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Tosque/위키백과:독일어의 한글 표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국립국어원이 정하고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공표한 독일어 표기법입니다. 이 문서에는 세칙 전문과 외래어 표기법에 규정이 되지 않았거나 애매모호한 부분을 보완한 위키백과상 표기 세칙도 같이 수록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 제3장 제2절: 독일어의 표기[편집]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제1항: [r][편집]

  •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Hormon [hɔrmoːn] 호르몬 Hermes [hɛrmɛs] 헤르메스
  • 2. 어말의 [r]와 '-er [∂r]'는 '어'로 적는다.
Herr [hɛr] 헤어 Razur [razuːr] 라주어
Tür [tyːr] 튀어 Ohr [oːr] 오어
Vater [faːt∂r] 파터 Schiller [ʃil∂r] 실러
  •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verarbeiten [fɛrarbait∂n] 페어아르바이텐
zerknirschen [tsɛrknirʃ∂n] 체어크니르셴
Fürsorge [fyːrzorɡə] 퓌어조르게
Vorbild [foːrbilt] 포어빌트
auβerhalb [ausərhalp] 아우서할프
Urkunde [uːrkundə] 우어쿤데
Vaterland [faːtərlant] 파터란트

제2항: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편집]

Rostock [rɔstɔk] 로스토크 Stadt [ʃtat] 슈타트

제3항: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편집]

Heidelberg [haidəlbɛrk, -bɛrç] 하이델베르크
Hamburg [hamburk, -burç] 함부르크

제4항: [ʃ][편집]

  • 1.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Mensch [menʃ] 멘슈 Mischling [miʃliŋ] 미슐링
  • 2.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Schüler [ʃyːlər] 쉴러 schön [ʃøːn]
  •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Schatz [ʃats] 샤츠 schon [ʃoːn]
Schule [ʃuːlə] 슐레 Schelle [ʃɛlə] 셸레

제5항: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오이'로 적는다.[편집]

läuten [lɔyt∂n] 로이텐 Fräulein [frɔylain] 프로일라인
Europa [ɔyroːpa] 오이로파 Freundin [frɔyndin] 프로인딘

위키백과상 독일어의 표기[편집]

