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헨 공과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표어Zukunft beginnt bei uns
미래는 우리에게서 시작된다
종류공립
설립1870년 10월 10일
총장울리히 뤼디거(Ulrich Rüdiger)
학생 수4만 7269명
교직원 수9264
국가독일
위치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아헨
웹사이트www.rwth-aachen.de
Map 아헨 공과대학교의 위치
본건물

라인 베스트팔렌 아헨 공과대학교(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는 독일 NRW주 아헨에 위치한 대학교이다. 재학생 4만7천여명을 가진 대규모의 국립 공과대학이다.

2007년 독일 대학 우수성계획 (Exzellenzinitiative)의 미래구상 (Zukunftkonzept)부문에 선정되어 독일의 9개 엘리트대학교에 포함되었다. 이 외에 9개 독일 명문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U9, 유럽 5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IDEA 리그 및 세계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

2021년 기준 QS대학평가 공과대학부문 43위로 독일 내 2위에 위치하고 있으며[1],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는 Peter Debye, Wilhelm Wien을 포함해 5명이다.

뮌헨 공과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교 등과 함께 독일 공과대학 TOP 3에 속한다. [2]

역사[편집]

1870년 10월 10일 개교했다. 당시 라인지방 최초의 공업대학으로, 루르 지방의 공업발전을 위한 인력양성 목적으로 세워졌다. 1899년 박사학위 수여교육기관으로 인정받았다.

1925년 제 2차 세계대전으로 7년간 휴교 한 후 국가와 시의 도움으로 규모를 급격히 키워갔다.

1965년엔 인문사회학부가 개설되고,1년 후 공과대학으로는 최초로 의과대학이 개설되었으며, 1980년에는 교육학교가 설립됐다. 1986년엔 인문사회학부에서 경제경영학부가 따로 분리되었다.

2007년 독일에서 베를린 자유대학 등과 함께 우수대학(Exzellenz Universität [1])으로 선정되어 2012년까지 정부로부터 총 1800만 유로(2010년도 환율기준 270억원)를 지원받았다.

2008년 학생업무담당건물(Super C)이 완공되었으며, 당시 건물에 첨단건축기술과 학교 건물로는 최초로 지열발전기술을 적용시켰다.

학교순위[편집]

기계공학, 전기공학 및 다양한 분야에서 독일 내 최상위권 대학으로 평가받는다.[3][4][5][6]

2021년도 QS 세계대학순위에서 기계공학분야로 18위에 오르면서 독일내 1위를 차지했다(참고로 서울대는 26위). 현지에서 뮌헨공대에는 약간 뒤쳐진다는 인식이 있는 아헨공대이지만 기계공학만큼은 아헨이 명실상부 최고라는 것이 주된 의견이다.

자원공학에선 21위, 전기공학 35위, 화공학 38위, 재료공학 41위, 화학 54위 순위에 있으며[7], 2019년 타임지에 공학분야로 27위, 컴퓨터공학 47위, 자연과학 72위에 랭크되었다.[8][9][10][11]

유명언론 "Handelsblatt"에 의하면 2009년 기계공학, 전기공학, 산업공학 그리고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독일내 1위에 랭크되었다.[12]

학교시설 및 규모[편집]

학생건물 Super C

약 260개의 연구소를 포함해, 약 290개의 건물이 있으며, 연간예산은 6억€(1조원)에 육박한다. 현재 약 5만명이 85개 전공 과정에 등록해 있으며, 매년 5500명 이상의 신입생이 들어오고 약 4000명정도가 졸업한다. 전체 학생중 약 18%는 외국학생들이다.

강의건물

학교교육특징[편집]

  • 교육방침인 실용주의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모든 이학분야 학부생들은 실습의무가 있어 산업현장 또는 교내 연구소에서 최소 1학기 간 경험을 쌓아야 한다.
  • 시험 난이도가 극악무도하다. 낙제율이 30%-50%면 무난한 시험, 낙제율 70%-95% 정도가 어려운 시험으로 여겨진다. 같은 시험을 3번 떨어지게 되면 퇴학을 당하기에 졸업이 굉장히 어렵다. 졸업자 중에서도 정규학기내 졸업자는 5% 내외로 굉장히 드물다.
  • 졸업 논문심사시 자신의 전공 지도교수 외에도 타 관련 학과의 교수의 지도 또한 받아야 한다.
  • 실제 산업현장에서도 업적을 쌓은 교수들이 자리하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그 교수를 따라 학교에 지원한다. 유명교수로는 현재(2010) 디터 엔더(유기화학), 지그프리드 벧케(입자물리학), 마르틴 베네케(입자물리학), 볼프강 다멘(응용수학), 볼프강 마구아르트(Process engineering) 등이 있다.
    Cluster Photonik

개설학부[편집]

대학병원

저명한 동문[편집]

대학내 물리,화학 연구소

교류협정대학[편집]

강의장

(2022년 5월 23일 기준)

  • 러시아 :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Moscow State University), 상트 페테르부르크 주립 공과 대학(St. Petersburg State Polytechnical University)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1.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영어). 2022년 5월 21일. 2022년 5월 21일에 확인함. 
  2. “World University Rankings” (영어). 2020년 8월 25일. 2020년 9월 12일에 확인함. 
  3. Rettig, Daniel. “Uni-Ranking 2011: Die besten Unis für die Karriere” (독일어).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4. “Uni-Ranking: Die besten Universitäten für Bachelor- & Masterstudiengänge” (독일어).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5. Schmidt, Kristin. “Uni-Ranking: Deutschlands beste Universitäten” (독일어).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6. “CHE Ranking – CHE” (독일어).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7. “RWTH Aachen University Rankings” (영어).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8. “RWTH Aachen University” (영어). 2019년 9월 9일.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9. “Engineering and Technology” (영어). 2019년 2월 15일.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0.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1 - Mechanical, aeronautical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영어). 2021년 12월 12일.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1.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1 - Engineering and Technology” (영어). 2021년 12월 12일.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12. “RWTH-TIM Blog » Blog Archive » Ranking: Best universities in Germany – RWTH scores high”. 2010년 8월 27일. 2010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