노래)|Born This Way]]"는 2011년 2월 11일 공개할 예정으로 하루 전 날, 싱글의 커버 사진을 공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fnn.co.kr/content.asp?aid=5a596c3d782a42e2bc49d67d905f3cb9|제목=레이디 가가 새 싱글 나왔다|저자=이솔|출판사=포커스신문사|확인일자=2011-02-11|작성일자=2011-02-10}}</ref> 2월 12일 가가의 새로운 싱글 "Born This Way"가 발매되었고, 2월 13일 제53회 [[그래미 상]]에서 첫 공연 무대를 펼쳤다. 이날 공연은 거대한 알속에서 레이디 가가가 등장해 노란색 란제리 룩을 입고 공연을 펼쳤고,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Born This Way"는 [[빌보드 핫 100]]의 19번째 1위 데뷔 싱글이 되었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000번째 1위 노래라는 기록을 세웠다.<ref>{{뉴스 인용|이름=Trust|성=Gary|제목=Lady Gaga Claims 1,000th Hot 100 No. 1 with 'Born This Way'|작품명=빌보드|출판사=billboard.com, Prometheus Global Media|작성일자=2011-02-16|url=http://www.billboard.com/news/lady-gaga-claims-1-000th-hot-100-no-1-with-1005036702.story|확인일자=2011-02-16|언어=영어}}</ref> 또한 발매되자마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상위권에 진입했고, 아이튠즈에서 5일동안 100만 건을 판매하여 아이튠즈 역사상 가장 빨리 팔린 싱글로 기록되었다.<ref name="mtv itunes">{{cite web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58317/lady-gaga-born-this-way-itunes.jhtml |title= Lady Gaga's 'Born This Way' Is Fastest-Selling Single In iTunes History |author=Gil Kaufman |publisher=MTV |date=2011-02-18 |accessdate=2011-02-18|언어=영어}}</ref> 또한 가가는 [[엘튼 존]]과 함께 애니메이션 영화 《노미오 앤 줄리엣》의 OST "Hello Hello"를 녹음했고, 2011년 2월 11일에 발매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billboard.com/#/news/lady-gaga-elton-john-duet-won-t-appear-on-1005017032.story |제목=Lady Gaga, Elton John Duet Won't Appear On Film Soundtrack|작성일자=2011-01-28|확인일자=2011-02-04|이름=Herrera|성=Monica|작품명=빌보드|출판사=Prometheus Global Media|언어=영어}}</ref><ref>{{웹 인용|언어= 영어|제목=Elton John and Lady Gaga record duet|url=http://www.guardian.co.uk/music/2010/oct/25/elton-john-lady-gaga-duet|이름=Michaels|성=Sean|작성일자=2010-10-25|확인일자=2010-12-15|작품명=The Guardian |location=런던}}</ref>


2011년 4월에는 두 번째 싱글 "[[Judas]]"를 발매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3805513 레이디 가가 새 싱글 'Judas' 18일 한국공개] 《뉴시스》. 2011년 4월 17일 작성. 2011-05-01 확인.</ref> 세 번째 싱글은 "[[The Edge of Glory]]"로 2011년 5월 발매되었고, 빌보드 핫 100 3위로 데뷔했다.<ref>{{cite news|url=http://www.billboard.com/#/news/adele-stays-atop-hot-100-lady-gaga-makes-1005188862.story|title=Adele Stays Atop Hot 100, Lady Gaga Makes 'Glory'-ous Start|first=Gary|last=Trust|publisher=Prometheus Global Media|work=[[빌보드]]|언어=영어|date=2011-05-18|accessdate=2011-05-18}}</ref> 뿐만아니라 프로모션 싱글인 "[[Hair]]"도 발매했다.<ref>{{cite news|url=http://www.billboard.com/news/lady-gaga-s-edge-of-glory-single-premieres-1005175582.story|title=Lady Gaga's 'Edge of Glory' Single Premieres, 'Hair' Coming Next Week |first=Jason|last= Lipshutz |date=2011-05-09 |work=[[빌보드]] |publisher=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언어=영어 |accessdate=2011-10-29}}</ref> 같은 시기 가가의 두 번째 정규 음반 ''Born This Way''가 발매되었고 미국에서 발매 첫 주 1,108,000만 장을 팔아치워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ref>{{cite news|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64888/lady-gaga-billboard.jhtml |title=Lady Gaga Crashes Billboard With 1.1 Million|last=Montgomery|first=James|date=2011-06-02|accessdate=2011-06-02|publisher=MTV (MTV 네크워크)|언어=영어}}</ref> 뿐만아니라 1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정상으로 데뷔했다. 음반은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보컬 범위로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ref>{{cite web|first=Adam|last=Markovitz|url=http://music-mix.ew.com/2011/05/24/lady-gaga-born-this-way-album-review/|title=Lady Gaga's 'Born This Way'|work=엔터테인먼트 위클리|언어=영어|publisher=Time Inc.|date=2011-05-25|accessdate=2011-10-29}}</ref><ref>{{cite web|url=http://www.slantmagazine.com/music/review/lady-gaga-born-this-way/2508 |title=Lady Gaga: Born This Way &#124; Music Review |publisher=실렌트 메거진|date=2011-05-21|last=Cinquemani|first=Sal |accessdate=2011-10-29|언어=영어}}</ref> 2011년 6월 13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시드니 타운 홀]]에서 ''Born This Way'' 홍보를 위해 콘서트를 했다.<ref>{{cite web |url=http://www.starobserver.com.au/celebrity-2/2011/05/30/gaga-confirms-oz-visit/53176 |title=Gaga confirms Oz visit |first=Mike |last=Mrkic |date=2011-05-30 |work=시드니 스타 옵저버|언어=영어|accessdate=2011-05-30}}</ref> 이후 2011년 8월, 네 번째 싱글 "[[You and I]]"를 발매해 빌보드 핫 100 6위까지 진입했다.<ref>[http://www.billboard.com/song/lady-gaga/you-and-i/25476941#/song/lady-gaga/you-and-i/25476941 빌보드 핫 100 - You and I] 《빌보드》. 2011-11-12 확인.</ref> 또한 가가는 2,300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거느리고 있고, 2008년 싱글인 "Poker Face"가 빌보드 핫 디지털 송에서 83주째 머물고있어 2012년 판 [[기네스 북]]에 등재 되었다.<ref name=gagarecord>{{cite web|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70701/lady-gaga-adele-guinness-book-of-world-records.jhtml|first=Gil|last=Kaufman|title=Adele, Lady Gaga, Justin Bieber Land New Guinness Records|work=''MTV News''|publisher=MTV Networks|date=2011-09-14|accessdate=2011-09-21|언어=영어}}</ref> 가가는 미국이 전 대통령인 [[빌 클린턴]] 65세 생일파티이자 "윌리엄 J 클린턴 재단" 설립 10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클린턴 65세 생일파티에 보노·레이디 가가·제인 폰다 …|url=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431487&cloc=olink|article|default|저자=유지혜|출판사=[[중앙일보]]|작성일자=2011-10-17|확인일자=2011-11-12}}</ref> 2011년 11월에 열린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가가는 "Born This Way"로 최우수 노래, 최우수 비디오 부문에서 수상을 했고, 이외에 최우수 여성 아티스트, 최다 팬을 수상해 4관왕을 하며 최다 수상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레이디가가, MTV EMA 최다 수상 ‘4관왕’|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633200&sid=E&tid=C|저자=신경진|출판사=[[내일신문]]|작성일자=2011-11-07|확인일자=2011-11-12}}</ref> 같은 시기, 다섯 번째 싱글 "[[Marry the Night]]"을 발매했다. 2012년 4월 27일부터는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주경기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The Born This Way Ball Tour]]의 첫 공연을 하였고, 전세계를 돌며 약 110회의 공연을 가질 예정이다.<ref>[http://www.billboard.biz/bbbiz/industry/touring/exclusive-info-lady-gaga-s-born-this-way-1006127752.story Exclusive Info: Lady Gaga's 'Born This Way Ball' Tour to Hit Asia, Europe, Latin America This Year; North America in 2013]</ref>
== 음악 스타일 및 영향 ==
가가는 [[데이빗 보위]]와 [[엘튼 존]], [[퀸 (밴드)|퀸]]과 같은 가수 뿐만 아니라 주로 대중 음악 가수와 매혹적인 행위 예술가들인 [[마돈나]], [[브리트니 스피어스]], [[마이클 잭슨]]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ref name="interview" /><ref name="Allmusic bio"/> 한편 레이디 가가의 본명은 '스테파니 조앤 안젤리나 제르마노타'지만 [[퀸 (밴드)|퀸]]의 노래중 "Radio Ga Ga"에서 영감을얻어 '레이디 가가'라는 이름을 지었다고한다.<ref name="soundtrack">{{뉴스 인용|url=http://www.guardian.co.uk/music/2009/sep/06/lady-gaga-popandrock|제목=Soundtrack of my life: Lady Gaga(내 인생의 사운드 트랙 : 레이디 가가)|작품명=[[The Guardian]]|출판사=[[Guardian News and Media]]|이름=Thomson|성=Graeme|작성일자=2009-09-06|확인일자=2010-05-06 |장소=London}}</ref> 그녀의 음악 구조는 유럽의 고전적인 1980년대와 1990년대 에코 클래식에 기반을 두었으며 가가의 보컬 성향은 가끔 [[마돈나]] 및 [[그웬 스테파니]]와 함께 비교됐다.<ref name=BG>{{뉴스 인용|이름=Petridis|성=Alexis|제목=Lady Gaga: The Fame (레이디 가가: The Fame)|일=The Guardian|작성일자=2009-01-09|url=http://www.guardian.co.uk/music/2009/jan/09/lady-gaga-the-fame|authorlink=Alexis Petridis|작성일자=2009-01-03|확인일자=2010-05-06|출판사=Guardian News and Media |위치=London}}</ref>


== 예술가적 기교 ==
2010년 5월 미국의 시사 잡지인 [[타임스]]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을 온라인 투표로 진행한 결과 레이디 가가는 5위에 선정돼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과시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뉴스 인용|제목 =김연아-비 ‘타임 영향력있는 100인’ 레이디가가 꺾고 3, 4위 확정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4301023541001 |출판사 = 뉴스엔|저자 =백지현 기자 |쪽 = |작성일자 = 2010-04-30|확인일자 = }}</ref> 또한 가가는 [[페이스북]] 팬 수가 1000만명에 거의 도달하였고, [[트위터]] 계정의 팔로워도 5백만명에 가까울 정도로 살아있는 인물 중 가장 유명함을 확인시켜주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가가 페이스북 팬, 오바마 앞질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361934|출판사 =연합 뉴스|저자 =|쪽 = |작성일자 = 2010-07-2|확인일자 = }}</ref> 2010년 10월에는 [[유투브]]사상 조회수가 10억을 돌파해 아티스트로서는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 이는 하루 평균 180만명의 사람들이 동영상을 관람한 결과이다.<ref>{{뉴스 인용|제목 ="유투브의 여왕"…레이디 가가, 사상 최초 조회수 10억명 돌파|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889558.htm|출판사 =스포츠서울 연예|저자 =오세희 인턴 기자 |작성일자 = 2010-10-26|확인일자 =2010-11-06 }}</ref> 또한 가가는 2010년 [[빌보드]]가 발표한 연말 차트 중 최고의 가수로 선정되었고, ''[[The Fame]]''과 ''[[The Fame Monster]]''는 각각 4위와 13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美빌보드 선정 2010년 최고의 가수|url=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21313185333401|출판사 =스포츠투데이|저자 =고경석 기자 |작성일자 = 2010-12-13|확인일자 =2010-12-13}}</ref>
=== 음악 스타일 및 영향 ===
가가는 [[데이빗 보위]]와 [[엘튼 존]], [[퀸 (밴드)|퀸]]과 같은 가수 뿐만 아니라 주로 대중 음악 가수와 매혹적인 행위 예술가들인 [[마돈나]], [[휘트니 휴스턴]], [[브리트니 스피어스]], [[마이클 잭슨]]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ref name="interview" /><ref name="Allmusic bio"/><ref name="DR">{{Cite news |url=http://www.thefreelibrary.com/THE+FEAR+FACTOR%3B+Lady+Gaga+used+tough+times+as+inspiration+for+her...-a0213005824 |last=Dingwall |first=John |title=The Fear Factor; Lady Gaga used tough times as inspiration for her new album |work=데일리 레코드|언어=영어 |pages=48–49 |date=2009-11-27 |accessdate=2009-05-06 |accessdate=2010-05-06}}</ref> 한편, 레이디 가가의 본명은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제르마노타'지만 [[퀸 (밴드)|퀸]]의 노래중 "Radio Ga Ga"에서 영감을얻어 '레이디 가가'라는 이름을 지었다고한다.<ref name="soundtrack">{{뉴스 인용|url=http://www.guardian.co.uk/music/2009/sep/06/lady-gaga-popandrock|제목=Soundtrack of my life: Lady Gaga(내 인생의 사운드 트랙 : 레이디 가가)|작품명=더 가디언|출판사=가디언 뉴스앤 미디어|이름=Thomson|성=Graeme|작성일자=2009-09-06|확인일자=2010-05-06 |장소=런던}}</ref> 가가는 마돈나와 비교하는 것에 대해서 "나는 주제넘은 소리를 하고 싶지 않지만, 팝 음악에 대변혁을 일으키는게 내 목표였다. 마돈나는 이미 25년 전 혁명을 일으켰다"라고 말했다.<ref name="DR" /> 이 외에 배우이자 가수인 [[그레이스 존스]]에게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했고, 밴드 [[블론디]]의 맴버 [[데비 헤리]]도 함께 언급했다.<ref name="Prefix magazine">{{cite web |url=http://www.prefixmag.com/news/lady-gaga-grace-jones-androgynous-robo-future-fash/26057/ |title=Lady GaGa: "Grace Jones, Androgynous, Robo, Future Fashion Queen" |first=Alexandra |last=Symonds |work=Prefix |accessdate=2009-07-11 |date=2009-07-10|언어=영어}}</ref><ref>{{cite news |url=http://www.thisislondon.co.uk/showbiz/article-23694934-debbie-harry-would-love-to-perform-with-lady-gaga.do |title=Debbie Harry Would Love To Perform With Lady Gaga |date=2009-10-25 |last=Smith |first=Liz |work=[[Evening Standard]] |publisher=Daily Mail and General Trust |accessdate=2009-10-30|언어=영어}}</ref><ref>{{cite news |url=http://www.guardian.co.uk/music/2009/jul/01/lady-gaga-review |title=Lady Gaga: Academy, Manchester |last=Simpson |first=Dave |date=2009-07-01 |accessdate=2009-10-30 |work=더 가디언|publisher=가디언 뉴스앤 미디어 | location=런던|언어=영어}}</ref>