다음은 위 국립국어원 표기에 기초하여 위키백과에서 별도로 작성한 독일어 자모표와 한글 표기 대조표 및 표기 세칙입니다. 방언에서 유례한 지명과 인명은 본 자모표와 다를 수 있으므로 IPA 발음 기호를 기준으로 위 국립국어원 표기에 기초하여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모 한글 보기 기타 세칙 참조
모음 앞 자음 앞
· 어말
자음 b ㅂ, 브, 프 Baden 바덴, Habsburg 합스부르크, Schwalb 슈발프, Zerbst 체르프스트
c ㅋ,ㅊ Coburg 코부르크, Cäcilia 체칠리아, Clemens 클레멘스 아래 문단
ch 흐,히 China 히나, Chrom 크롬, München 뮌헨, Bach 바흐, Reich 라이히 아래 문단
chs ㄱㅅ ㄱ스 Fuchs 푹스, Sachsen 작센
d Dortmund 도르트문트
dt -
dsch - Dschungel 중겔
f Franz 프란츠, fünf 퓐프
g ㄱ, 그, 크, 히 Georg 게오르크, Magdalena 막달레나, Augsburg 아우크스부르크, Wagner 바그너, Ludwig 루트비히
h 적지 않음 Hand 한트, gehen 게엔, weh 베 아래 문단
k ㄱ, 크 Karolina 카롤리나, Wolke 볼케, Mark 마르크
ck ㄱ, 크 Brock 브로크, Brockhaus 브록하우스, Becker 베커
l ㄹ,ㄹㄹ Landau 란다우, Deutschland 도이칠란트, Halle 할레, Hameln 하멜른, Kiel 킬
m Merkel 메르켈, Bremen 브레멘 Genom 게놈
n Nord 노르트, Nürnberg 뉘른베르크, Mann 만
ng ㅇㄱ Engel 엥겔, Göttingen 괴팅겐, Wolfgang 볼프강
nk
nck
ㅇㅋ ㅇ크 Bank 방크, Ranke 랑케, Planck 플랑크
p ㅂ, 프 Potsdam 포츠담, Leipzig 라이프치히, Gips 깁스, Bottrop 보트로프
pf
pff
Pfalz 팔츠, Kempff 켐프
ph Philipp 필리프
psy 프쉬 - Psychologie 프쉬홀로기
qu 크ㅂ - Quedlinburg 크베들린부르크, Quandt 크반트
r 르,어 Rose 로제, Hormon 호르몬, der 데어, dir 디어, Vater 파터, Neckar 네카어 제1항 문단, 아래 문단
rh Rhein 라인
s 슈, 스 Solingen 졸링겐, Stadt 슈타트, Geist 가이스트, Hals 할스, Theresia 테레지아 제4항 문단, 아래 문단
sch 시* Schleswig 슐레스비히, Schönbrunn 쇤브룬, Tisch 티슈 제4항 문단
ss
ß
Essen 에센, Kuss 쿠스 Meißen 마이센
t ㅌ,ㅊ ㅅ, 트 Mutter 무터, Gut 구트, Cottbus 콧부스, Bottrop 보트로프, Information 인포르마치온 아래 문단
th Thüringen 튀링겐, Elisabeth 엘리자베트
ds
ts
tz
Landshut 란츠후트, Potsdam 포츠담, Görlitz 괴를리츠
tsch
tzsch
tschüs 취스, Deutschland 도이칠란트, Nietzsche 니체, Delitzsch 델리치
v ㅍ,ㅂ ㅂ, 프 Volk 폴크, von 폰, Vitamin 비타민, kreativ 크레아티프 아래 문단
w Wagen 바겐, Witten 비텐, Wriezen 브리첸 아래 문단
x ㄱㅅ, 크ㅅ ㄱ스, 크스 Xanten 크산텐, Maximilian 막시밀리안, Max 막스, Marx 마르크스
z Zug 추크, Mozart 모차르트, Salz 잘츠
반모음 j 이* Jena 예나 Jürgen 위르겐
y 이· 위 Zylinder 칠린더, Zypern 취퍼른
모음 a Aspirin 아스피린, Hagen 하겐
e Ernst 에른스트, Hegel 헤겔 아래 문단
i Isabel 이자벨, Fischer 피셔 아래 문단
o Otto 오토, Sophie 조피 아래 문단
u Ulm 울름
변모음 ä(ae) Kärnten 케른텐, Händel 헨델, Weizsäcker 바이츠제커
ö(oe) Österreich 외스터라이히, Göttingen 괴팅겐
ü(ue) übung 위붕, Thüringen 튀링겐
중모음 aa Aachen 아헨, Saale 잘레
ee Spree 슈프레
oo Moosburg 모스부르크
복모음 ai
ay
ei
ey
아이 Main 마인, Bayern 바이에른, Arbeit 아르바이트, Speyer 슈파이어,
au 아우 Hanau 하나우, Umlaut 움라우트 제5항 문단
äu
eu
오이 Fräulein 프로일라인, Säule 조일레, Eugen 오이겐, Neuss 노이스 제5항 문단
ie 이, 이에 Bielefeld 빌레펠트, Allergie 알레르기, Marie 마리, Marien 마리엔 아래 문단
oi 오이 Stoiber 슈토이버, Boizenburg 보이첸부르크 아래 문단
ui 우이, 위 Ruin 루인, Duisburg 뒤스부르크 아래 문단

※ sch, j의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표기 세칙[편집]

