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아마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포아마이드
Skeletal formula
Space-filling model
이름
IUPAC 이름
5-(1,2-dithiolan-3-yl)pentanam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Spider
MeSH lipoamide
UNII
  • InChI=1S/C8H15NOS2/c9-8(10)4-2-1-3-7-5-6-11-12-7/h7H,1-6H2,(H2,9,10)/t7-/m1/s1 예
    Key: FCCDDURTIIUXBY-SSDOTTSWSA-N 예
  • InChI=1/C8H15NOS2/c9-8(10)4-2-1-3-7-5-6-11-12-7/h7H,1-6H2,(H2,9,10)/t7-/m1/s1
    Key: FCCDDURTIIUXBY-SSDOTTSWBG
  • O=C(N)CCCC[C@H]1SSCC1
성질
C8H15NOS2
몰 질량 205.343 g/mol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리포아마이드(영어: lipoamide)는 6,8-다이싸이오옥탄산 아마이드의 관용명이다. 리포아마이드는 리포산의 기능적 형태로, 카복실기아마이드 결합이 있는 아민을 통해 단백질에 부착된다.[1] 리포아마이드의 생화학적 역할에 대한 예로는 피루브산을 아세틸 리포아마이드로 전환하는 것이 있다.[2]

피루브산 탈수소효소에 대한 순반응

리포아마이드 자체는 자연적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etabocard for Lipoamide”. 《Human Metabolome Database》. 
  2. J. M. Berg; J. L. Tymoczko, L. Stryer (2007). 《Biochemistry》 6판. Freeman. ISBN 978-0-7167-8724-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