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혹은 국가계약법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계약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이다[1]. 전문개정은 2012.12.18.에 되었으며 적용 범위는 국제입찰에 따른 정부조달계약과 국가가 대한민국 국민을 계약상대자로 하여 체결하는 계약[세입(歲入)의 원인이 되는 계약을 포함한다] 등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대하여 적용한다[2].

판례[편집]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및 동법시행령상의 낙찰자 결정기준에 관한 규정은 국가의 내부규정에 그치며 동법령에 의해 행정청이 행한 낙찰자결정은 입찰과 낙찰행위가 있은 후에 더 나아가 본 계약을 따로 체결한다는 취지로서 계약의 편무예약에 해당한다[3]

각주[편집]

  1. 본 법 제1조
  2. 본 법 제2조
  3. 2005다41603

참고 문헌[편집]

  • 법제처 법률해설
  • 건설경제 편집부, 국가계약법령집 2010, 전2권, 건설경제, 2010. ISBN 97889776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