레이디 가가는 [[콘트랄토]] 보컬 범위를 가지고있다.<ref>{{cite news|url=http://www.buzzle.com/articles/biography-of-lady-gaga.html|title=Lady Gaga's biography|last=Chatterjee Shukla|first=Ishani|date=11/18/2010|work=Buzzle|publisher=Buzzle.com, intelliegent life on the web|location=California}} </ref> 가가의 음악 구조는 유럽의 고전적인 1980년대와 1990년대 에코 클래식에 기반을 두었으며 가가의 보컬 성향은 가끔 [[마돈나]] 및 [[그웬 스테퍼니]]와 함께 비교됐다.<ref name=BG>{{뉴스 인용|이름=Petridis|성=Alexis|제목=Lady Gaga: The Fame (레이디 가가: The Fame)|일=The Guardian|작성일자=2009-01-09|url=http://www.guardian.co.uk/music/2009/jan/09/lady-gaga-the-fame|authorlink=Alexis Petridis|작성일자=2009-01-03|확인일자=2010-05-06|출판사=Guardian News and Media |위치=London}}</ref> 《더 선데이 타임즈》에서 가가의 데뷔 앨범 ''[[The Fame]]''에 대해 "이 앨범은 패션, 예술, 음악을 모두 결합한 앨범으로 마치 한참 전성기 시절의 마돈나와 "Hollaback Girl" 때의 그웬 스테퍼니, 2001년도의 [[카일리 미노그]], 그리고 지금의 그레이스 존스를 연상케 한다"라고 리뷰했다.<ref>{{뉴스 인용|제목=Lady GaGa: the future of pop?|언어=영어|url=http://entertainment.timesonline.co.uk/tol/arts_and_entertainment/music/article5325327.ece?token=null&offset=0&page=1|newspaper=The Sunday Times|작성일자=2008-12-14|확인일자=2009-08-09|이름=Hajibageri|성=Sarah|출판사=News International | 출판위치=런던}}</ref>
한편 미국의 사우스 캐롤리나 대학에서는 레이디 가가의 인기를 사회학으로 다루는 강의가 2011년 1월 개강할 예정이다.<ref>{{뉴스 인용|제목 =美 대학 ‘사회학으로 바라본 레이디 가가’ 강의 개설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1041533071001|출판사 =뉴스엔|저자 =한지윤 기자 |작성일자 = 2010-11-04|확인일자 =2010-11-06 }}</ref>


=== 패션과 영향 ===
=== 이미지 ===
[[파일:Gagafameball.jpg|220px|right|thumb|The Fame Ball Tour에서 플라스틱 거품 드레스를 입고 공연하는 가가.]]
[[파일:Gagafameball.jpg|200px|왼쪽|thumb|The Fame Ball Tour에서 플라스틱 거품 드레스를 입고 공연하는 가가.]]
가가의 독특한 패션과 퍼포먼스는 많은 화제가 되었다. 음악 못지 않게 비주얼적인 측면을 강조하는<ref name="interview"/> 그녀는 스스로 "패션에 빠져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말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ref name="MTV">{{ 웹 인용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589013/20080609/id_0.jhtml | 제목=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 And A New Kids Song | 작품명=[[MTV]] | 출판사=MTV Networks Entertainment Group | 이름=Chris |성=Harris | 작성일자=2008년 12월 9일 | 확인일자=2009-01-08|언어=영어 }}</ref>
가가의 독특한 패션과 퍼포먼스는 많은 화제가 되었다. 음악 못지 않게 비주얼적인 측면을 강조하는<ref name="interview"/> 그녀는 스스로 "패션에 빠져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말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ref name="MTV">{{ 웹 인용 |url=http://www.mtv.com/news/articles/1589013/20080609/id_0.jhtml | 제목=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 And A New Kids Song | 작품명=[[MTV]] | 출판사=MTV Networks Entertainment Group | 이름=Chris |성=Harris | 작성일자=2008년 12월 9일 | 확인일자=2009-01-08|언어=영어 }}</ref>


{{인용문2|나는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 곡을 다 쓴 후 어떤 비디오를 만들지 결정하는 게 아니라 곡을 쓰면서 비주얼 요소를 생각한다. 무대 위에서 부르는 노래와 사람에게 보이는 비주얼은 하나의 완성된 세트이며,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말은 모든 것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일종의 나만의 은유인 셈이다.<ref name="yunhab">{{웹 인용|제목=레이디 가가 "난 의상위해 음악 만든다"|작성일자=2009-02-23 |확인일자=2009-06-15|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2516593|출판사=연합뉴스|저자=김영현}}</ref>}}
{{인용문2|나는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 곡을 다 쓴 후 어떤 비디오를 만들지 결정하는 게 아니라 곡을 쓰면서 비주얼 요소를 생각한다. 무대 위에서 부르는 노래와 사람에게 보이는 비주얼은 하나의 완성된 세트이며,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말은 모든 것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일종의 나만의 은유인 셈이다.<ref name="yunhab">{{웹 인용|제목=레이디 가가 "난 의상위해 음악 만든다"|작성일자=2009-02-23 |확인일자=2009-06-15|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2516593|출판사=연합뉴스|저자=김영현}}</ref>}}


《[[타임즈|타임즈 온라인]]》에서는 자신의 패션 사랑이 "언제나 아름답고 한결 같이 멋졌던" 어머니로부터 온 것이라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online2"/> 가가는 또한 [[베르사체]]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도나텔라 베르사체]]가 자신의 많은 영역에 영감을 준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베르사체는 상징적이고 강렬하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돌을 던지지만, 그녀는 분명히 도발적인 매력이 있다."<ref name="Times Online.co.uk"/>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멜리사 막사사이는 가가의 패션을 예로 들면서, 그녀가 도나텔라의 [[도플갱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하였다.<ref name="doppelganger">{{웹 인용|url=http://latimesblogs.latimes.com/alltherage/2009/01/lady-gaga-donat.html | 제목=Is Lady Gaga Donatella Versace's doppelganger? | 작품명=[[로스앤젤레스 타임즈]] | 이름=Melissa |성=Magsaysay | 작성일자=2009-01-29| 확인일자=2009-01-30|언어=영어 }}</ref> 막사이사이는 "그녀가 상하의를 동시에 입기를 싫어한다거나…샴페인을 마구 들이키고 수영복을 사랑하는 것은 매우 도나텔라스럽다."고 평가하였다.<ref name="doppelganger"/> 가가는 그녀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창작 집단 "Haus of Gaga"을 통해서 패셔너블한 옷과 무대 소도구, 가발 등을 준비한다.<ref>{{웹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9/03/143_40885.html|제목=Lady Gaga Burning Up Album Charts|이름=Cathy |성=Garcia|작성일자=2009-03-08|확인일자=2009-03-10|출판사=[[코리아 타임즈]]|작품명=Janmedia Interactive}}</ref>
《[[타임즈|타임즈 온라인]]》에서는 자신의 패션 사랑이 "언제나 아름답고 한결 같이 멋졌던" 어머니로부터 온 것이라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online2"/> 가가는 또한 [[베르사체]]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도나텔라 베르사체]]가 자신의 많은 영역에 영감을 준다고 설명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베르사체는 상징적이고 강렬하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돌을 던지지만, 그녀는 분명히 도발적인 매력이 있다."<ref name="Times Online.co.uk"/>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멜리사 막사사이는 가가의 패션을 예로 들면서, 그녀가 도나텔라의 [[도플갱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하였다.<ref name="doppelganger">{{웹 인용|url=http://latimesblogs.latimes.com/alltherage/2009/01/lady-gaga-donat.html | 제목=Is Lady Gaga Donatella Versace's doppelganger? | 작품명=[[로스앤젤레스 타임즈]] | 이름=Melissa |성=Magsaysay | 작성일자=2009-01-29| 확인일자=2009-01-30|언어=영어 }}</ref> 막사이사이는 "그녀가 상하의를 동시에 입기를 싫어한다거나…샴페인을 마구 들이키고 수영복을 사랑하는 것은 매우 도나텔라스럽다."고 평가하였다.<ref name="doppelganger"/> 가가는 그녀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창작 집단 [[하우스 오브 가가]]를 통해서 패셔너블한 옷과 무대 소도구, 가발 등을 준비한다.<ref>{{웹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art/2009/03/143_40885.html|제목=Lady Gaga Burning Up Album Charts|이름=Cathy |성=Garcia|작성일자=2009-03-08|확인일자=2009-03-10|출판사=[[코리아 타임즈]]|작품명=Janmedia Interactive}}</ref>


[[파일:LadyGaga-EqualityMarch-Crop.jpg|thumb|left|200px|연설하고 있는 레이디 가가 (2009년 10월 11일)]]
[[파일:Monster Ball uk Vanity BDR.jpg|thumb|오른쪽|200px|화제가 되었던 투명한 수녀 복장을 입은 가가.]]
2008년 말 경에는 가가와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스타일과 머리 모양, 메이크업이 유사한 것을 들어 패션 감각의 비교가 화제가 되었다.<ref name="Times Online.co.uk"/> 아길레라는 후에 "그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고 주장하며 "남자인지 여자인지도 모르겠다"고까지 말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가가는 언론이 이러한 비교에 관심을 가져 이름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었다며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ref name="who copied?"/> "그녀와 같은 대스타라면 나는 꽃을 보내야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까지 내가 누군지 알지 못했으니까. 이것은 정말 나를 지도에 있는 길에 세워준 것과 같다."<ref>{{웹 인용|url=http://www.ok.co.uk/celebnews/view/6299/GaGa-I-m-thankful-for-Christina/|제목=GaGa: I'm thankful for Christina|작성일자=2008년 12월 31일|출판사=OK!|확인일자=2009-01-08}}</ref><ref name="who copied?">{{ 웹 인용 | 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35704/So-copied-Lookalikes-Lady-GaGa-Christina-Aguilera-embroiled-style-row.html | 제목=So who copied who? Lookalikes Lady GaGa and Christina Aguilera embroiled in style row | 작품명=Daily Mail | 이름=Daily Mail |성=Reporter | 작성일자=2009-02-03| 확인일자=2009-02-06 }}</ref> 그러나, 나중에 가가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스캔들"을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다고 밝히며, "누구도 나를 베낄 수 없다. 왜냐하면 나는 베껴질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ref name="Times Online.co.uk"/><ref name="who copied?"/> 가가는 원래 갈색 머리를 가진 브루넷으로, 2008년부터 머리를 염색하였다. 《[[타임즈|타임즈 온라인]]》에 따르면 가가는 영국의 가수 [[에이미 와인하우스]]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머리를 금발로 염색했다고 한다.<ref name="timesonline2"/> 2009년 5월 《[[롤링 스톤]]》 지에서는 가가가 자신이 아름다운 여성에게 영향을 받은 바이섹슈얼 성향임을 밝힌 것이 이슈가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이러한 성적 취향에 다른 사람들이 지레 겁을 먹게 되어 서로를 불편하게 만들었다고 말하였으며, " 단지 물리적으로 타인에게 끌리는 것일 뿐, 한번도 여성과 사랑에 빠진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ref name="rsannual">{{저널 인용|성=Hiatt|이름=Brian|작성일자=May 2009|제목=The Rise of Lady Gaga|저널=[[롤링 스톤]]|출판사=Real Media|장소=New York|이슈=1080|언어=English|확인일자=2009-06-02}}</ref>