  • 제1항 b, p
1. 짧은 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받침 'ㅂ'으로 적는다.
Obwalden 옵발덴 Gips 깁스
2. 자음·긴 모음·이중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프'로 적는다.
Zerbst 체르프스트 Leipzig 라이프치히
3. 자음·모음과 l, r, m, n 사이에 올 때에는 b는 '브'로, p는 '프'로 적는다.
Republik 레푸블리크 Kepler 케플러
4. 어말에 올 때에는 '프'로 적는다.
Schwalb 슈발프 Castrop 카스트로프
  • 제2항 d, t, dt
1. 짧은 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받침 'ㅅ'으로 적는다.
Cottbus 콧부스
2. 자음·긴 모음·이중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트'로 적는다.
Nidwalden 니트발덴 Bottrop 보트로프
3. 자음·모음과 l, r, m, n 사이에 올 때에는 d는 '드'로, t는 '트'로 적는다.
Andreas 안드레아스
4. 어말에 올 때에는 '트'로 적는다.
Krefeld 크레펠트 Stadt 슈타트
5. 위 규정에 관계없이 라틴어 계통에서 유래한 -tion, -tiär, -tial, -tiell, -tie로 이어지는 경우 '치'로 적는다.
  • 제3항 g, k, ck
1. 짧은 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Magdalena 막달레나 Brockhaus 브록하우스 Lektion 렉치온
2. 자음·긴 모음·이중모음과 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올 때에는 '크'로 적는다.
Augsburg 아우크스부르크 Backhaus 바크하우스
3. 자음·모음과 l, r, m, n 사이에 올 때에는 g는 '그'로, k, ck는 '크'로 적는다.
Wagner 바그너 Mecklenburg 메클렌부르크
4. 어말에 올 때에는 '크'로 적는다. 다만, g의 경우 마지막 음절이 단음절로 된'-ig'인 경우 '히'로 적는다.
Zug 추크 Lübeck 뤼베크
  • 제4항: c는 'ㅋ'으로 적되, e, i, ä, ö, ü 앞에서는 'ㅊ'으로 적는다.
Celle 첼레 Coburg 코부르크 Leica 라이카
  • 제5항: ch
1.
2.
  • 제6항: h
1.
2.
  • 제7항: sch
1.
2.
  • 제8항: l
1.
2.
  • 제9항: r, er
1.
2.
  • 제10항: s
1.
2.
  • 제11항: ds, ts, tz, tsch
1. ds, ts, tz는 z와 같이 적는다.
2. tzsch는 tsch와 같이 적는다.
  • 제12항: v
1.
2.
  • 제13항: x
1.
2.
  • 제12항: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ss는 'ㅅ'으로 적는다.
Johannes 요하네스 Lippe 리페 Lotte 로테
Pommern 포메른 Essen 에센
  • 제14항: j
1.
2.
  • 제15항: y
1.
2.
  • 제16항: ie
1.
2.

위키백과 기타 표기 세칙[편집]

ch의 표기[편집]

ch는 크게 두 가지로 발음하는데, 모음 a, o, u, au 다음에 ch가 오는 경우에는 '흐'([χ])로, 그 이외의 경우에는 '히'([ç])로 표기한다.

auch [aʊ̯χ] 아우흐 noch [nɔχ] 노흐
ich [ɪç] 이히 durch [dʊʁç] 두르히

h의 표기[편집]

h는 어두에 올 경우 'ㅎ'로 표기한다. 다른 모든 경우에는 묵음으로 표기한다. an-, auf-, aus-, be-, ein-, ent-, ge-, ver-, vor-, zu- 등의 접두사는 어두로 보지 않는다.

Behörde [bəˈhøːɐ̯də] 베회르데 Ehre [ˈeːʀə] 에레
gehen ['ɡeːən] 게엔 sehen [ˈzeːən] 제엔

r의 표기[편집]

국립국어원의 독일어 표기 세칙 중 제1항에 어말의 r 표기는 '어'로 쓰게 되어 있지만 ar에 관한 예는 나오지 않는다. 위키백과 상에서는 '아르'로 표기한다.

Weimar 바이마르 Lothar 로타르
Klar 클라르 Saar 자르

s의 표기[편집]

s가 p와 t앞에 어두로 오는 경우에는 '슈'[ʃ]로 표기하며, 모음 앞에 올 경우에는 'ㅈ'[z]로 표기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모두 '스'[s]로 표기한다.

