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 報告書)는 2009년 11월에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과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친일반민족행위 연구,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구성[편집]

4부 2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1,000여 쪽에 달한다.

  • 1부: 위원회 활동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출범 배경과 설치 과정,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 제정 과정, 조직 구성과 변천 과정, 위원 및 자문위원 명단 및 직원 명단, 위원회, 자문위원회, 사무처의 업무 개요, 연도별 예산 및 결산 현황, 위원회 및 자문위원회 회의, 민원 및 쟁송 등 위원회의 사업 및 활동,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활동의 성과 및 과제 정리)
  • 2부: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목적과 조사 대상, 조사 방법, 부문별·분야별(정치 부문, 통치 기구 부문, 경제·사회 부문, 문화 부문, 해외 부문)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과정과 내용 정리,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결과 및 조사 현황 정리, 조사의 성과와 한계 정리)
  • 3부: 친일반민족행위 연구
    • 3-1부
      • 서설
        • 일제 식민 통치의 전개와 친일반민족행위
        • 일제 식민 지배의 구조와 친일반민족행위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의 성립과 활동
      • 일제의 국권 침탈과 친일반민족세력의 형성
        •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과 한국인의 협력
          • 러일 전쟁과 한국인의 전쟁 협력
          • 국권 침탈 조약의 체결 과정과 한국인의 역할
          • 의병 운동 탄압의 양상
          • 병합 이전 친일단체의 ‘합방청원운동’
        • 조선귀족·중추원의 형성과 활동
          • 조선귀족의 성격과 활동
          •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성격과 활동
        • 일제의 훈장·포상 제도와 한국인(조선인)
    • 3-2부
      • 일제의 조선 통치 기구와 조선인의 참여
        • 일제의 조선 통치 방침과 조선인 관료
          • 일제의 조선 통치 정책과 행정 제도 개편
          • 조선총독부의 관료 임용 제도와 조선인 관료
          • 지방 행정의 변화와 군수의 역할
        • 헌병·경찰을 통한 식민 통치와 항일 운동 탄압
          • 헌병보조원의 성격과 활동
          • 경찰관제의 변화와 조선인 경찰
          • 고등경찰제도와 조선인 고등경찰
        • 사법 제도 변화와 항일 운동 탄압
          • 조선인 판·검사와 항일 민족 운동 탄압
          • 일제의 형무소 제도와 조선인 형무관리
        • 일본 군인으로 활동한 조선인
          • 조선 출신 일본군 장교의 형성과 변화
          • 만주국군과 조선인 장교의 양성
          • ‘조선인특설부대(朝鮮人特設部隊)’의 조직과 활동
    • 3-3부
      • 일제의 경제·사회 침탈과 친일 협력
        • 일제의 경제 정책과 주요 경제 기구
          • 일제의 경제 침탈과 경제 정책의 변화
          • 주요 경제 기구와 조선인
        • 조선총독부의 언론 정책과 조선 언론인
        • 일제의 교육 정책과 조선인의 친일 협력
        • 일제의 종교 정책과 종교계의 친일 협력
          • 일제 종교 정책의 변화와 성격
          • 기독교의 친일 협력
          • 불교의 친일 협력
          • 유교의 친일 협력
          • 천도교의 친일 협력
        • 조선인 강제동원의 구조와 조선인의 협력
          • 병력 동원의 구조와 조선인의 협력
          • 노동력 동원의 구조와 조선인의 협력
          • ‘위안부’ 동원의 구조와 조선인의 협력
        • 주요 친일단체 개관
    • 3-4부
      • 일제의 학술·문화 정책과 친일 협력
        • 조선총독부의 학술·문화 정책과 친일 협력
          • 구관·제도조사와 ‘역사’ 편찬
          • 고적조사사업과 박물관 정책
          • 일제의 침략·지배 논리의 전개와 조선 지식인
        • 문학·예술계의 친일 협력
          • 문학계의 친일 협력
          • 영화계의 친일 협력
          • 연극계의 친일 협력
          • 음악계의 친일 협력
          • 미술계의 친일 협력
      • 해외 조선인 사회와 친일 협력
        • 중국 지역 조선인 사회 통제와 친일 협력
          • 만주 지역 조선인 사회와 친일 협력
          • 만주 지역 주요 조선인 친일단체
          • 상해·천진 지역 조선인 사회와 친일 협력
        • 재일 조선인 사회와 친일 협력
          • 일제의 재일 조선인 통제 정책과 주요 친일단체
          • 재일 조선인 유력자의 정치 참여 활동
        • 러시아 연해주 조선인 사회와 주요 친일단체
  • 4부: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의 주요 경력(1904년 러일 전쟁 개전 이전, 1904년 러일 전쟁 개전 ~ 1945년 8월 15일 광복), 친일반민족행위 개요, 친일반민족행위 조사 내용,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대한 위원회의 판단)

보유편[편집]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보유편》(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 報告書 補遺編)은 2017년 12월에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산하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에 의해 발간되었다.

  • 김성수(金性洙)에 관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관한 판결문
  • 방응모(方應謨)에 관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에 관한 판결문
  • 홍영후(洪永厚, 홍난파(洪蘭坡))에 관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유서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