=== 성과 ===
2008년 말 경에는 가가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스타일과 머리 모양, 메이크업이 유사한 것을 들어 패션 감각의 비교가 화제가 되었다.<ref name="Times Online.co.uk"/> 아길레라는 후에 "그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고 주장하며 "남자인지 여자인지도 모르겠다"고까지 말하였다.<ref name="Times Online.co.uk"/> 후에 가가는 언론이 이러한 비교에 관심을 가져 이름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었다며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ref name="who copied?"/> "그녀와 같은 대스타라면 나는 꽃을 보내야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까지 내가 누군지 알지 못했으니까. 이것은 정말 나를 지도에 있는 길에 세워준 것과 같다."<ref>{{웹 인용|url=http://www.ok.co.uk/celebnews/view/6299/GaGa-I-m-thankful-for-Christina/|제목=GaGa: I'm thankful for Christina|작성일자=2008년 12월 31일|출판사=OK!|확인일자=2009-01-08}}</ref><ref name="who copied?">{{ 웹 인용 | url=http://www.dailymail.co.uk/tvshowbiz/article-1135704/So-copied-Lookalikes-Lady-GaGa-Christina-Aguilera-embroiled-style-row.html | 제목=So who copied who? Lookalikes Lady GaGa and Christina Aguilera embroiled in style row | 작품명=Daily Mail | 이름=Daily Mail |성=Reporter | 작성일자=2009-02-03| 확인일자=2009-02-06 }}</ref> 그러나 후에 그녀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스캔들"을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다고 밝히며, "누구도 나를 베낄 수 없다. 왜냐하면 나는 베껴질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ref name="Times Online.co.uk"/><ref name="who copied?"/>
그녀의 이미지와 패션 감각은 [[패리스 힐튼]]과 [[니콜 리치]]와 같은 명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ref>{{웹 인용|url=http://www.dailytexanonline.com/for-lady-gaga-style-talent-have-powered-rise-to-fame-1.1745474|제목=For Lady Gaga, style, talent have powered rise to fame |성=McKenzie|이름=Ana|작성일자=2009-05-06|작품명=The Daily Texan|출판사=College Media Journal|확인일자=2009-05-28}}</ref> 최근의 연구에서는 가가의 영향으로 영국의 니커스 소비가 25% 증가하였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란제리 전문가 아네트 워버튼에 따르면, 16세 이하의 여성 청소년들이 검은 속옷을 구입하여 핫 팬츠처럼 입는 것은 가가의 스타일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ref>{{ 웹 인용| url=http://www.mirror.co.uk/celebs/news/2009/05/30/going-gaga-on-big-pants-115875-21400327/ | 제목=Lady GaGa Inspires Sales Surge for Big Pants | 작품명=Mirror.co.uk |출판사= MGN Ltd | 작성일자=2009-05-30 | 확인일자=2009-06-04}}</ref> 한편, 2010년 9월 열린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2010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생고기 드레스를 입고 나와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는데,<ref>{{뉴스 인용|제목 = 레이디가가, VMA 2010 생고기 드레스 패션 ‘파격의 ‘격’이 달라’|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9131507201001|출판사 =뉴스엔|저자 =고경민 기자 |작성일자 = 2010-09-13|확인일자 =2010-11-06 }}</ref> 이 생고기 드레스는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2010년 올해의 아이디어로 선정되었고,<ref>{{뉴스 인용|제목 = NYT 올해의 아이디어…레이디 가가 '생고기 드레스'|url=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8&news_seq_no=1020716|출판사 =매일경제 TV|저자 =임소라|작성일자 = 2010-12-17|확인일자 =2010-12-20}}</ref> 미국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박제를 거쳐 가가의 어린 시절 피아노와 함께 "Women Who Rock: Vision, Passion, Power"라는 이름으로 보존하고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생고기 드레스, 美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전시|url=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08290488168822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저자 =전소희|작성일자 = 2011-06-17|확인일자 =2011-08-31}}</ref>


《[[롤링 스톤]]》은 가가의 패션 감각, 음악, 모습을 종합해 가가를 2011년 "팝의 여왕"이라고 지명했다.<ref>{{cite web|title=Introducing the Queen of Pop|url=http://www.rollingstone.com/music/news/introducing-the-queen-of-pop-20110629|date=2011-06-29|accessdate=2011-11-27|work=롤링 스톤|first=Chris|last=Molanphy|언어=영어}}</ref> 한편 2011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사회학교수 마슈이 델플램은 가가의 세계적 명성 증가와 현대 문화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Lady Gaga and the Sociology of Fame"이라는 강의를 개설했다.<ref>{{뉴스 인용|제목 =美 대학 ‘사회학으로 바라본 레이디 가가’ 강의 개설 |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1041533071001|출판사 =뉴스엔|저자 =한지윤 기자 |작성일자 = 2010-11-04|확인일자 =2010-11-06 }}</ref><ref>{{Cite news |title=US College Offering Lady GaGa Degree |url=http://www.mtv.co.uk/artists/lady-gaga/news/244144-us-college-offering-lady-gaga-degree |publisher=MTV Networks |last=Vena |first=Jocelyn |accessdate=2010-11-03 |date=2010-10-30|언어=영어}}
가가는 갈색 머리를 가진 브루넷으로, 2008년부터 머리를 염색하였다. 《[[타임즈|타임즈 온라인]]》에 따르면 가가는 같은 [[싱어송라이터]]인 [[에이미 와인하우스]]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머리를 금발로 염색하였다고 한다.<ref name="timesonline2"/> 그녀의 이미지와 패션 감각은 [[패리스 힐튼]]과 [[니콜 리치]]와 같은 명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ref>{{웹 인용|url=http://www.dailytexanonline.com/for-lady-gaga-style-talent-have-powered-rise-to-fame-1.1745474|제목=For Lady Gaga, style, talent have powered rise to fame |성=McKenzie|이름=Ana|작성일자=2009-05-06|작품명=The Daily Texan|출판사=College Media Journal|확인일자=2009-05-28}}</ref> 최근의 연구에서는 가가의 영향으로 영국의 니커스 소비가 25% 증가하였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란제리 전문가 아네트 워버튼에 따르면, 16세 이하의 여성 청소년들이 검은 속옷을 구입하여 핫 팬츠처럼 입는 것은 가가의 스타일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ref>{{ 웹 인용| url=http://www.mirror.co.uk/celebs/news/2009/05/30/going-gaga-on-big-pants-115875-21400327/ | 제목=Lady GaGa Inspires Sales Surge for Big Pants | 작품명=Mirror.co.uk |출판사= MGN Ltd | 작성일자=2009-05-30 | 확인일자=2009-06-04}}</ref> 2009년 5월 《[[롤링 스톤]]》 지에서는 가가가 자신이 아름다운 여성에게 영향을 받은 바이섹슈얼 성향임을 밝힌 것이 이슈가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이러한 성적 취향에 다른 사람들이 지레 겁을 먹게 되어 서로를 불편하게 만들었다고 말하였으며, " 단지 물리적으로 타인에게 끌리는 것일 뿐, 한번도 여성과 사랑에 빠진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ref name="rsannual">{{저널 인용|성=Hiatt|이름=Brian|작성일자=May 2009|제목=The Rise of Lady Gaga|저널=[[롤링 스톤]]|출판사=Real Media|장소=New York|이슈=1080|언어=English|확인일자=2009-06-02}}</ref>
*{{cite web |title=SOCY 398D – Lady Gaga and the Sociology of the Fame |first= Mathieu |last=Deflem |url=http://www.cas.sc.edu/socy/faculty/deflem/gaga.html |publisher=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accessdate=2010-03-11|언어=영어}}
*{{cite news| title = Beyond ABCs of Lady Gaga to the Sociology of Fame| author=Katharine Q. Seelye| date = 2010-10-28|work=뉴욕 타임스|언어=영어| url = http://www.nytimes.com/2010/10/29/us/29gaga.html}}</ref> 2010년 5월 미국의 시사 잡지인 [[타임스]]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을 온라인 투표로 진행한 결과 레이디 가가는 5위에 선정돼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과시했다.<ref name=autogenerated1>{{뉴스 인용|제목 =김연아-비 ‘타임 영향력있는 100인’ 레이디가가 꺾고 3, 4위 확정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4301023541001 |출판사 = 뉴스엔|저자 =백지현 기자|작성일자 = 2010-04-30}}</ref> 또한 2010년 이미 [[페이스북]]과 [[트위터]] 계정의 팔로워, 팬 수가 1,000만 명이 넘었고<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가가 페이스북 팬, 오바마 앞질러|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361934|출판사 =연합 뉴스|작성일자 = 2010-07-2}}</ref> 2012년 3월 5일에는 트위터 팔로워를 처음으로 2,000만 명을 넘겼다.<ref>{{뉴스 인용|제목 =‘트위터 퀸’ 레이디 가가, 2,000만 팔로워 돌파 ‘신기록’|url=http://www.ukopia.com/ukoHollywood/?page_code=read&uid=145570&sid=30&sub=3|출판사 =유코피아|저자=채치훈|작성일자 = 2012-03-08|확인일자=2012-04-03}}</ref> 2010년 10월에는 [[유튜브]]사상 조회수가 10억을 돌파해 아티스트로서는 최초의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하루 평균 180만명의 사람들이 동영상을 관람한 결과이다.<ref>{{뉴스 인용|제목 ="유튜브의 여왕"…레이디 가가, 사상 최초 조회수 10억명 돌파|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889558.htm|출판사 =스포츠서울 연예|저자 =오세희 인턴 기자|작성일자 = 2010-10-26|확인일자 =2010-11-06 }}</ref> 또한 가가는 2010년 [[빌보드]]가 발표한 연말 차트 중 최고의 가수로 선정되었고, ''[[The Fame]]''과 ''[[The Fame Monster]]''는 각각 4위와 13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美빌보드 선정 2010년 최고의 가수|url=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121313185333401|출판사 =스포츠투데이|저자 =고경석 기자 |작성일자 = 2010-12-13|확인일자 =2010-12-13}}</ref>


== 자선 활동 ==
한편 2010년 9월 열린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2010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생고기 드레스를 입고 나와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는데,<ref>{{뉴스 인용|제목 = 레이디가가, VMA 2010 생고기 드레스 패션 ‘파격의 ‘격’이 달라’|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9131507201001|출판사 =뉴스엔|저자 =고경민 기자 |작성일자 = 2010-09-13|확인일자 =2010-11-06 }}</ref> 이 생고기 드레스는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2010년 올해의 아이디어로 선정되기도 한다.<ref>{{뉴스 인용|제목 = NYT 올해의 아이디어…레이디 가가 '생고기 드레스'|url=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8&news_seq_no=1020716|출판사 =매일경제 TV|저자 =임소라|작성일자 = 2010-12-17|확인일자 =2010-12-20}}</ref> 또한 대한민국에서 가가는 [[밀라노]]에서 열린 콘서트 중 투명한 옷을 입고 나와 하루종일 [[네이버]] 검색어에 오르는등 큰 화제가 되었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가가 투명옷, 은밀한 부위에 반창고만… ‘파격 패션’의 끝은? |url=http://sstv.freechal.com/index.html?page=news/flypage&nid=95598&cid=24|출판사 =SSTV|저자 =조성욱 기자 |작성일자 = 2010-12-11|확인일자 =2010-12-13}}</ref>
[[파일:LadyGaga-EqualityMarch-Crop.jpg|thumb|200px|연설하고 있는 레이디 가가 (2009년 10월 11일)]]
레이디 가가는 음악 활동뿐만아니라 여러 곳에서 자선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이티 지진 참사]]를 돕기 위해 여러 연예인들과 함께 50만 달러 이상을 기부했고, 이 금액은 가가의 콘서트와 쇼핑몰의 수익이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기부 천사’ 레이디가가, 150억 원대 대저택 구입 ‘취향 역시 독특해~’|url=http://kr.ibtimes.com/article/news/20101124/3729628.htm|출판사 =아이비타임즈|작성일자 = 2010-12-24|확인일자 =2011-02-11}}</ref>

가가는 에이즈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많은 활동도 해오고 있는데, 세계 에이즈 날을 맞아 [[앨리샤 키스]]를 비롯해 유명 팝 가수들과 함께 '어 차일드 얼라이브'의 자선기금모금 활동을 돕기위해 디지털 생명의 희생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때문에 100만 달러를 모을때까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디지털 생활을 끊었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레이디 가가를 '죽음'에서 구해낸 갑부는?|url=http://www.ukopia.com/ukoHollywood/?page_code=read&uid=137786&sid=36&sub=3-20|출판사 =유코피아|저자 =채치훈|작성일자 = 2010-12-07|확인일자 =2011-02-11}}</ref> 또한 [[신디 로퍼]]와 함께 '맥 비바글램 캠페인의 2010 홍보대사'로 선정 돼 "이제는 에이즈에 걸릴 확률이 높은 여성들을 위해 변화를 가져올 때"라며 에이즈에 대한 예방과 퇴치 활동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팝스타 레이디 가가, 에이즈 퇴치에 나선 이유?|url=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102984|출판사 =폴리뉴스|저자 =이청원|작성일자 = 2010-04-12|확인일자 =2011-02-11}}</ref> 《MAC》은 맥 비바 글램 캠페인으로 레이디 가가의 사인이 새겨진 립스틱을 출시했고, 이것으로 약 50여억 원을 벌어들여 모든 수익금은 맥 에이즈 펀드에 기탁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역시! 레이디 가가, AIDS 캠페인 립스틱 불티나게 판매|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3021410331004|출판사 =뉴스엔|저자 =김유경|작성일자 = 2010-03-02|확인일자 =2011-02-11}}</ref> 이러한 동성의 인권 보호, 에이즈에 대한 활동 등으로 2010년 자선 활동을 가장 많이 펼친 사람 1위로 뽑혔다.<ref name="서울신문">{{뉴스 인용|제목 ="사회 지도층의 의무"…레이디 가가, 2010년 자선활동 1위|url=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12724.htm|출판사 =스포츠서울신문|저자 =이현경|작성일자 = 2011-01-06|확인일자 =2011-02-11}}</ref>

2011년에는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일본 지진]] 피해자를 돕기 위해 "우리는 일본을 위해 기도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팔찌를 직접 디자인해 판매수익금 전액을 지진피해 복구에 기부할 예정이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일본 위해 팔찌 디자인|url=http://www.ukopia.com/ukoHollywood/?page_code=read&uid=139295&sid=36&sub=3-20|출판사 =유코피아|저자 =채치훈|작성일자 = 2011-03-13|확인일자 =2011-03-13}}</ref> 이 구호 팔찌는 하나에 5달러 가격으로, 판매한지 3일만에 약 3억 원을 벌어들였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일본 구호 팔찌 이틀만에 3억 모금|url=http://sports.hankooki.com/lpage/st_story/201103/sp20110319060048106210.htm|출판사 =스포츠한국|저자 =김성한|작성일자 = 2011-03-19|확인일자 =2011-03-22}}</ref>