Sport [ʃpɔʁt] 슈포르트 Stephan [ˈʃtɛfan] 슈테판
Knospe [ˈknɔspə] 크노스페 sagen [ˈzaːɡən] 자겐

t의 표기[편집]

t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ㅌ'로 표기되지만, 어미인 -ion과 합성할 경우 'ㅊ'로 표기해야한다. 그 이외의 경우엔 그대로 표기한다.

Nation [naˈʦɪ̯oːn] 나치온 Lektion [lɛkˈʦi̯oːn] 렉치온
Aktion [akˈtsi̯oːn] 악치온 Kation [ˈkatʔi̯oːn] 카티온 (Ion 합성어)

ie의 표기[편집]

ie의 경우 '이'로 표기하나 ie 앞의 음절에 강세가 있을 경우에는 '이에'로 표기한다.

Niederlande [ˈniːdɐˌlandə] 니더란데 Sie [ziː]
Familie [faˈmiːli̯ə] 파밀리에 Folie ['foːlɪ̯ə] 폴리에

독일어의 외래어 표기법[편집]

외래어는 유례한 언어의 발음대로 표기한다. c로 시작하는 단어는 대부분 외래어이다. v로 시작하는 외래어는 'ㅍ'로 표기하지 않고 'ㅂ'로 표기한다.

Apartment [a.paʁ.tǝ.mɑ̃] 아파르트망 (불어) Engagement [ãɡaʒˈmãː] 앙가주망 (불어) Etui [e.tɥi] 에튀이 (불어)
Orange [oˑˈʀãʒə] 오랑주 (불어) Chance [ʃãːs] 샹스 (불어) Voile [vwal] 부알 (불어)
Klavier [klaˈviːɐ̯] 클라비어 (라틴어) Manager [ˈmɛnɪʤɐ] 매니저 (영어) Computer [kɔmˈpjuːtɐ] 컴퓨터 (영어)

예외적 장모음[편집]

독일어는 주로 모음 뒤에 h를 붙이거나 aa, ee, oo, ie와 같은 중·복모음으로 장모음을 표기하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 예외적 장모음이 존재한다.

-e 장모음[편집]

모음 뒤에 e가 붙어 장음소리가 난다. 주로 니더라인과 베스트팔렌, 북부 독일의 지명, 인명에서 나타난다.

Soest 조스트 Flaesheim 플라스하임 Coesfeld 코스펠트 Raesfeld 라스펠트
Boes [boːs] 보스 Fuest [fuːst] 푸스트 Graen [ɡraːn] 그란 Schoenmakers [ˈʃoːn-] 숀마커스
-i 장모음[편집]

모음 뒤에 i가 붙어 장음소리가 난다. 주로 니더라인과 라인란트 지방, -Broich로 끝나는 지명에서 나타난다. 몇몇 인명에서도 나타난다. Duisburg를 비롯한 몇몇 도시는 장음 '우'에서 '위'로 변화하였다.

Moitzfeld 모츠펠트 Troisdorf 트로스도르프 Roisdorf 로스도르프 Boisheim 보스하임 Broich 브로흐
Ratherbroich 라터브로흐 Voigt 포크트 Fußbroich 푸스브로흐 Duisburg 뒤스부르크 Duissern 뒤셀른
-o, uo 장모음[편집]

모음 뒤에 o가 붙거나 uo로 장음소리가 난다. 다른 장모음에 비하여 현재 지명 및 인명에 남아있는 명사는 드물다.

Huonder 혼더 Huonker 혼커 Kuon 콘
-w, ow 장모음[편집]

모음 뒤에 w가 붙거나 ow로 장음소리가 난다. 주로 과거 슬라브 민족들이 살던 지역인 멕클렌부르크-포어포멜른와 브란덴부르크, 베를린, 작센안할트의 지명에서 나타난다.

Finow 피노 Güstrow 귀스트로 Hagenow 하게노 Jerichow 예리호
Lüchow 뤼호 Pankow 판코 Teltow 텔토 Treptow 트레프토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