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기장 수출용 신형 연구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장 수출용 신형 연구로부산 기장군에 건설중인 신형 연구용 원자로이다.

역사[편집]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2500억원을 들여 20MWt 규모의 연구용 원자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1] 기장로는 하부구동 제어장치, 판형 핵연료 등 세계 최초로 적용되는 최신기술을 적용한 20MW급 연구용원자로이다.[2]

2010년 7월 12일, 부산시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는 수출형 연구용(제4세대형) 원자로 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기장군 13만2000m2 규모의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신청서를 제출했다.[3]

완공 시기를 2017년에서 1년 늦췄던 수출용 신형연구로 사업 완공이 2019년으로 또다시 1년 더 늦어지게 됐다. 2017년 4월 이후 착공이 가능하고, 적정 공사 기간 28개월이 지난 2019년 6월 이후에나 전력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4]

출력[편집]

열출력 15MWt이다.

판형 핵연료[편집]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용 원자로는 통상 우라늄-235(U-235)가 5% 이하로 농축된 연료를 사용하는 데 비해, HANARO 같은 경우 19% 이상인 농축 우라늄을 사용하고 있다. 기장 수출용 신형 연구로는 세계최초로 우라늄 몰리브덴 판형 핵연료를 사용할 계획이다. 판형 핵연료는 농축도가 20%인 저농축 연료지만 우라늄 밀도가 높고 출력이 높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5]

한편, 한국은 농축도 20% 저농축 우라늄(LEU)를 사용하는 열출력 65MWt SMART-P 소형 경수로를 탑재한, 수중 배수량 3700톤급 KSS-III 핵추진 잠수함을 개발하려고 한다.[6] 기장 연구로는 한국 최초의 농축도 20%인 원자로이다. IAEA는 농축도 20% 저농축 우라늄(LEU)에는 특별한 국제규제를 하지 않으며, 고농축 우라늄(HEU)에만 강력한 규제를 한다.

2015년 11월 3일,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 en:Idaho National Laboratory)의 연구용 원자로(ATR)에 한국에서 개발한 우라늄 몰리브덴(U-Mo) 판형 핵연료를 장착하고 검증시험에 들어갔다.[7]

U-Mo 핵연료는 기존의 우라늄-실리콘 핵연료보다 우라늄 밀도가 높아 고농축 우라늄 대신 저농축 우라늄을 쓸 수 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U-Mo 분말은 단위 부피당 우라늄 밀도를 2배 가까이 높여 농축도 20% 이하의 저농축 우라늄으로도 고성능 효과를 낼 수 있다. 연구용 원자로의 핵연료 교체주기를 현재의 200일에서 300일로 50%가량 늘릴 수 있다. 2017년 말까지 미국에서 성능시험을 끝낼 계획이다.[8]

2013년 10월부터 2017년 6월까지 3년 9개월 간 한미 공동연구를 수행하며 연구비 280만 달러(약 31억4000만원) 전액은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NL)가 부담한다.[9]

2009년 현재 한국은 판형 핵연료를 프랑스에서 수입했다. 선진국 수준의 판형핵연료 제조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7-8년의 기간이 필요한데, 단기간만에 국산화에 성공했다.[10]

미국에서 성능검증이 완료되면, 국산 판형 핵연료를 국산 원자로와 함께 수출할 수 있게 된다. 핵잠수함 수출이 가능해진다. 2009년 한국이 수주한 요르단 JRTR 연구용 원자로는 판형 핵연료를 사용하는데, 한국은 프랑스산 판형 핵연료를 사용했으나, 앞으로는 국산 판형 핵연료를 수출할 수 있게 되었다.

각주[편집]

  1. 부산시, 기장군에 원자력 특화지역 위해 연구용원자로 유치전 나서, 헤럴드POP, 2010.07.12
  2. 대우건설, 업계최초 수출형 신형연구로 종합설계용역 수주, 스포츠조선, 2013.05.16
  3. 부산 "원자로 부지 13만2000m2 무상 제공", 파이낸셜뉴스, 2010-07-12
  4. 기장 신형연구로 완공 또 지연, 국제신문, 2016-05-02
  5. 국산 연구용 핵연료 상용화 '눈앞', 한국경제, 2015-11-03
  6. [이일우의 밀리터리 talk] 잠수함 ‘장보고 III’, 유령이 될 수 있을까?, 서울신문, 2014-11-28
  7. 국산 연구용 핵연료 상용화 '눈앞', 한국경제, 2015-11-03
  8. 토종 `판형 핵연료` 미국서 성능 검증시험, 디지털타임스, 2015-11-03
  9. 국내 핵연료 성능검증시험 기술, 30억여원에 美로 수출 성공, 아시아경제, 2013-10-09
  10. 원자력연 박종만 박사, 미국서 강연, 전기신문, 2015년 6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