=== LGBT 옹호 ===
레이디 가가가 초기 활동때에 게이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가가는 게이 아이콘으로써 자리를 잡았다.<ref name="fabmag">{{cite news|url=http://www.fabmagazine.com/features/362/Gaga.html|title=Going Gaga|last=Thomas|first=Matt|publisher=핑크 트라이앵글 프레스|work=패드|accessdate=2009-08-11|date=2009-07-09|언어=영어}}</ref> 또한 초기 활동때, 라디오 에어플레이에서 "나는 게이 커뮤니티를 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렇게 많은 게이 팬들이 나를 위해 충성을 하고있다. 그들은 나를 진짜로 좋아한다. 나도 항상 그들의 편이 될것이다."라고 말했다.<ref name="mtvgayicon">{{cite news|url=http://www.mtv.com/news/articles/1610781/20090506/lady_gaga.jhtml|title=Lady Gaga On Success: 'The Turning Point For Me Was The Gay Community'|last=Vena|first=Jocelyn|date=2009-05-07|work=MTV|publisher=MTV Networks|accessdate=2009-08-11}}</ref> 가가는 이미 양성애자임을 밝혔고, 게이 커뮤니티에서 팬들을 '아웃사이더의 군대'라고 표현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대체 레이디 가가가 누구야? |url=http://10.asiae.co.kr/Articles/new_view.htm?tsc=06.02.04&a_id=2009062310191062445&pg=|출판사 =10아시아|저자 =강명석, 이지혜|작성일자 = 2009-06-03|확인일자 =2011-02-11}}</ref> 미국의 TV 앵커 바버라 월터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심지어 남자 친구와 같이 있을 때도 여성에 대한 욕망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말하며 여성과 함께 자봤으면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는 레즈비언?│대체 레이디 가가가 누구야? |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121115011648433|출판사 =아시아경제|저자 =이진수|작성일자 = 2009-12-12|확인일자 =2011-02-16}}</ref> 이때문에 게이들을 지지하는 많은 활동을 펼쳤는데, 2009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게이와 레즈비언 시민들의 동등한 인권을 위한 행사에 깃발을 들고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제목 =레이디 가가, “동성애자들에게 평등권을” 행사에 참가 |url=http://www.mj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73|출판사 =정경뉴스|저자 =장영지|작성일자 = 2009-10-12|확인일자 =2011-02-11}}</ref> 미국에서 게이들은 군대에 지원을 하지 못하는 정책에 대해서도 "평등은 미국을 상징하는 가치다. 하지만 게이라는 이유로 미국이 가진 가장 값진 가치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며 폐지 의사를 밝혔다.<ref name="군"/> 또한 동성간의 결혼 허용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동성 커플 주례를 보기도 했었다.<ref name="서울신문"/> 동성애 옹호 단체 《오렌지 카운티 이퀄러티 프로젝트》가 동성애자들을 대상으로 펼친 인기 투표에서 22%의 투표를 받아 3위로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팝 디바 스피어스, 동성애자들에 최고 인기 |url=http://news.hankooki.com/ArticleView/ArticleViewSH.php?url=lifenjoy/201102/sp2011022017545394470.htm&cd=2301&ver=v002|출판사 =한국일보|저자 =김도희|작성일자 = 2011-02-20|확인일자 =2011-02-23}}</ref>

한편, 군대 관련 정책을 반대하는 포틀랜드 집회에 참여해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는 군의 정책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제가 이 자리에 섰다. 만약, 국회와 대통령이 이 정책을 폐지하지 않는다면 우리 군이 누구를 보호하고 있는지를 명확해 해줘야 할 것이다."라며 정책에 대해 반대의견을 표했다.<ref name="군">{{뉴스 인용|제목 =레이디가가, ‘묻지마’ 軍정책 반대집회서 연설 |url=http://ntn.seoul.co.kr/main.php?cmd=news/news_view&idx=52363|출판사 =서울신문NTN|저자 =뉴스팀|작성일자 = 2010-09-21|확인일자 =2011-02-11}}</ref> 또한 가가의 많은 노래와 뮤직비디오에는 동성애에 관한 코드가 많이 나오는데, "[[Telephone (노래)|Telephone]]"의 뮤직비디오에 여자 죄수들끼리 동성애, 살인 등으로 방영 금지를 당하기도했다.<ref>{{뉴스 인용|제목 =동성애·살인… 레이디 가가 뮤직비디오 파문 |url=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31501072530071002|출판사 =munhwa.com|저자 =오애리|작성일자 = 2010-03-15|확인일자 =2011-02-16}}</ref>


== 음반 목록 ==
== 음반 목록 ==
{{참고|레이디 가가의 음반 목록}}
{{참고|레이디 가가의 음반 목록}}
* ''[[The Fame]]'' (2008)
; 정규 음반
# ''[[The Fame]]'' (2008)
* ''[[The Fame Monster (EP)]]'' (2009)
# ''[[Born This Way]]'' (2011)
* ''[[Born This Way]]'' (2011)

; 리믹스 음반
# [[The Remix]] (2010)


== 투어 ==
== 투어 ==
* [[The Fame Ball Tour]] (2009)
* [[The Fame Ball Tour]] (2009)
* [[The Monster Ball Tour]] (2009–11)
* [[The Monster Ball Tour]] (2009–11)
* [[The Born This Way Ball Tour]] (2012–13)


== 수상 ==
== 수상 ==
112번째 줄: 125번째 줄:
|rowspan="2"| || [[MTV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 비약적 발전<ref name="MTV Australia Awards"/> || {{nom}}
|rowspan="2"| || [[MTV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 비약적 발전<ref name="MTV Australia Awards"/> || {{nom}}
|-
|-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MTV Europe Music Awards for Best New Act || {{won}}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New Act || {{won}}
|-
|-
| rowspan="3"| ''[[Poker Face]]'' ||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최우수 국제 아티스트 비디오<ref name="MMVA">{{웹 인용|url=http://mmva.muchmusic.com/category/nominees|제목=MuchMusic Video Awards 2009 Nominees|출판사=''MuchMusic''|확인일자=2009-06-04}}</ref> || {{won}}
| rowspan="3"| ''[[Poker Face]]'' ||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최우수 국제 아티스트 비디오<ref name="MMVA">{{웹 인용|url=http://mmva.muchmusic.com/category/nominees|제목=MuchMusic Video Awards 2009 Nominees|출판사=''MuchMusic''|확인일자=2009-06-04}}</ref> || {{won}}
118번째 줄: 131번째 줄: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People's Choice: Favourite International Video<ref name="MMVA" /> || {{nom}}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People's Choice: Favourite International Video<ref name="MMVA" /> || {{nom}}
|-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MTV Video Music Award for Best New Artist || {{won}}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New Artist || {{won}}
|-
|-
|rowspan="5"| [[2010]] || ''[[Poker Face]]''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ref name="GRM">{{뉴스 인용|제목 =2010년 그래미 어워즈...테일러 스위프트, 레이디 가가 등 시상식 빛내 |url =http://www.kd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40&sc_section_code=S1N9&sc_sub_section_code=S2N31|출판사 =데일리경제|저자 =강인범 기자 |쪽 = |작성일자 = 2010년 02월 02일|확인일자 = }}</ref> || {{won}}
|rowspan="5"| [[2010]] || ''[[Poker Face]]''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ref name="GRM">{{뉴스 인용|제목 =2010년 그래미 어워즈...테일러 스위프트, 레이디 가가 등 시상식 빛내 |url =http://www.kd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240&sc_section_code=S1N9&sc_sub_section_code=S2N31|출판사 =데일리경제|저자 =강인범 기자 |쪽 = |작성일자 = 2010년 02월 02일|확인일자 = }}</ref> || {{won}}
129번째 줄: 142번째 줄:
|-
|-
| ''[[The Fame]]'' || [[브릿 어워드]] 최우수 인터내셔널 앨범상<ref name="브릿 어워드" /> || {{won}}
| ''[[The Fame]]'' || [[브릿 어워드]] 최우수 인터내셔널 앨범상<ref name="브릿 어워드" /> || {{won}}
|-
|rowspan="17"| [[2011]] || rowspan="2"| ''[[The Fame Monster]]'' ||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 || {{nom}}
|-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 앨범 || {{won}}
|-
| rowspan="2"| ''[[Bad Romance]]''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 || {{won}}
|-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단편 뮤직비디오 || {{won}}
|-
| ''[[Telephone]]''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 콜라보레이션 || {{nom}}
|-
| ''[[Dance In The Dark]]'' ||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 || {{nom}}
|-
| rowspan="2"| ''[[Born This Way]]''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Female Video || {{won}}
|-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Video With A Message || {{won}}
|-
| rowspan="2"| ''[[Judas]]''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Art Direction || {{nom}}
|-
|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Choreography || {{nom}}
|-
| rowspan="2"| ''[[Born This Way]]''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Song || {{won}}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Video || {{won}}
|-
| rowspan="4"|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Female || {{won}}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iggest Fans || {{won}}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Pop || {{nom}}
|-
|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Live || {{nom}}
|-
|-
|}
|}
136번째 줄: 181번째 줄: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Commonscat|Lady GaGa}}
{{위키공용분류|Lady GaGa}}
* {{언어링크|en}} [http://www.ladygaga.com 레이디 가가] - 공식 웹사이트
* {{언어고리|en}} [http://www.ladygaga.com 레이디 가가] - 공식 웹사이트
* {{언어링크|en}} [http://www.mtvmusic.com/artist/lady_gaga 레이디 가가] - [[MTV|MTV 네트워크]]
* {{언어고리|en}} [http://www.mtvmusic.com/artist/lady_gaga 레이디 가가] - [[MTV|MTV 네트워크]]
* {{언어링크|en}} {{유튜브 채널|ladygagaofficial|레이디 가가}}
* {{언어고리|en}} {{유튜브 채널|ladygagaofficial|레이디 가가}}
* {{언어링크|en}} {{유튜브 채널|LadyGagaVEVO|레이디 가가}} / [[:en:Vevo|Vevo]]
* {{언어고리|en}} {{유튜브 채널|LadyGagaVEVO|레이디 가가}} / [[:en:Vevo|Vevo]]
* {{언어링크|en}} {{트위터|LadyGaga}}
* {{트위터|ladygaga Lady Gaga}}
* [http://www.facebook.com/ladygaga Lady Gaga Official Facebook]
* [http://www.lyrics.az/lady-gaga/ Lady Gaga Song Lyrics]
* [http://www.myspace.com/ladygaga Lady Gaga Official MySpace]
* [http://www.youtube.com/user/ladygagaofficial Lady Gaga Official Youtube Channel]
* {{언어고리|en}} {{트위터|LadyGaga}}
* {{마이스페이스|ladygaga}}
* {{마이스페이스|ladygaga}}
* {{Imdb 이름|3078932}}
* {{IMDb 이름|3078932}}
* {{AMG 예술가|11:hcfixzr5ldse|레이디 가가}}
* {{올뮤직 예술가|11:hcfixzr5ldse|레이디 가가}}
* {{Discogs 예술가|artist=Lady+Gaga|name=레이디 가가}}
* {{Discogs 음악가|artist=Lady Gaga|name=레이디 가가}}


{{레이디 가가}}
{{레이디 가가}}
{{link GA|en}}


[[분류:레이디 가가| ]]
[[분류:1986년 태어남]]
[[분류:1986년 태어남]]
[[분류:2008년 데뷔]]
[[분류:2008년 데뷔]]
161번째 줄: 211번째 줄:
[[분류:뉴욕 출신 음악가]]
[[분류:뉴욕 출신 음악가]]
[[분류:뉴욕 주 출신]]
[[분류:뉴욕 주 출신]]
[[분류:레이디 가가| ]]
[[분류:미국의 여자 가수]]
[[분류:미국의 여자 가수]]
[[분류:미국의 팝 가수]]
[[분류:미국의 팝 가수]]
175번째 줄: 224번째 줄:
[[분류:양성애자 예술가]]
[[분류:양성애자 예술가]]
[[분류:영어 가수]]
[[분류:영어 가수]]
[[분류:유니버설 뮤직 그룹 음악가]]
[[분류: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

