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순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언》(醇言)은 이이가 유학자의 시각에서 노자의 《도덕경》을 재편성한 책이다. 《도덕경》 가운데 유도(儒道)에 가깝고, 성학(聖學)에 방해됨이 없이 오로지 순일한 내용만으로 구성되었다고 해서, 《순언》이라 이름 붙였다고도 한다. 당시엔 이단으로 취급되어 온 도가 철학을 처음으로 순수하게 학문으로 연구해, 이후 도가 철학의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유가의 이치에 초점을 맞춘 《도덕경》 풀이[편집]

《순언》은 《도덕경》의 본체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측면에서 응용되지 않음이 없다고 해서 허무 지향의 이단의 학문이 아니라고 규정된다. 또 《순언》에는 도체(道體) 및 심체(心體)의 본체론, 수기치인으로 요약되는 수양론과 정치론(政治論), 천도(天道)의 이치로 대변되는 순리론(順理論)이 전개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문제, 자아의 문제, 세계의 문제, 조화(調和)의 문제에 대한 율곡의 사유 및 입장이 잘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율곡의 《순언》은 반상합도(反常合道)를 지향하는 도가(道家)의 함의적인 내용보다는, 명철보신(明哲保身)을 추구하는 유가의 현달(賢達)한 이치에 초점을 맞춘 교훈적이고 경계적인 저술이라 하겠다.

후대에 끼친 영향 및 평가[편집]

《순언》은 후대 학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박세당(朴世堂)의 《신주도덕경》(新註道德經), 서명응(徐命膺)의 《도덕지귀》(道德指歸), 이충익(李忠翊)의 《담로》(談老), 홍석주(洪奭周)의 《정로》(訂老) 등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순언》은 통해 당시엔 이단으로 취급되어 온 도가 철학을 처음으로 순수하게 학문의 관점으로 연구한 저술이기도 하다. 이로써 이이는 도가 철학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문서에는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CC-BY-SA 3.0으로 배포한 책 소개글 중 "순언" 의 소개글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