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호밀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밀빵
다른 이름흑빵
종류
주 재료호밀 가루
보통 사용되는 재료밀가루
Bread, rye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259 kcal (1,080 kJ)
48.30 g
당분3.85
식이 섬유5.8 g
3.30 g
8.50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7 IU
티아민 (B1)
38%
0.434 mg
리보플라빈 (B2)
28%
0.335 mg
나이아신 (B3)
25%
3.805 mg
비타민 B6
6%
0.075 mg
비타민 C
0%
0.4 mg
비타민 D
0%
0 IU
비타민 E
2%
0.33 mg
비타민 K
1%
1.2 μg
무기질함량 %DV
칼슘
7%
73 mg
철분
22%
2.83 mg
마그네슘
11%
40 mg
18%
125 mg
칼륨
4%
166 mg
나트륨
40%
603 mg
아연
12%
1.14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37.30 g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호밀빵 또는 흑빵호밀로 반죽한 이다. 러시아나 핀란드나 독일에서 먹는다. 호밀에는 글루테닌이 부족하여 글루텐이 잘 형성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을 섞기도 한다.[1]

사용된 밀가루의 종류와 착색제의 첨가 여부에 따라 색상이 밝거나 어두울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밀가루로 만든 빵보다 밀도가 더 높다. 흰빵에 비해 섬유질 함량이 높고, 색이 진하며, 풍미가 강한다. 세계 최대의 호밀빵 수출국은 폴란드이다.

호밀빵은 중세 시대까지 주식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종류의 호밀 곡물이 아이슬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러시아, 유럽 등 중북부, 서부 및 동부 유럽 국가에서 생산되었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체코 등지에서 생산되며, 스위스 발레 주에서도 특산품이다. 서기 500년경, 게르만족인 색슨족이 브리튼에 정착하여 온대 기후에 잘 맞는 호밀을 들여왔다.

종류[편집]

건강상 이점[편집]

호밀빵에는 다량의 섬유질, 다양한 생리 활성 화합물 및 소량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다. 호밀빵은 흰빵 등 일부 빵에 비해 혈당지수가 낮아 식후 흰빵에 비해 혈당 상승 속도가 더디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온라인 뉴스팀 (2011년 9월 14일). “변비해결에 만점, 호밀빵 만들기”. 《TV REPORT》. 2013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