{{Link FA|id}}
{{Link GA|ar}}
{{Link GA|ar}}
{{link GA|en}}


[[af:Lady Gaga]]
[[af:Lady Gaga]]
[[als:Lady Gaga]]
[[als:Lady Gaga]]
[[an:Lady Gaga]]
[[ar:ليدي غاغا]]
[[ar:ليدي غاغا]]
[[arz:ليدى جاجا]]
[[ast:Lady Gaga]]
[[az:Ledi Qaqa]]
[[az:Ledi Qaqa]]
[[ba:Леди Гага]]
[[bat-smg:Lady Gaga]]
[[be:Lady Gaga]]
[[be-x-old:Lady Gaga]]
[[bg:Лейди Гага]]
[[bg:Лейди Гага]]
[[br:Lady Gaga]]
[[bs:Lady Gaga]]
[[ca:Lady Gaga]]
[[ca:Lady Gaga]]
[[ceb:Lady Gaga]]
[[co:Lady Gaga]]
[[cs:Lady Gaga]]
[[cs:Lady Gaga]]
[[csb:Lady GaGa]]
[[csb:Lady GaGa]]
[[cv:Леди Гага]]
[[cy:Lady Gaga]]
[[cy:Lady Gaga]]
[[da:Lady Gaga]]
[[da:Lady Gaga]]
[[de:Lady Gaga]]
[[de:Lady Gaga]]
[[dz:Lady Gaga]]
[[el:Lady Gaga]]
[[el:Lady Gaga]]
[[en:Lady Gaga]]
[[en:Lady Gaga]]
[[eo:Lady GaGa]]
[[eo:Lady Gaga]]
[[es:Lady Gaga]]
[[es:Lady Gaga]]
[[et:Lady Gaga]]
[[et:Lady Gaga]]
196번째 줄: 263번째 줄:
[[fa:لیدی گاگا]]
[[fa:لیدی گاگا]]
[[fi:Lady Gaga]]
[[fi:Lady Gaga]]
[[fo:Lady Gaga]]
[[fr:Lady Gaga]]
[[fr:Lady Gaga]]
[[frp:Lady Gaga]]
[[fy:Lady Gaga]]
[[fy:Lady Gaga]]
[[ga:Lady Gaga]]
[[gan:蕾蒂嘉嘉]]
[[gan:蕾蒂嘉嘉]]
[[gd:Lady Gaga]]
[[gl:Lady Gaga]]
[[gl:Lady Gaga]]
[[glk:لیدی گاگا]]
[[he:ליידי גאגא]]
[[he:ליידי גאגא]]
[[hi:लेडी गागा]]
[[hr:Lady Gaga]]
[[hr:Lady Gaga]]
[[hu:Lady Gaga]]
[[hu:Lady Gaga]]
[[hy:Լեյդի Գագա]]
[[hy:Լեդի Գագա]]
[[id:Lady Gaga]]
[[id:Lady Gaga]]
[[ig:Lady Gaga]]
[[ik:Lady Gaga]]
[[ilo:Lady Gaga]]
[[io:Lady Gaga]]
[[is:Lady Gaga]]
[[is:Lady Gaga]]
[[it:Lady Gaga]]
[[it:Lady Gaga]]
[[ja:レディー・ガガ]]
[[ja:レディー・ガガ]]
[[jv:Lady Gaga]]
[[ka:ლედი გაგა]]
[[ka:ლედი გაგა]]
[[kk:Леди Гага]]
[[kn:ಲೇಡಿ ಗಾಗಾ]]
[[ku:Lady Gaga]]
[[ku:Lady Gaga]]
[[ky:Lady Gaga]]
[[la:Lady Gaga]]
[[la:Lady Gaga]]
[[lb:Lady Gaga]]
[[lb:Lady Gaga]]
[[lez:Леди Гага]]
[[li:Lady GaGa]]
[[li:Lady GaGa]]
[[lt:Lady GaGa]]
[[lt:Lady Gaga]]
[[lv:Lady Gaga]]
[[lv:Lady Gaga]]
[[mg:Lady Gaga]]
[[mhr:Lady Gaga]]
[[mhr:Lady Gaga]]
[[mi:Lady Gaga]]
[[mk:Лејди Гага]]
[[mk:Лејди Гага]]
[[mn:Лэди Гага]]
[[mn:Лэди Гага]]
[[mr:लेडी गागा]]
[[mr:लेडी गागा]]
[[mrj:Lady Gaga]]
[[ms:Lady Gaga]]
[[ms:Lady Gaga]]
[[mt:Lady Gaga]]
[[mt:Lady Gaga]]
[[mwl:Lady Gaga]]
[[my:လေဒီဂါဂါ]]
[[mzn:لیدی گاگا]]
[[na:Lady GaGa]]
[[nah:Lady Gaga]]
[[nap:Lady Gaga]]
[[nds:Lady Gaga]]
[[ne:लेडी गागा]]
[[new:लद्य् गग]]
[[nl:Lady Gaga]]
[[nl:Lady Gaga]]
[[nn:Lady Gaga]]
[[nn:Lady Gaga]]
[[no:Lady Gaga]]
[[no:Lady Gaga]]
[[nov:Lady Gaga]]
[[nrm:Lady Gaga]]
[[oc:Lady Gaga]]
[[pap:Lady Gaga]]
[[pap:Lady Gaga]]
[[pl:Lady Gaga]]
[[pl:Lady Gaga]]
[[pt:Lady Gaga]]
[[pt:Lady Gaga]]
[[ro:Lady Gaga]]
[[ro:Lady Gaga]]
[[ru:Lady Gaga]]
[[ru:Леди Гага]]
[[sah:Леди Гага]]
[[se:Lady Gaga]]
[[se:Lady Gaga]]
[[sh:Lady Gaga]]
[[sh:Lady Gaga]]
[[si:ලේඩි ගාගා]]
[[simple:Lady Gaga]]
[[simple:Lady Gaga]]
[[sk:Lady Gaga]]
[[sk:Lady Gaga]]
[[sl:Lady Gaga]]
[[sl:Lady Gaga]]
[[sq:Lady Gaga]]
[[sq:Lady Gaga]]
[[sr:Лејди Гага]]
[[sr:Леди Гага]]
[[su:Lady Gaga]]
[[sv:Lady Gaga]]
[[sv:Lady Gaga]]
[[sw:Lady Gaga]]
[[sw:Lady Gaga]]
[[szl:Lady GaGa]]
[[szl:Lady GaGa]]
[[ta:லேடி காகா]]
[[ta:லேடி காகா]]
[[tg:Лейди Гага]]
[[th:เลดี้ กาก้า]]
[[th:เลดี้ กาก้า]]
[[tl:Lady Gaga]]
[[tl:Lady Gaga]]
[[tr:Lady Gaga]]
[[tr:Lady Gaga]]
[[uk:Lady Gaga]]
[[tt:Леди Гага]]
[[tw:Lady GaGa]]
[[uk:Леді ҐаҐа]]
[[vi:Lady Gaga]]
[[vi:Lady Gaga]]
[[vls:Lady Gaga]]
[[vo:Lady Gaga]]
[[xmf:ლედი გაგა]]
[[yi:ליידי גאגא]]
[[yi:ליידי גאגא]]
[[yo:Lady Gaga]]
[[zh:女神卡卡]]
[[zh:女神卡卡]]
[[zh-min-nan:Lady Gaga]]
[[zh-min-nan:Lady Gaga]]

2012년 5월 6일 (일) 20:39 판

레이디 가가
2011년 The Monster Ball Tour 중 레이디 가가
기본 정보
본명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
(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출생1986년 3월 28일(1986-03-28)(38세)
뉴욕 주 용커스
성별여성
국적미국의 기 미국
직업음악가, DJ, 고고 댄서[1][2]
장르[3], 댄스 팝, 일렉트로니카[4][5]
활동 시기2006년 ~ 현재
악기보컬, 피아노, 신디사이저[6]
레이블데프 잼 (2007 - 2008)
인터스코프 (2008 - 현재)[7], 콘 라이브, 스트림라인, 체리트리
관련 활동레이디 스타라이트, 스페이스 카우보이
웹사이트ladygaga.com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Stefani Joanne Angelina Germanotta, 1986년 3월 28일[8] ~ )는 예명인 레이디 가가(Lady Gaga)로 활동하는 미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이자 행위예술가이다. 가가는 퍼기, 푸시캣 돌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뉴 키즈 온 더 블록와 같은 유명 가수들의 노래를 작곡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제작자인 에이콘의 노래 또한 가가가 작곡한 적이 있는데, 에이콘은 가가와 함께 작업하면서 그녀의 가창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고 자신의 레이블인 콘 라이브 배급사를 통해 그녀와 계약을 맺었다. 이후 가가는 첫 데뷔 음반에 자신만의 새로운 곡을 담아 정식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가가는 2008년, 데뷔 음반 The Fame을 발매하고, "누구나 유명함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앨범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음반에 포함된 싱글 곡 "Just Dance"와 "Poker Face"가 세계적인 각종 음악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이후 리패키지 형식의 EP 음반 The Fame Monster를 발매해 데뷔 음반 못지않은 성과를 거뒀는데, 앨범의 싱글인 "Bad Romance", "Telephone", "Alejandro"는 여러 나라에서 1위를 했다. EP 앨범의 홍보를 위해 가가는 1년이 넘도록 The Monster Ball Tour를 진행 해왔고,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둔 투어 중 하나로 남았다. 가가의 두 번째 정규 음반 Born This Way는 2011년 5월 발매되었고, 음반의 싱글인 "Born This Way", "Judas", "The Edge of Glory"는 세계 여러 주요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가가는 마이클 잭슨마돈나, 신디 로퍼와 같은 가수뿐만 아니라 데이빗 보위엘튼 존, 과 같은 글램 락 뮤지션들에게도 영향을 받았다.[9][3] 가가는 세계적으로 2,300만 장의 음반 판매고와 6,400만의 싱글 판매고를 올리고있다.[10] 가가는 그래미 상,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그리고 빌보드가 선정한 올해의 아티스트에 올랐으며,[11] 이외에 각종 시상식에서 주요 상을 수상했다. 또한 《포브스》가 선정하는 순위에서 가가는 매년 상위권에 오르고 있으며,[12]타임스》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100인" 순위에도 매년 상위권에 오르고있다.

생애

1986–2004: 어린 시절

레이디 가가는 뉴욕 용커스에서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저머노타라는 이름으로 이탈리아계 미국인 부모의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13] 그녀의 아버지 조지프 저머노타는 인터넷 기업가였으며, 어머니인 신시아는 그의 전자 통신 보조원으로 일하고 있었다.[13][14][15] 가가는 일곱 살이 되어 맨해튼의 줄리아드 학교에 입학할 예정이었지만,[16] 뉴욕에 위치한 사립 가톨릭 학교인 콘벤트 오브 더 세크레드 하트 고등학교(CSH)에 다니게 되었다.[17] 가가는 어렸을 때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음악에 대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아버지는 핑크 플로이드비틀즈, 빌리 조엘, 엘튼 존 등의 음악을 가가에게 들려주었다. 어머니가 예절 교육 차원으로 피아노를 배우게 하면서 네 살 때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 가가는 열세 살에 첫 번째 피아노 발라드를 작곡하였고, 열네 살 때는 오픈 믹 나이트에서 연주하기 시작했다.[18][6] 열일곱 살 때는 뉴욕 대학의 티시 예술학부에 조기 지원 입학하여 운지를 공부하기 시작했다.[6] 그곳에서 가가는 예술, 종교, 정치에 관한 주제를 담은 분석 논문과 작곡 에세이를 통해서 자신의 음악 실력을 연마하였으나,[19] 1년 동안 재학하다 중퇴하였다.[18][1] 스무 살이 되어 그녀는 인터스코프 레코드에서 작곡가로 일하기 시작하였고 푸시캣 돌스와 같은 대중 가수들의 노래를 썼다. 이후 부모의 집에서 독립한 후,[20] 가가는 맥킨 펄시퍼, SG밴드와 함께 뉴욕 라워 에스트 사이드 클럽 무대에서 공연을 시작했다. 무대의 전형적인 로큰롤과 차별화된 음악을 원했던 가가는 대중 음악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심하고 벌레스크 쇼를 시작하였다.[21] 마약을 하고 벌레스크 쇼에서 공연을 하던 그녀를 보는 아버지에 대해 훗날 가가는 다음과 같이 회고하였다. "아버지는 몇 달간 나와 만나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내가 끈이 달린 가죽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보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단지 그것을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17]

가가는 함께 녹음 작업을 했던 음악 제작자 롭 후사리가 그녀의 보컬 스타일이 프레디 머큐리와 비슷한 것을 보고 1984년 의 싱글 "라디오 가가"를 따서 지은 "가가" (Gaga)라는 예명을 쓰게 되었다.[9] 후사리는 가가의 초기 히트곡인 "Disco Heaven", "Dirty Ice Cream", "Beautiful, Dirty, Rich"와 같은 작곡하는데 도움을 주었다.[21]

2005–07: 활동 초기

애틀랜타의 바에서 공연을 하고 있는 가가

가가는 원래 열아홉 살 때 데프 잼과 계약을 한 적이 있는데, 경영진이었던 L.A.레이드 사무실 복도에서 가가가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22] 그러나 가가는 레이드와 단 한 번도 만나지 못했다.[22] "난 그가 내 노래에 대해 미팅을 가져 줄 것을 기대하면서 한 시간 동안 그의 사무실 밖에서 기다린 적도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22] 레이드는 석 달 뒤 그녀와의 계약을 해지하였다.[22]

가가는 2년 후인 2008년 1월 음반 회사 경영진 빈센트 허버트를 통해 인터스코프와 계약을 하였다. 이것에는 음악에 대한 탁월한 재능과 회사에서 작곡가로 고용되었을 때 여러 가수들의 노래를 작곡했던 다양한 경력 (퍼기, 푸시캣 돌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뉴 키즈 온 더 블록에이콘콘빅트 레이블)을 인정 받은 것이 작용했다.[17] 2007년 초부터 인터스코프의 의장 지미 아이오빈은 가가의 음악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22] 그녀가 스트림라인/인터스코프를 통한 레이블 계약과 싱어송라이터에이콘과 곡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주선하였다.[22] 에이콘은 자신의 트랙을 위한 그녀의 참고용 노래를 듣고 가가의 가창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3] 이에 따라 에이콘은 지미 아이오빈을 확신시켜 자신의 레이블인 콘 라이브 배급사와 그녀의 계약을 체결하였다.[22]

계약을 맺지 않은 공백 기간인 2007년 동안 레이디 가가는 자신과 비슷한 예명을 가진 라워 에스트 사이드의 락 DJ, 고고 댄서이자 행위 예술가인 레이디 스타라이트와 공동으로 작업하였다.[18] 레이디 스타라이트는 가가의 무대 의상을 제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4] 둘은 머큐리 라운지, 비터 엔드, 록우드 뮤직 홀과 같은 도심의 클럽에서 연주 공연을 시작하였으며, 행위 예술 공연인 "레이디 가가와 스타라이트 리뷰" (Lady GaGa and the Starlight Revue)를 선보이기도 했다.[25]. "The Ultimate Pop Burlesque RockShow"라는 표현이 달린[26] 이들의 공연은 1970년대 다양하게 행해졌던 로우 파이 경향의 공연에 대한 찬사였다.[27] 2007년 8월, 레이디 가가와 스타라이트 리뷰는 미국 뮤직 페스티벌인 롤라팔루자[28] 에 초청작이 되었고, 거침없는 공연으로 관객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29] 쇼는 극찬을 받았고, 그들의 공연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6]

2008년 The Fame Ball Tour에서 "Poker Face"를 부르고있는 가가.

