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독일 통일 기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통일 기금(Fonds Deutsche Einheit)은 독일의 통일 이후 그에 따른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이다. 1990년 5월 8일 양독 정부간에 체결된 '화폐, 경제, 사회 통합조약'에 근거하여 만들어졌고 연방정부와 주 정부 대표들이 모여 1990년 5월부터 1994년 말까지 총 1150억 독일 마르크(DM)를 보전하여 통합될 동쪽 신연방 5개 주에 지원하기로 합의하고 연방정부의 특별 재산으로 설립된 것이다. 주로 연방정부의 지원, 융자를 통한 조달 그리고 서독 지역 주 정부로부터 최고 80억 마르크의 지원 등 세 가지로 재원이 마련되었다. 기구 설치 당시 1150억 DM을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그 액수는 점차 늘어나서 총 지출액은 1607억 DM이 되었다. 이는 초반에 독일정부가 낙관적으로 통일비용을 과소평가했으나 신연방주들의 재정수요는 계속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연대 협약'이 이 기금을 대신하였다.

과정[편집]

독일정부는 통일 전부터 통일에 소요되는 재정을 충당하기 위해 '개발신용조합'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1948년 전후 파괴된 국가경제의 지원 이외에 개발도상국가들을 위한 신용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조합은 초기 자본금 5억달러로 설립되었고 이 중 80%는 연방정부에서 출자하고 20%는 연방주에서 부담하였다.[1]

통일 후에는 동독참여기금(후에 '통일기금'이 됨)을 이용하였고 이는 구 동독지역의 재건에 참여하는 기업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동독지역의 재건을 위한 투자기금을 조성하고 이 자금을 구 동독지역에서 기업을 설립하는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개발신용조합이 위험의 절반을 부담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안전망을 제공하였다.[2] 이 기금을 동쪽의 신연방주에 지원하는 것은 구 서독주들과 구 동독 주들의 조세수입과 조세구조, 그리고 경제 규모의 상당한 차이를 감안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통일 후 독일 연방정부는 동독지역 신설 5개주에 대하여 매년 연방예산의 약 25%, GNP의 약 5%에 해당하는 재정을 이전하였는데 이 중 가장 지출항목이 큰 것은 동독지역에 대한 사회보장 이전액으로서 1992년의 경우 전체 이전액의 약 49%를 차지할 정도였다.[3] 신연방주와 동베를린은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이 기금으로부터 주민 수에 비례하여 특별지원 명목으로 지원을 받았다.

신연방주의 재정수요가 늘어나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금의 규모도 늘어났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독일 통일기금의 총 지출액은 1607억 독일 마르크로 당시 1마르크당 환율 500원으로 환산하면 한국 돈으로 약 80조원이 된다.

독일통일기금 조성내역 (단위: 10억 독일마르크)
조성내역 1990 1991 1992 1993 1994 총계
당초 기금 조성액 22.0 35.0 28.0 20.0 10.0 115.0
-차입 20.0 31.0 24.0 15.0 5.0 95.0
-연방예산 2.0 4.0 4.0 5.0 5.0 20.0
차입금 처리
-차입금 누적액 20.0 51.0 75.0 90.0 95.0 -
-차입금이자 지불 - 2.0 5.1 7.5 9.0 -
증액된 독일통일기금 22.0 35.0 33.9 25.9 15.9 146.3

자료: Jan Priewe and Rudolf Hickel(1991), Der Preis der Einheit, p.135: 주독일 대한민국대사관(1992, p.197)에서 재인용

한계[편집]

독일은 처음에 '통일비용'을 너무 낮게 책정하였고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 예측을 하여 독일통일기금을 적게 책정하였다. 또한 대부분이 차입을 통하여 확보되었기 때문에 후에 공공부문의 부채로 남게되는 부채가 발생하였다.[4]

각주[편집]

  1. 독일통일 재원마련과 운용열쇠는 개발신용조합, 통일한국 제 8권 1호, 2000, 게하르트 미켈스
  2. 통일에 대비한 한국의 통일비용 재원조달방안에 관한 논의, 한독사회과학논총 제 17권 3호, 2007, 전상진 외 2인
  3. 남북한 사회보장제도 비교연구. 공적 소득보장제도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03,박영현
  4. 통일독일의 통일비용과 경제통합, 한국유럽학회, 2008, 정용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