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물고기자리 베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쪽물고기자리 베타
명칭
다른 이름 β PsA, 17 Piscis Austrini, CPD−32° 6506, FK5 1592, HD 213398, HIP 111188, HR 8576, SAO 213883, WDS J22315-3221A[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ICRS))
별자리 남쪽물고기자리
적경(α) 22h 31m 30.33038s[2]
적위(δ) −32° 20′ 45.8653″[2]
겉보기등급(m) +4.29[3] (4.29 + 6.22)[4]
절대등급(M) 1.00[5]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22.84 ± 0.21 밀리초각[2]
성질
광도 27 L[5]
나이 339[5]
분광형 A1 V[6] + A2 V[7][8]
추가 사항
질량 2.33±0.07 M[5]
반지름 2.10[9]
표면온도 9,638 K[9]
표면 중력 (log g) 4.12±0.03[5]
자전 속도 30[6]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남쪽물고기자리 베타남쪽물고기자리에 있는 쌍성계다. 겉보기 등급은 +4.29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지구에서 바라본 연주시차가 22.84밀리각초이므로[2]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143광년이다.

Oblak (1978)은 이것을 삼중성계로 식별했지만[4] 후속 출처에서는 쌍성계로 나열했다.[7][8] 주성인 A는 A1V로 분류되는 백색 A형 주계열성이다.[6] 질량은 태양질량의 2.3배,[5]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2.1배로 추정된다.[9] 광구에서 방출하는 빛의 밝기는 태양 광도의 37배로[5] 유효온도는 9,638 켈빈이다.[9] 겉보기 등급 7.8의 동반성 B는 A2V형의 주계열성이고 주성으로부터 30.3각초 떨어져 있다.

남쪽물고기자리 베타는 초속 14.4km의 속도로 은하계를 통과하고 있다. 이는 우리 태양과 비슷한 수치이다. 이 별의 예상되는 은하 공전 궤도는 은하 중심으로부터 7,328 파섹 (23,901 ly) ~ 8,697 파섹 (28,366 ly) 거리를 오간다.

남쪽물고기자리 델타남쪽물고기자리 제타와 함께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 천강(天綱)을 이룬다.[10]

각주[편집]

  1. “bet PsA -- High proper-motion Star”,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S2CID 18759600. 
  3. Nicolet, B. (1978),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1–49, Bibcode:1978A&AS...34....1N. 
  4. Oblak, E. (December 1978), “uvbybeta photometry of wide visual double stars with B, A and F spectral type - I.”,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34: 453–475, Bibcode:1978A&AS...34..453O. 
  5. Gerbaldi, M.; 외. (June 1999), “Search for reference A0 dwarf stars: Masses and luminosities revisited with HIPPARCOS parallax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37 (2): 273–292, Bibcode:1999A&AS..137..273G, doi:10.1051/aas:1999248. 
  6. Royer, F.; 외. (February 2007), “Rotational velocities of A-type stars. III. Velocity distribution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3 (2): 671–682, arXiv:astro-ph/0610785, Bibcode:2007A&A...463..671R, doi:10.1051/0004-6361:20065224, S2CID 18475298. 
  7.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S2CID 14878976. 
  8. Rodriguez, David R.; 외. (May 2015), “Stellar multiplicity and debris discs: an unbiased sampl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49 (3): 3160–3170, arXiv:1503.01320, Bibcode:2015MNRAS.449.3160R, doi:10.1093/mnras/stv483, S2CID 119237891. 
  9. Patel, Rahul I.; 외. (May 2014), “A Sensitive Identification of Warm Debris Disk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rough Precise Calibration of Saturated WISE Photometry”,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212 (1): 23, arXiv:1403.3435, Bibcode:2014ApJS..212...10P, doi:10.1088/0067-0049/212/1/10, S2CID 119219094, 10. 
  10. Allen, Richard Hinckley (1963),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Piscis Australis, the Southern Fish》, 2017년 5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