멜로디와 데이빗 보위, 의 빈티지 글램 락을 믹스하는 것으로 가가는 아방가르드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바탕을 둔 자신의 음악적 터전을 찾게 된다.[4] 레이디 가가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퀸과 데이빗 보위는 나에게 열쇠였다... 그들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내가 뉴욕의 록 클럽에서 활동할 때에 많은 음반 제작사들이 나를 너무 연극적이라고 생각했고, 뮤지컬 공연을 위해 오디션을 볼 때에는 감독으로 부터 너무 팝적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4] 에이콘의 협력 아래 가가는 제작자 레드원과 함께 데뷔 앨범을 위한 새로운 곡들을 만들기 시작한다. 기존의 데이빗 보위와 퀸에게 영감을 받은 곡들과 일렉트로 글램을 바탕으로 가가는 그녀의 레트로 댄스 비트와 어반 멜로디, 팝 코러스, 약간의 로큰롤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했다. 이 때, 처음으로 제작한 "Boys, Boys, Boys"는 머틀리 크루의 히트곡 "Girls, Girls, Girls"와 AC/DC의 "T.N.T."의 영향을 받았다.[21]

2008–10: The FameThe Fame Monster

영국에서 열린 The Monster Ball Tour 중 "Speechless"의 피아노 연주 모습.

2008년 가가는 로스앤젤레스로 자리를 옮겨 레코드 레이블과 데뷔 음반 The Fame의 세밀한 마무리 작업을 마쳤다.[21] 가가는 자신의 음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The Fame은 어떻게 누구나 유명해진 것처럼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앨범이다. 팝 문화는 예술이다. 팝 문화를 혐오한다는 것이 당신을 멋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그러니까 나는 팝을 감싸 안았고, 여러분은 The Fame을 들으며 그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Fame의 유명세는 공유할 수 있는 유명세이다. 나는 여러분 모두를 파티로 초대한다. 나는 사람들이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를 느끼길 원한다."[6] 또한, 이 음반에서 "데프 레퍼드 드럼과 박수에서 어반 트랙의 메탈 드럼까지" 여러가지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을 이루었다고 설명했다.[22] 가가는 의상과 무대 세트, 음향을 담당하는 집단인 "Haus of GaGa"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가요 업계에서는 많은 스타일리스트와 제작자들을 접하게 된다. 그러나 Haus of GaGa는 나만의 창작 팀이다. 앤디 워홀의 팩토리를 모델로 하고 있다. 모든 구성원이 26세 이하이고 우리는 모든 것을 함께 한다."[17] The Fame은 비평가들에게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의 음악 평가단은 이 음반에 100점 만점에 평균 71점을 주었다.[30]타임 온라인〉은 "보위풍의 발라드, 드라마틱, 의 영향을 받은 미드템포 노래와 신시사이저 바탕의 댄스 트랙은 신선한 재미를 준다."고 설명하였다.[17] 음반의 대표 싱글인 "Just Dance"는 2008년 4월 8일 발매되었으며, 일곱 국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31] 그중 하나인 미국에서는 10월부터 라디오 방송 차트에 오르기 시작하였고, 2009년에 "Just Dance"가 1위로 등극하면서 가가의 첫 번째 미국 1위 싱글이 되었다.[32] 두 번째 싱글인 "Poker Face"는 2008년 9월 29일 발매되어 세계 주요 음악 시장을 모두 포함하여 열두 국가에서 1위를 달성했다. "Poker Face"를 통해 가가는 2009년 4월 빌보드 핫 100에 이전 싱글에 이어 1위에 올랐다.[33]

2010년 The Monster Ball Tour "Eh, Eh" 공연 중.

The Fame은 오스트리아, 영국, 캐나다, 아일랜드에서 음반 차트 1위를 기록하였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34][35] 이후에 Haus of GaGa가 미국 시장에 더욱 중점을 두면서 가가는 당시 컴백한 인터스코프 소속의 팝 그룹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함께 첫 콘서트 투어를 가졌다. 2008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공연을 시작하였으며, 11월 말까지 계속되었다.[36] 그녀는 그룹의 새 음반 The Block의 수록곡 Big Girl Now의 피처링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37] 2008년 10월 말에 가가는 미국에서 The Fame을 발매하였고, 빌보드 200에서 17위로 데뷔하였다. 음반은 첫 주에 24,000장이 팔렸으며,[38] 순위에서는 최고 2위까지 올라간 바 있다.[39] 당시 전 세계에서는 약 230만 장이 판매되었다.[40] 이러한 인기 속에 2008년 12월 5일, 가가는 최고의 떠오르는 가수를 소개하는 BBC 2009년의 사운드 목록에 올랐다.[41] 2009년 1월부터 5월까지 가가는 푸시캣 돌스의 유럽과 오세아니아 지역 투어의 서포트 공연을 해왔다. 투어는 1월 18일 스코틀랜드 애버딘을 시작으로 5월 30일 오스트레일리아 퍼스를 마지막으로 종료하였다.[42] 가가의 "Just Dance"는 그래미상에서 베스트 댄스 레코딩 부문의 후보에 올랐으나, 상은 다프트 펑크의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가 받았다.[43] 2009년 2월 18일 가가는 록 밴드 더 킬러스브랜든 플라워즈와 함께 2009년 BRIR 어워즈에서 전자 댄스 듀오 펫 샵 보이즈의 무대에 참여했다. 펫 샵 보이즈는 가가와 플라워즈가 그들의 마지막 순서인 1985년 싱글 "West End Girls"에 참여하였을 때 인기를 끌었던 노래의 메들리를 공연하였다.[44] 가가의 첫 북아메리카 투어 공연인 The Fame Ball Tour는 2009년 3월 12일 시작하였으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45][46] 사전에 가가는 팬들에게 다가올 공연에서는 높은 수준의 극적인 요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약속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팝 엔터테인먼트 예술, 멀티미디어, 패션, 기술, 영상, 영화와 같은 앤디 워홀 컨셉에 더욱 가까워지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공연에서는 이러한 영역들을 모두 보여줄 것이며, 박물관 쇼를 보는 체험이 될 것이다."[47] 5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푸시캣 돌스를 위한 합동 공연을 하면서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푸시캣 돌스보다 그녀의 공연이 주목을 받았다는 평가도 있었다.[48][49] 북 아메리카 공연이 끝나자 2009년 8월 9일에는 대한민국 서울올림픽공원 올림픽 홀에서 공연을 하였다. 또한 공연 중 입은 의상은 〈롤링 스톤〉지의 2009년 5월 표지에서 플라스틱 비누 거품 의상을 입은 세미누드로 등장하여 화제가 되었다.[40][50]

이후 리패키지 형식의 EP 음반 The Fame Monster를 준비하게 되고 첫 싱글 "Bad Romance"를 발표하는데, 미국에서는 안타깝게 2위를 차지했지만, 영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등 약 18개 나라에서 정상을 차지하며 인기를 이어갔다.[51][52] 연이어 세 번째 싱글 "Telephone"을 발매한다. 이 곡은 미국의 알앤비 가수 비욘세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곡으로 영국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그외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도 탑 3위권안에 드는 매우 성공적인 성적을 기록하였다.[53] 또한 레이디 가가와 비욘세가 함께 출연한 "Telephone"의 뮤직비디오는 공개된지 12시간만에 50만건이 넘는 인터넷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54] 그리고 2010년 열린 영국의 음악시상식인 브릿 어워드에서 3개 부문에서 후보로 올랐는데, 3개 부문 모두 수상을 하여 브릿 어워드를 휩쓸었다.[55]레이디 가가는 현재 The Born This Way Ball Tour를 진행하는 중으로 2013년 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2011–현재: Born This Way

2011년 GMA 콘서트에서 "The Edge of Glory" 공연중의 가가.

레이디 가가는 2010년 3월 MTV 영국의 인터뷰에서,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음반을 작업하고 있다고 말하며 이미 핵심작업은 마친 상태라고 밝혔다. 3개월 후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 새 정규 음반 작업은 모두 마쳤지만, 2011년 초에 발매된다고 밝혔고 새 음반의 제목은 새해 자정에 발표한다고 말했다.[56] 이후 앨범의 첫 싱글이자 리드 싱글인 "Born This Way"는 2011년 2월 11일 공개할 예정으로 하루 전 날, 싱글의 커버 사진을 공개했다.[57] 2월 12일 가가의 새로운 싱글 "Born This Way"가 발매되었고, 2월 13일 제53회 그래미 상에서 첫 공연 무대를 펼쳤다. 이날 공연은 거대한 알속에서 레이디 가가가 등장해 노란색 란제리 룩을 입고 공연을 펼쳤고,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Born This Way"는 빌보드 핫 100의 19번째 1위 데뷔 싱글이 되었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000번째 1위 노래라는 기록을 세웠다.[58] 또한 발매되자마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상위권에 진입했고, 아이튠즈에서 5일동안 100만 건을 판매하여 아이튠즈 역사상 가장 빨리 팔린 싱글로 기록되었다.[59] 또한 가가는 엘튼 존과 함께 애니메이션 영화 《노미오 앤 줄리엣》의 OST "Hello Hello"를 녹음했고, 2011년 2월 11일에 발매되었다.[60][61]

2011년 4월에는 두 번째 싱글 "Judas"를 발매했다.[62] 세 번째 싱글은 "The Edge of Glory"로 2011년 5월 발매되었고, 빌보드 핫 100 3위로 데뷔했다.[63] 뿐만아니라 프로모션 싱글인 "Hair"도 발매했다.[64] 같은 시기 가가의 두 번째 정규 음반 Born This Way가 발매되었고 미국에서 발매 첫 주 1,108,000만 장을 팔아치워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65] 뿐만아니라 1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정상으로 데뷔했다. 음반은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보컬 범위로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66][67] 2011년 6월 13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시드니 타운 홀에서 Born This Way 홍보를 위해 콘서트를 했다.[68] 이후 2011년 8월, 네 번째 싱글 "You and I"를 발매해 빌보드 핫 100 6위까지 진입했다.[69] 또한 가가는 2,300만 명의 트위터 팔로워를 거느리고 있고, 2008년 싱글인 "Poker Face"가 빌보드 핫 디지털 송에서 83주째 머물고있어 2012년 판 기네스 북에 등재 되었다.[70] 가가는 미국이 전 대통령인 빌 클린턴 65세 생일파티이자 "윌리엄 J 클린턴 재단" 설립 10주년을 맞아 기념 공연을 했다.[71] 2011년 11월에 열린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서 가가는 "Born This Way"로 최우수 노래, 최우수 비디오 부문에서 수상을 했고, 이외에 최우수 여성 아티스트, 최다 팬을 수상해 4관왕을 하며 최다 수상을 했다.[72] 같은 시기, 다섯 번째 싱글 "Marry the Night"을 발매했다. 2012년 4월 27일부터는 대한민국 서울 올림픽주경기장에서 The Born This Way Ball Tour의 첫 공연을 하였고, 전세계를 돌며 약 110회의 공연을 가질 예정이다.[73]

예술가적 기교

음악 스타일 및 영향

가가는 데이빗 보위엘튼 존, 과 같은 가수 뿐만 아니라 주로 대중 음악 가수와 매혹적인 행위 예술가들인 마돈나, 휘트니 휴스턴, 브리트니 스피어스, 마이클 잭슨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9][3][74] 한편, 레이디 가가의 본명은 '스테퍼니 조앤 앤젤리나 제르마노타'지만 의 노래중 "Radio Ga Ga"에서 영감을얻어 '레이디 가가'라는 이름을 지었다고한다.[75] 가가는 마돈나와 비교하는 것에 대해서 "나는 주제넘은 소리를 하고 싶지 않지만, 팝 음악에 대변혁을 일으키는게 내 목표였다. 마돈나는 이미 25년 전 혁명을 일으켰다"라고 말했다.[74] 이 외에 배우이자 가수인 그레이스 존스에게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했고, 밴드 블론디의 맴버 데비 헤리도 함께 언급했다.[76][77][78]

레이디 가가는 콘트랄토 보컬 범위를 가지고있다.[79] 가가의 음악 구조는 유럽의 고전적인 1980년대와 1990년대 에코 클래식에 기반을 두었으며 가가의 보컬 성향은 가끔 마돈나그웬 스테퍼니와 함께 비교됐다.[80] 《더 선데이 타임즈》에서 가가의 데뷔 앨범 The Fame에 대해 "이 앨범은 패션, 예술, 음악을 모두 결합한 앨범으로 마치 한참 전성기 시절의 마돈나와 "Hollaback Girl" 때의 그웬 스테퍼니, 2001년도의 카일리 미노그, 그리고 지금의 그레이스 존스를 연상케 한다"라고 리뷰했다.[81]

이미지

The Fame Ball Tour에서 플라스틱 거품 드레스를 입고 공연하는 가가.

