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4줄 바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4줄 바둑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화민국 출신의 프로 바둑기사 장쉬 9단이 그의 아내 고바야시 이즈미와 함께 고안한 초소형 바둑이다. 딸의 4번째 생일에 4줄 바둑판을 만들어 묘수풀이 문제를 낸 것에서 비롯되었다. 묘수풀이 문제를 만들고 푸는 용도로 이용되는데, 그 특성상 일반적인 19줄 바둑판에서는 볼 수 없는 변화들이 있다.

보기[편집]

4줄 바둑판에서 오궁도화 모양이 난 예이다. 언뜻 보면 이것은 백의 죽음으로 보이나, 실제로 두어 보면 그렇지 않다.

일단은 위 그림처럼 계속된 먹여치기로 백이 완전히 잡혔다. 그러나 백이 다 잡힌 뒤에 선수를 잡으므로,

백 30까지 흉내바둑으로 진행되어, 백 34까지 두면 결국은 이와 같이 이 된다.

아래는 또 다른 예제이다.

위 모양은 원래대로라면 귀곡사로 백이 죽어야 하는 모양이지만, 위 그림에서의 백은 살아있다.

이런 경우는 당연히 백의 죽음이다. 하지만,

4줄 바둑의 특성상 백이 위와 같이 응수하면 두 집을 내고 완벽하게 사는 모양이 된다.

이 역시 완전한 빅이다. 전체가 양자충에 걸린 모양으로, 둘 다 남아있는 4개의 착점 중 어느 쪽도 돌을 놓을 수 없다.

위 그림처럼 바로 앞 기보의 Δ표시된 돌을 전부 빼놓아도 빅이다. 흑이 유가무가를 노리고 a에 두더라도 백이 b로 단수치면 흑은 살지 못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제[편집]

실제 4줄 바둑 묘수풀이 문제이다. 흑선일 때 흑이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흑이 이길 수도 있고 질 수도 있다.

흑 1로 젖히는 것이 정해. 백 2로 막아도 흑 3으로 먹여치기해서 환격으로 백돌 5점을 따내면 흑이 완생하고 백은 완전히 죽게 된다.

흑 1로 무리하게 끊으려 들면 실패. 백 2로 두는 즉시 왼쪽의 흑돌 3점이 단수에 몰리고 흑 3으로 오른쪽의 백돌 2점을 단수쳐도 백 4로 왼쪽의 흑돌 3점을 잡는다. 흑 5로 오른쪽의 백돌 2점을 잡더라도, 바로 다음에 백이 흑 Δ로 표시된 자리에 두면 백의 삶과 동시에 흑의 죽음이 된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