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작업치료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작업치료사
쿠바의 미국인 작업치료사
직업 분류의료 복지
설명
과정관련 자격증

작업치료사(作業治療士)는 작업적 수행이 손상되었거나 손상의 위험이 있는 클라이언트들이 의미있고 목적있는 작업에 참여하거나 독립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그들이 사회에 다시 복귀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전문가이다.[1][2] 작업치료사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장애를 원활하게 회복시키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물체나 기구를 활용한 감각활동훈련, 작업적 일상생활훈련, 인지재활치료, 삼킴장애재활치료, 상지보조기 제작 및 훈련, 작업수행분석 및 평가 업무, 그 밖의 작업치료적 훈련치료 업무를 수행한다.[3]

역할[편집]

작업치료사들은 사람, 배경상황, 그리고 가치 있는 작업의 참여 간 업무적인 관계의 지식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참여에 필요한 클라이언트 요소(신체기능, 인지기능, 가치, 신념 및 영성) 그리고 기술(운동, 인지, 사회) 내에서의 변화 또는 성장을 이용한다. 작업치료사들은 참여의 최종결과에 관심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환경 또는 환경 내 물체를 적용 및 수정하여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작업치료 서비스는 장애 및 비장애 관련 요구가 있는 클라이언트의 훈련, 재활, 건강과 안녕의 증진을 위해 제공된다.[4]

역량[편집]

  • 전문가적 책임
  • 비평적 사고
  • 실무 지식의 실천
  • 작업치료 실천과정의 활용
  • 효과적 의사소통 및 협력
  • 전문적인 개발의 참여
  • 체계 내에서의 실천과 지지

[5]

자격[편집]

  • 작업치료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에 따라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과 함께 의료 기사로 구분된다. 현재 법률상 작업치료사가 되려면 작업치료(학과)를 전공 후 한국보건의료인 국가 시험원(이하 "국시원")에서 실시하는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취득하여야 한다.[6]

교육커리큘럼[7][편집]

  1. 기초교육 : 인체 해부학, 의학용어, 생리학, 기능해부학, 재활치료의 심리학적 기초, 신경해부학,인체 검사학, 임상 신경학,재활의학, 인체운동학, 아동 발달학, 정신의학, 의료법규 및 행정, 공중보건학, 연구방법론 등
  2. 작업치료 이론 : 작업치료학개론, 치료적 작업응용, 작업수행 분석, 임상작업치료 평가, 운동치료학, 아동 작업치료학, 학교 작업치료, 보조기 및 의지학, 감각통합치료, 신경계 작업치료학, 근골격계 작업치료학, 노인 작업치료학, 정신사회 작업치료학, 지역사회 작업치료학, 일상생활활동, 직업재활, 운전재활, 환경과 재활보조공학 등
  3. 작업치료 임상실습 : 작업치료 임상 실습 등

직업 진로[편집]

  • 의료 관련 기관
    • 종합병원
    • 재활병원
    • 요양기관
    • 정신병원
  • 지역사회 관련 기관
    • 지역사회 건강/보건 기관
    • 장애인 건강 / 활동관련 센터
    • 지역 복지관
    • 지역사회 재활, 보조공학 서비스기관
    • 방문재활 서비스 기관
    • 발달장애, 치매 등 특정 장애지원 서비스관련 기관
    • 운전재활 관련 기관
  • 학교 교육관련 기관
  • 공공기관
  • 기타
    • 보조공학, 의료기 관련 사업체
    • 국내외 자원활동
    • NGO 활동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권정아, 2007. 작업치료사의 직무 만족도 관련요인
  2.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Inc.[NBCOT]. USA. 2008a”. 
  3. 《의료기사등에 관한법률 시행령 제2조》. 
  4. AOTA Model Practice Act (AOTA, 2011)
  5. Association of Canadian Occupational Therapy Regulatory Organizations,2001
  6.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17. 
  7. 작업치료학의 이해,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