가가의 독특한 패션과 퍼포먼스는 많은 화제가 되었다. 음악 못지 않게 비주얼적인 측면을 강조하는[9] 그녀는 스스로 "패션에 빠져 있다고" 말하며 자신의 "모든 것"이라고 말하였다.[17][82]

나는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 곡을 다 쓴 후 어떤 비디오를 만들지 결정하는 게 아니라 곡을 쓰면서 비주얼 요소를 생각한다. 무대 위에서 부르는 노래와 사람에게 보이는 비주얼은 하나의 완성된 세트이며, 의상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말은 모든 것을 위해 음악을 만든다는 일종의 나만의 은유인 셈이다.[83]

타임즈 온라인》에서는 자신의 패션 사랑이 "언제나 아름답고 한결 같이 멋졌던" 어머니로부터 온 것이라고 설명하였다.[15] 가가는 또한 베르사체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도나텔라 베르사체가 자신의 많은 영역에 영감을 준다고 설명하였다.[17] "베르사체는 상징적이고 강렬하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돌을 던지지만, 그녀는 분명히 도발적인 매력이 있다."[17]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멜리사 막사사이는 가가의 패션을 예로 들면서, 그녀가 도나텔라의 도플갱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하였다.[84] 막사이사이는 "그녀가 상하의를 동시에 입기를 싫어한다거나…샴페인을 마구 들이키고 수영복을 사랑하는 것은 매우 도나텔라스럽다."고 평가하였다.[84] 가가는 그녀만을 전문으로 다루는 창작 집단 하우스 오브 가가를 통해서 패셔너블한 옷과 무대 소도구, 가발 등을 준비한다.[85]

화제가 되었던 투명한 수녀 복장을 입은 가가.

2008년 말 경에는 가가와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스타일과 머리 모양, 메이크업이 유사한 것을 들어 패션 감각의 비교가 화제가 되었다.[17] 아길레라는 후에 "그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고 주장하며 "남자인지 여자인지도 모르겠다"고까지 말하였다.[17] 가가는 언론이 이러한 비교에 관심을 가져 이름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었다며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86] "그녀와 같은 대스타라면 나는 꽃을 보내야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까지 내가 누군지 알지 못했으니까. 이것은 정말 나를 지도에 있는 길에 세워준 것과 같다."[87][86] 그러나, 나중에 가가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스캔들"을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다고 밝히며, "누구도 나를 베낄 수 없다. 왜냐하면 나는 베껴질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17][86] 가가는 원래 갈색 머리를 가진 브루넷으로, 2008년부터 머리를 염색하였다. 《타임즈 온라인》에 따르면 가가는 영국의 가수 에이미 와인하우스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머리를 금발로 염색했다고 한다.[15] 2009년 5월 《롤링 스톤》 지에서는 가가가 자신이 아름다운 여성에게 영향을 받은 바이섹슈얼 성향임을 밝힌 것이 이슈가 되었다. 그녀는 자신의 이러한 성적 취향에 다른 사람들이 지레 겁을 먹게 되어 서로를 불편하게 만들었다고 말하였으며, " 단지 물리적으로 타인에게 끌리는 것일 뿐, 한번도 여성과 사랑에 빠진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88]

성과

그녀의 이미지와 패션 감각은 패리스 힐튼니콜 리치와 같은 명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89] 최근의 연구에서는 가가의 영향으로 영국의 니커스 소비가 25% 증가하였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란제리 전문가 아네트 워버튼에 따르면, 16세 이하의 여성 청소년들이 검은 속옷을 구입하여 핫 팬츠처럼 입는 것은 가가의 스타일을 본뜬 것이라고 한다.[90] 한편, 2010년 9월 열린 2010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생고기 드레스를 입고 나와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는데,[91] 이 생고기 드레스는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2010년 올해의 아이디어로 선정되었고,[92] 미국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박제를 거쳐 가가의 어린 시절 피아노와 함께 "Women Who Rock: Vision, Passion, Power"라는 이름으로 보존하고있다.[93]

롤링 스톤》은 가가의 패션 감각, 음악, 모습을 종합해 가가를 2011년 "팝의 여왕"이라고 지명했다.[94] 한편 2011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사회학교수 마슈이 델플램은 가가의 세계적 명성 증가와 현대 문화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Lady Gaga and the Sociology of Fame"이라는 강의를 개설했다.[95][96] 2010년 5월 미국의 시사 잡지인 타임스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을 온라인 투표로 진행한 결과 레이디 가가는 5위에 선정돼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과시했다.[97] 또한 2010년 이미 페이스북트위터 계정의 팔로워, 팬 수가 1,000만 명이 넘었고[98] 2012년 3월 5일에는 트위터 팔로워를 처음으로 2,000만 명을 넘겼다.[99] 2010년 10월에는 유튜브사상 조회수가 10억을 돌파해 아티스트로서는 최초의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하루 평균 180만명의 사람들이 동영상을 관람한 결과이다.[100] 또한 가가는 2010년 빌보드가 발표한 연말 차트 중 최고의 가수로 선정되었고, The FameThe Fame Monster는 각각 4위와 13위에 올랐다.[101]

자선 활동

연설하고 있는 레이디 가가 (2009년 10월 11일)

레이디 가가는 음악 활동뿐만아니라 여러 곳에서 자선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이티 지진 참사를 돕기 위해 여러 연예인들과 함께 50만 달러 이상을 기부했고, 이 금액은 가가의 콘서트와 쇼핑몰의 수익이였다.[102]

가가는 에이즈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많은 활동도 해오고 있는데, 세계 에이즈 날을 맞아 앨리샤 키스를 비롯해 유명 팝 가수들과 함께 '어 차일드 얼라이브'의 자선기금모금 활동을 돕기위해 디지털 생명의 희생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때문에 100만 달러를 모을때까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디지털 생활을 끊었었다.[103] 또한 신디 로퍼와 함께 '맥 비바글램 캠페인의 2010 홍보대사'로 선정 돼 "이제는 에이즈에 걸릴 확률이 높은 여성들을 위해 변화를 가져올 때"라며 에이즈에 대한 예방과 퇴치 활동을 했다.[104] 《MAC》은 맥 비바 글램 캠페인으로 레이디 가가의 사인이 새겨진 립스틱을 출시했고, 이것으로 약 50여억 원을 벌어들여 모든 수익금은 맥 에이즈 펀드에 기탁했다.[105] 이러한 동성의 인권 보호, 에이즈에 대한 활동 등으로 2010년 자선 활동을 가장 많이 펼친 사람 1위로 뽑혔다.[106]

2011년에는 일본 지진 피해자를 돕기 위해 "우리는 일본을 위해 기도한다"라는 문구가 적힌 팔찌를 직접 디자인해 판매수익금 전액을 지진피해 복구에 기부할 예정이다.[107] 이 구호 팔찌는 하나에 5달러 가격으로, 판매한지 3일만에 약 3억 원을 벌어들였다.[108]

LGBT 옹호

레이디 가가가 초기 활동때에 게이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가가는 게이 아이콘으로써 자리를 잡았다.[109] 또한 초기 활동때, 라디오 에어플레이에서 "나는 게이 커뮤니티를 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렇게 많은 게이 팬들이 나를 위해 충성을 하고있다. 그들은 나를 진짜로 좋아한다. 나도 항상 그들의 편이 될것이다."라고 말했다.[110] 가가는 이미 양성애자임을 밝혔고, 게이 커뮤니티에서 팬들을 '아웃사이더의 군대'라고 표현했다.[111] 미국의 TV 앵커 바버라 월터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심지어 남자 친구와 같이 있을 때도 여성에 대한 욕망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말하며 여성과 함께 자봤으면한다고 밝혔다.[112] 이때문에 게이들을 지지하는 많은 활동을 펼쳤는데, 2009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게이와 레즈비언 시민들의 동등한 인권을 위한 행사에 깃발을 들고 참여했다.[113] 미국에서 게이들은 군대에 지원을 하지 못하는 정책에 대해서도 "평등은 미국을 상징하는 가치다. 하지만 게이라는 이유로 미국이 가진 가장 값진 가치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며 폐지 의사를 밝혔다.[114] 또한 동성간의 결혼 허용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동성 커플 주례를 보기도 했었다.[106] 동성애 옹호 단체 《오렌지 카운티 이퀄러티 프로젝트》가 동성애자들을 대상으로 펼친 인기 투표에서 22%의 투표를 받아 3위로 선정되었다.[115]

한편, 군대 관련 정책을 반대하는 포틀랜드 집회에 참여해 "묻지도 말하지도 말라는 군의 정책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제가 이 자리에 섰다. 만약, 국회와 대통령이 이 정책을 폐지하지 않는다면 우리 군이 누구를 보호하고 있는지를 명확해 해줘야 할 것이다."라며 정책에 대해 반대의견을 표했다.[114] 또한 가가의 많은 노래와 뮤직비디오에는 동성애에 관한 코드가 많이 나오는데, "Telephone"의 뮤직비디오에 여자 죄수들끼리 동성애, 살인 등으로 방영 금지를 당하기도했다.[116]

음반 목록

투어

수상

연도 작품 부문 결과
2009 Just Dance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43] 후보
틴 초이스 어워드 틴 초이스 어워드 뮤직: 훅 업상 [117] 수상
Poker Face MTV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 최우수 비디오[118] 후보
MTV 오스트레일리아 어워드 비약적 발전[118] 후보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New Act 수상
Poker Face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최우수 국제 아티스트 비디오[119] 수상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People's Choice: Favourite International Video[119] 후보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New Artist 수상
2010 Poker Face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120] 수상
The Fame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일렉트로닉/댄스 앨범[120] 수상
브릿 어워드 최우수 인터내셔널 여성 솔로 아티스트상[121] 수상
브릿 어워드 최우수 인터내셔널 신인 아티스트상[121] 수상
The Fame 브릿 어워드 최우수 인터내셔널 앨범상[121] 수상
2011 The Fame Monster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 후보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 앨범 수상
Bad Romance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여성 팝 보컬 퍼포먼스 수상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단편 뮤직비디오 수상
Telephone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팝 보컬 콜라보레이션 후보
Dance In The Dark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댄스 레코딩 후보
Born This Way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Female Video 수상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Video With A Message 수상
Judas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Art Direction 후보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Best Choreography 후보
Born This Way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Song 수상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Video 수상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Female 수상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iggest Fans 수상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Pop 후보
MTV 유럽 뮤직 어워드 Best Live 후보

