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티븐 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티븐 송
인물 정보
국적미국
출생1981년
업적

스티븐 송(Steven Phillip Song, 한국명 송현달, 1981년~ )은 한국계 미국인 건축가이다.[1]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건축사무소 SCAAA와 호텔 투자회사 Axle Companies의 대표이며, UCLA Hammer 미술관, Southern California Institute of Architecture (SCI-Arc)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Clinton Health Access Initiative의 운영위원회 멤버이다.

교육[편집]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소재한 카네기 멜론 대학필라델피아에서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의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2]

경력[편집]

대학생 시절부터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 문하에서 도제로 들어가 건축을 배운 뒤, 뉴욕의 젊은 건축가 동료들과 함께 건축/이론그룹인 VIUM(비움)을 개설하였다. 그 이후 로스앤젤레스에서 건축사무소 SCAAA를 개설, 대표로서 활동 중이다.[2]

대표작으로는 홍대의 RYSE호텔, 필리핀 증권 거래소, 공유 오피스 BLDG BLCKS등이 있다.[3]

로버트 벤투리와 데니스 스콧 브라운과의 사제 관계[편집]

2007년초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으로부터 그들의 건축 아이디어들을 새로운 세대의 건축가의 눈으로 재조명하는 글을 써보라는 제안을 받고 논문을 쓰기 시작, 2007년 7월 파리의 아메리칸대학에서 열린 국제 인문학 컨퍼런스에서 《패러다임의 이동- 데커레이티드 셰드의 재발견》(Shifting Paradigms: Renovating the Decorated Shed)이란 제목으로 발표해 건축계로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2] 이 논문은 미국의 건축포럼 Archinect, 베트남의 건축포럼 Kienviet 과 한국의 월간 'SPACE(옛 空間)' 2009년 3월호에 게재되었다.[4]

스티븐 송은 《패러다임의 이동- 데커레이티드 셰드의 재발견》을 통해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의) 건축적 접근법을 기반으로 현대 사회와 기술의 패러다임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연구했다. 그로써 콘텍스트, 거주 공간 그리고 기호에 대한 또 한 번의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정보화, 다문화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건축에 대한 토론을 전개했다."[5]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은 한국의 SPACE 건축지와 미국의 Archinect를 통해 건축계에 스티븐 송을 소개하였다: "1960, 1970년대 우리는 친애하는 근대건축이 시대의 흐름에 발맞출 것을 주장했다. 40년이 흐른 지금 당시 우리의 주장에 대한 스티븐 송의 재평가는 반갑다. 스티븐 송은 우리의 주장을 오해한데서 발생한 파편들을 뒤로 한 채 우리가 의도했던 본래의 주장으로 돌아가고 있다. 또한 그는 오늘날 젊은 건축가들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에 맞추어 우리의 주장을 조절하고 확장시키고 있다. 스티븐 송은 두 노장 건축가에게 신세대 건축가들도 근대주의의 훌륭한 기반을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선물로 주었다!"[6]

2008년, 영국 정부의 교육기관 BECTA (the British Educational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gency)가 발간한 미래의 아이들의 놀이/교육 공간에 대한 제안서 《Re-imagining outdoor learning spaces: Primary capital, co-design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은 스티븐 송의 논문을 인용하였다.[7]

2009년에는 미국 하버드대에서 《기호와 시스템으로 읽는 건축, 매너리즘 시대를 위하여》란 타이틀로 출간된 스승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의 저서 한국어판의 감수를 맡았다.[8] 같은해 4월,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은 런던의 Architectural Association 대학의 강의에서 스티븐 송을 그들의 건축이론을 새롭게 확장시켜나가는 새로운 세대의 건축가라고 소개하였다.[2]

2010년 1월, 미국의 예일대학교에서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의 업적을 기리고 토론하는 국제 학회가 열렸다. 학회가 끝나고 스티븐 송은 학회의 내용을 정리하고 거기서 얻어진 토픽들로 새로운 토론을 이어나가는 내용의《Learning from 'Learning-From'》이라는 글을 발표하였다.[9]

같은 해, 건축 잡지 Museo와의 인터뷰에서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은, "스티븐 송의 《패러다임의 이동- 데커레이티드 셰드의 재발견》은 우리의 아이디어들을 글로벌 어바니즘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로 이어간다." 라고 하였다.[10]

2017년에는 벤투리와 스콧 브라운의 저서인 《라스베이거스의 교훈》의 한국어판 감수를 맡아 출간하였다.

저서[편집]

《라스베이거스의 교훈》 - 감수 (2017년)

《기호와 시스템으로 읽는 건축, 매너리즘 시대를 위하여》- 감수(2009년)

《패러다임의 이동- 데커레이티드 셰드의 재발견》(2007년)

각주[편집]

  1. 이영란 기자 (2009년 7월 14일). “[이사람]“사람 없는 건축은 생명없는 건물””. 헤럴드경제. 2010년 8월 31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2. “신예건축가 스티븐송; 건축계 싱크탱크 될터”. 2009년 7월 15일. 
  3. “홍대 앞 서교호텔 리모델링한 건축가 스티븐 송”. 2018년 5월 29일. 2019년 3월 8일에 확인함. 
  4. Song, Steven Phillip, “Shifting Paradigms: Renovating the Decorated Shed,” SPACE, No.496, March 2009, pp. 117-129
  5. 로버트 벤투리, 데니스 스콧 브라운, 《기호와 시스템으로 읽는 건축, 매너리즘 시대를 위하여》, 애플트리 태일즈, 2009년 4월, pp. 246-247
  6. Song, Steven Phillip, “Shifting Paradigms: Renovating the Decorated Shed,” SPACE, No.496, March 2009, pp. 117
  7. Rudd, Tim, "New technologies transforming outdoor learning and play space," Re-imagining outdoor learning spaces: Primary capital, co-design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 Bristol: Futurelab, 2008, pp. 44-45
  8. “건축거장 벤투리 "현대건축은 모호성이 매력". 2009년 7월 14일. 
  9. http://archinect.com/features/article.php?id=96145_0_23_0_M Learning from ‘Learning-From'/ Archinect February 2010 Feature "Learning from 'Learning-From'"
  10. Marcus, Adam, "Denise Scott Brown and Robert Venturi," Museo Magazine, Issue 14

외부 웹사이트[편집]

건축사무소 SC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