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미수복지구의 무형문화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수복지구의 무형문화재무형문화재 중에서 이북5도청에 해당하는 미수복지구(이북5도)에서 유래된 문화재를 대한민국 이북5도청과 문화재청이 지정한 것을 의미한다.

현재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무형문화재가 총 11건 지정되어 있고, 이북5도 무형문화재 연합회에서 공동 관리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3조,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미수복지 명예시장 군수 등 위촉에 관한 규정 5조 6항에 따른 영토 규정에 따라, 미수복지구에 대해 대한민국이 관리하는 무형문화재다. 현재 이북5도에 대한 문화재는 본 무형문화재 이외에는 없다.

지정목록[편집]

황해도[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만구대탁굿
이북5도청 황해도 전역 2005년 11월 10일 지정 [1]
2호 서도소리 산염불, 난봉가
황해도 전역 2009년 8월 26일 지정 [2]
3호 서도선소리산타령 놀량사거리
황해도 전역 2009년 8월 26일 지정 [3]
4호 화관무
황해도 전역 2011년 8월 1일 지정 [4]
5호 최영장군 당굿
황해도 전역 2011년 8월 1일 지정 [5]

평안남도[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평양검무
이북5도청 평안남도 전역 2001년 2월 23일 지정 [6]
2호 평안도 향두계놀이
평안남도 전역 2009년 8월 18일 지정 [7]

평안북도[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청자, 백자, 결자 도공의 기술
이북5도청 평안북도 전역 2000년 3월 18일 지정 [8]
2호 영변성황대제
평안북도 전역 2007년 10월 5일 지정 [9]
3호 평안도 다리굿
평안북도 전역 2007년 10월 5일 지정 [10]

함경남도[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돈돌날이
이북5도청 함경남도 전역 1998년 11월 12일 지정 [11]

함경북도[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애원성
이북5도청 함경북도 전역 2005년 6월 5일 지정 [12]
2호 두만강뗏목놀이소리
함경북도 전역 2007년 6월 11일 지정 [1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