주석

  1. Harris, Chris. “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2009년 5월 7일에 확인함. 
  2. Chisling, Matthew. The Fame ? Overview”. Macrovision Corporation. 2009년 2월 17일에 확인함. 
  3. Birchmeier, Jason. “Biography(바이오그래피)” (영어). 2009년 1월 13일에 확인함. 
  4. Thrills, Adrian. “Why the world is going gaga for electro-pop diva Stefani” (영어). 메일 온라인. 2009년 1월 12일에 확인함. 
  5. Powers, Nicole. “Lady Gaga :: The Fame (레이디 가가 :: The Fame)”.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6. “Biography of Lady Gaga(레이디 가가의 약력)”. LadyGaga.com.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7. “Discography - Lady GaGa(디스코그래피 - 레이디 가가)”. Billboard.com.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8. “Biography” (영어). 2009년 4월 3일에 확인함. 
  9. 이영희. “도발적 패션과 음악으로 뜬 레이디 가가 “마돈나는 나의 영감, 그 자체””. 중앙일보. 
  10. “Lady Gaga to perform at Belfast MTV awards” (영어). BBC. 2011년 10월 17일. 2011년 11월 8일에 확인함. 
  11. Caulfield, Keith (2010년 9월 12일). “Lady Gaga Is Billboard's 2010 Artist of the Year, Ke$ha Takes Top New Act”.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12. “Forbes Profile: Lady Gaga”. 《포브스》 (영어).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13. “Lady GaGa - Biography”. 2009년 4월 16일에 확인함. 
  14. Bronson, Fred. “Chart Beat: Lady GaGa, Luis Fonsi, Taylor Swift, 'Purple Rain'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2월 19일에 확인함. 
  15. Warrington, Ruby. “Lady Gaga: ready for her close-up” (영어).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09년 2월 22일에 확인함. 
  16. Sturges, Fiona. “Lady Gaga: How the world went crazy for the new queen of pop” (영어).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17. “Lady GaGa: the future of pop?” (영어).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09년 2월 6일에 확인함. 
  18. “레이디 가가-인터뷰”. 곰TV. 
  19. Florino, Rick. “Interview: Lady GaGa” (영어). ARTISTdirect, Inc. 2009년 2월 18일에 확인함. 
  20. Webjockey Spiceboyedgar. “Artist Spotlights: Lady Gaga” (영어). Riffin'. 2009년 2월 21일에 확인함. 
  21. “Lady GaGa”.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22. Concepcion, Mariel. “Lady Gaga(레이디 가가)”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23. Cowing, Emma. “Lady GaGa: Totally Ga-Ga” (영어).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24. Cassis, Christine. “2009: Keep your ears open to this music”. 2009년 2월 26일에 확인함. 
  25. Lee, Ann. “Just Who Is Lady GaGa?”. 2009년 2월 26일에 확인함. 
  26. “Lady Gaga”. 2009년 2월 26일에 확인함. 
  27. Martin, Charlotte. “GaGa: On stripping, drugs and No 1s”. 2009년 2월 26일에 확인함. 
  28. “롤라팔루자 홈페이지”. 
  29. D'Souza, Nandini. “Going Ga-Ga for Lady Gaga”.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30. “The Fame”. 2009년 1월 9일에 확인함. 
  31. “Lady Gaga and Colby O'Donis - Just Dance”. aCharts.us. 2009년 1월 7일에 확인함. 
  32. “Artist Chart History - Lady GaGa”.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33. “Lady Gaga - Poker Face”. aCharts.us. 2009년 1월 3일에 확인함. 
  34. Williams, John. “Lady GaGa's 'Fame' rises to No. 1”. Canoe. 2009년 1월 14일에 확인함. 
  35. “Lady Gaga - The Fame”. aCharts.us.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36. “International Pop Star Lady Gaga Set to Tour With New Kids on the Block”.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37. “Big Girl Now (featuring Lady Gaga)”. 2008년 12월 8일에 확인함. 
  38. Hasty, Katie. “AC/DC Fends Off High Debuts To Remain No. 1”.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39. Hasty, Katy. “U2 Tops The Billboard 200”.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3월 11일에 확인함. 
  40. Gregory, Jason. “Lady GaGa gets naked for Rolling Stone cover shoot”. 2009년 5월 29일에 확인함. 
  41. “BBC Sound of 2009: Lady GaGa” (영어). BBC.co.uk. 2009년 1월 9일에 확인함. 
  42. “Lady Gaga: Tour & Events”. 《Interscope Records. 2009년 12월 8일에 확인함. 
  43. “The 51st Annual Grammy Awards Nominations List”. The Recording Academy. 2009년 1월 2일에 확인함. 
  44. BBC News. “Pet Shop Boys to compose ballet”. BBC.co.uk. 2009년 2월 20일에 확인함. 
  45. IGA. "The Fame Ball" U.S. Tour!”. 2009년 1월 14일에 확인함. 
  46. McConnell, Donna. “Bubble wrap! Lady GaGa swaps her leotard for a clear plastic dreamcoat”. Associated Newspapers Ltd. 2009년 4월 6일에 확인함. 
  47. “Lady GaGa Announces Dates For "The Fame Ball" Tour”. Universal Music. 2009년 1월 14일에 확인함. 
  48. Northover, Kylie. “Fans go gaga as the Lady upstages the Dolls”. Fairfax Digital. 2009년 5월 27일에 확인함. 
  49. Adams, Cameron. “Lady Gaga upstages Pussycat Dolls at Rod Laver Arena”. Herald. 2009년 5월 27일에 확인함. 
  50. Hiatt, Brian. “The Rise of Lady Gaga”. 2009년 6월 2일에 확인함. 
  51. Press, Release. “Lady Gaga Returns With 8 New Songs on 'The Fame Monster'. PR Newswire.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 
  52. “Lady Gaga – Bad Romance – World Charts(레이디 가가 - Bad Romance - 월드 차트)”. acharts.us. 2010년 4월 17일에 확인함. 
  53. “Lady Gaga – Telephone ft. Beyoncé – World Charts”.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54. “만나면 뜬다…레이디 가가ㆍ비욘세”. 포커스신문사저자=이솔기자. 
  55. realpaper7@newsis.com. “레이디 가가, 브릿어워드 3관왕”. 뉴시스. 
  56. Michaels, Sean. “Lady Gaga's new album 'finished'(레이디 가가의 새 음반 '완료')”. 2010년 6월 23일에 확인함. 
  57. 이솔. “레이디 가가 새 싱글 나왔다”. 포커스신문사.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58. Gary, Trust. “Lady Gaga Claims 1,000th Hot 100 No. 1 with 'Born This Way' (영어). billboard.com, Prometheus Global Media. 2011년 2월 16일에 확인함. 
  59. Gil Kaufman (2011년 2월 18일). “Lady Gaga's 'Born This Way' Is Fastest-Selling Single In iTunes History” (영어). MTV. 2011년 2월 18일에 확인함. 
  60. Monica, Herrera. “Lady Gaga, Elton John Duet Won't Appear On Film Soundtrack” (영어). Prometheus Global Media.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61. Sean, Michaels. “Elton John and Lady Gaga record duet” (영어). 런던. 201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62. 레이디 가가 새 싱글 'Judas' 18일 한국공개 《뉴시스》. 2011년 4월 17일 작성. 2011-05-01 확인.
  63. Trust, Gary (2011년 5월 18일). “Adele Stays Atop Hot 100, Lady Gaga Makes 'Glory'-ous Start”. 《빌보드》 (영어) (Prometheus Global Media). 2011년 5월 18일에 확인함. 
  64. Lipshutz, Jason (2011년 5월 9일). “Lady Gaga's 'Edge of Glory' Single Premieres, 'Hair' Coming Next Week”. 《빌보드》 (영어)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65. Montgomery, James (2011년 6월 2일). “Lady Gaga Crashes Billboard With 1.1 Million” (영어). MTV (MTV 네크워크). 2011년 6월 2일에 확인함. 
  66. Markovitz, Adam (2011년 5월 25일). “Lady Gaga's 'Born This Way'.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Time Inc.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67. Cinquemani, Sal (2011년 5월 21일). “Lady Gaga: Born This Way | Music Review” (영어). 실렌트 메거진.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68. Mrkic, Mike (2011년 5월 30일). “Gaga confirms Oz visit”. 《시드니 스타 옵저버》 (영어). 2011년 5월 30일에 확인함. 
  69. 빌보드 핫 100 - You and I 《빌보드》. 2011-11-12 확인.
  70. Kaufman, Gil (2011년 9월 14일). “Adele, Lady Gaga, Justin Bieber Land New Guinness Records”. 《MTV News》 (영어). MTV Networks. 2011년 9월 21일에 확인함. 
  71. 유지혜. “클린턴 65세 생일파티에 보노·레이디 가가·제인 폰다 …”. 중앙일보. 201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article’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default’ (도움말);
  72. 신경진. “레이디가가, MTV EMA 최다 수상 ‘4관왕’”. 내일신문. 201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73. Exclusive Info: Lady Gaga's 'Born This Way Ball' Tour to Hit Asia, Europe, Latin America This Year; North America in 2013
  74. Dingwall, John (2009년 11월 27일). “The Fear Factor; Lady Gaga used tough times as inspiration for her new album”. 《데일리 레코드》 (영어). 48–49면.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75. Graeme, Thomson. “Soundtrack of my life: Lady Gaga(내 인생의 사운드 트랙 : 레이디 가가)”. 런던: 가디언 뉴스앤 미디어.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76. Symonds, Alexandra (2009년 7월 10일). “Lady GaGa: "Grace Jones, Androgynous, Robo, Future Fashion Queen". 《Prefix》 (영어). 2009년 7월 11일에 확인함. 
  77. Smith, Liz (2009년 10월 25일). “Debbie Harry Would Love To Perform With Lady Gaga”. 《Evening Standard》 (영어) (Daily Mail and General Trust). 2009년 10월 30일에 확인함. 
  78. Simpson, Dave (2009년 7월 1일). “Lady Gaga: Academy, Manchester”. 《더 가디언》 (영어) (런던: 가디언 뉴스앤 미디어). 2009년 10월 30일에 확인함. 
  79. Chatterjee Shukla, Ishani (11/18/2010). “Lady Gaga's biography”. 《Buzzle》 (California: Buzzle.com, intelliegent life on the web). 
  80. Alexis, Petridis. “Lady Gaga: The Fame (레이디 가가: The Fame)”. London: Guardian News and Media. 2010년 5월 6일에 확인함. 
  81. Sarah, Hajibageri. “Lady GaGa: the future of pop?”. 《The Sunday Times》 (영어) (런던: News International). 2009년 8월 9일에 확인함. 
  82. Harris, Chris. “Lady GaGa Brings Her Artistic Vision Of Pop Music To New Album -- And A New Kids Song” (영어). MTV Networks Entertainment Group.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83. 김영현. “레이디 가가 "난 의상위해 음악 만든다". 연합뉴스. 2009년 6월 15일에 확인함. 
  84. Magsaysay, Melissa. “Is Lady Gaga Donatella Versace's doppelganger?” (영어). 2009년 1월 30일에 확인함. 
  85. Garcia, Cathy. “Lady Gaga Burning Up Album Charts”. 코리아 타임즈. 2009년 3월 10일에 확인함. 
  86. Reporter, Daily Mail. “So who copied who? Lookalikes Lady GaGa and Christina Aguilera embroiled in style row”. 2009년 2월 6일에 확인함. 
  87. “GaGa: I'm thankful for Christina”. OK!.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88. Hiatt, Brian. “The Rise of Lady Gaga”. 《롤링 스톤》 (영어) (New York: Real Media). 
  89. McKenzie, Ana. “For Lady Gaga, style, talent have powered rise to fame”. College Media Journal. 2009년 5월 28일에 확인함. 
  90. “Lady GaGa Inspires Sales Surge for Big Pants”. MGN Ltd. 2009년 6월 4일에 확인함. 
  91. 고경민 기자. “레이디가가, VMA 2010 생고기 드레스 패션 ‘파격의 ‘격’이 달라’”. 뉴스엔. 2010년 11월 6일에 확인함. 
  92. 임소라. “NYT 올해의 아이디어…레이디 가가 '생고기 드레스'. 매일경제 TV. 2010년 12월 20일에 확인함. 
  93. “레이디 가가 생고기 드레스, 美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전시”. 티브이데일리저자 =전소희.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94. Molanphy, Chris (2011년 6월 29일). “Introducing the Queen of Pop”. 《롤링 스톤》 (영어). 201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95. 한지윤 기자. “美 대학 ‘사회학으로 바라본 레이디 가가’ 강의 개설”. 뉴스엔. 2010년 11월 6일에 확인함. 
  96. Vena, Jocelyn (2010년 10월 30일). “US College Offering Lady GaGa Degree” (영어). MTV Networks.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97. 백지현 기자. “김연아-비 ‘타임 영향력있는 100인’ 레이디가가 꺾고 3, 4위 확정”. 뉴스엔. 
  98. “레이디가가 페이스북 팬, 오바마 앞질러”. 연합 뉴스. 
  99. 채치훈. “‘트위터 퀸’ 레이디 가가, 2,000만 팔로워 돌파 ‘신기록’”. 유코피아. 2012년 4월 3일에 확인함. 
  100. 오세희 인턴 기자. "유튜브의 여왕"…레이디 가가, 사상 최초 조회수 10억명 돌파”. 스포츠서울 연예. 2010년 11월 6일에 확인함. 
  101. 고경석 기자. “레이디 가가, 美빌보드 선정 2010년 최고의 가수”. 스포츠투데이. 2010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2. “‘기부 천사’ 레이디가가, 150억 원대 대저택 구입 ‘취향 역시 독특해~’”. 아이비타임즈.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03. 채치훈. “레이디 가가를 '죽음'에서 구해낸 갑부는?”. 유코피아.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04. 이청원. “팝스타 레이디 가가, 에이즈 퇴치에 나선 이유?”. 폴리뉴스.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05. 김유경. “역시! 레이디 가가, AIDS 캠페인 립스틱 불티나게 판매”. 뉴스엔.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06. 이현경. "사회 지도층의 의무"…레이디 가가, 2010년 자선활동 1위”. 스포츠서울신문.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07. 채치훈. “레이디 가가, 일본 위해 팔찌 디자인”. 유코피아. 2011년 3월 13일에 확인함. 
  108. 김성한. “레이디 가가, 일본 구호 팔찌 이틀만에 3억 모금”. 스포츠한국. 2011년 3월 22일에 확인함. 
  109. Thomas, Matt (2009년 7월 9일). “Going Gaga”. 《패드》 (영어) (핑크 트라이앵글 프레스). 2009년 8월 11일에 확인함. 
  110. Vena, Jocelyn (2009년 5월 7일). “Lady Gaga On Success: 'The Turning Point For Me Was The Gay Community'. 《MTV》 (MTV Networks). 2009년 8월 11일에 확인함. 
  111. 강명석, 이지혜. “레이디 가가│대체 레이디 가가가 누구야?”. 10아시아.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12. 이진수. “레이디 가가는 레즈비언?│대체 레이디 가가가 누구야?”. 아시아경제. 2011년 2월 16일에 확인함. 
  113. 장영지. “레이디 가가, “동성애자들에게 평등권을” 행사에 참가”. 정경뉴스.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14. 뉴스팀. “레이디가가, ‘묻지마’ 軍정책 반대집회서 연설”. 서울신문NTN.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115. 김도희. “팝 디바 스피어스, 동성애자들에 최고 인기”. 한국일보.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116. 오애리. “동성애·살인… 레이디 가가 뮤직비디오 파문”. munhwa.com. 2011년 2월 16일에 확인함. 
  117. 배선영. “레이디가가 ‘틴 초이스 어워드’ 수상에 “팬들 때문에 산다” 감격 발언”. 뉴스엔. 
  118. “The Vodafone MTV Australia Awards!”. MTV.com. 2009년 2월 22일에 확인함. 
  119. “MuchMusic Video Awards 2009 Nominees”. MuchMusic. 2009년 6월 4일에 확인함. 
  120. 강인범 기자. “2010년 그래미 어워즈...테일러 스위프트, 레이디 가가 등 시상식 빛내”. 데일리경제. 
  121. 김지현 기자. “레이디가가, 英브릿어워즈서 최다 3관왕 영예”. 머니투데이. 

바깥 고리

틀:Link FA 틀:Link GA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