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난공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453년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왕의 숙부인 수양대군(首陽大君)은 왕위 찬탈을 목적으로 측근인 권람(權擥)·한명회(韓明澮) 등과 모의해 단종의 보좌 세력인 황보 인·김종서와 종친인 안평대군 등을 살해·제거하였다.수양대군은 황보 인·김종서 등 조정의 원로대신이 자기의 아우 안평대군을 중심으로 반역을 도모하므로, 자신이 이 역모를 미연에 탐지하고서 이들을 살해·제거해 국가의 위난을 평정했다고 주장하였다. 이 내용을 왕에게 아뢰고 이 거사에 가담·협력한 사람에게 공신의 책록을 요청하므로, 단종은 이 요청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난공신(靖難功臣)의 칭호를 내려 이들을 표창하였다.

1등 공신[편집]

2등 공신[편집]

3등 공신[편집]

성삼문은 이 거사에 가담하지 않았는데도 집현전 학사의 협력을 보이기 위해 강제로 공신으로 책록했으나,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를 도모한 사건으로 훈호가 추탈되었다.

출처[편집]

정난공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