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의 수상작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수상작 목록이다.

뉴 커런츠상[편집]

뉴 커런츠상(New Currents Award)은 아시아영화 경쟁부문인 뉴 커런츠 부문에서 상영된 장편 영화 중에서 2편을 선정하여 각각 3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상이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서 수상작을 선정하며 아시아의 재능 있는 신인 감독을 발굴하고 격려하는 취지이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6 무산의 비구름 In Expectation 장밍 ZHANG Ming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1997 모텔 선인장 Motel Cactus 박기용 PARK Ki-Y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8 소무 Xiao Wu 자장커 JIA Zhangke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1999 영원한 멜로디 오쿠하라 히로시 Okuhara HIROSHI 일본의 기 일본
2000 내가 여자가 된 날 The Day I Become a Woman 마르지예 메시키니 Marziyeh MESHKINI 이란의 기 이란
2001 꽃섬 Flower Island 송일곤 SONG Il-g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질투는 나의 힘 Jealousy Is My Middle Name 박찬옥 PARK Chan-o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의례... 열정 The Rite... A Passion 카날라 사스트리 Kanala N.T. SASTRY 인도의 기 인도
2003 불견 The Missing 리캉성 LEE Kang-sheng 대만의 기 대만
광산에 내리는 진눈개비 Tiny Snowflakes 알리레자 아미니 Alireza AMINI 이란의 기 이란
2004 여자, 정혜 This Charming Girl 이윤기 LEE Yun-ki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안식처 Sanctuary 호 유항 HO Yuhang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2005 망종 Grain in Ear 장루 ZHANG Lu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특별언급] 성스러운 돌 The Silent Holy Stone 완마 차이단 Caidan Wanma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06 빈랑 Betelut 양헝 Heng YANG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사랑은 이긴다 Love Conquers All 탄취무이 Chui Mui TAN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2007 원더풀 타운 Wonderful Town 아딧야 아사랏 Aditya ASSARAT 태국의 기 태국
궤도 Life Track 김광호 Guang Hao JIN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주머니속의 꽃 Flower in the Pocket 리우성탓Seng Tat LIEW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2008 허수아비들의 땅 Land of Scarecrows 노경태 ROH Gyeong-ta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무방비 Naked of Defenses 이치이 마사히데 Masahide ICHII 일본의 기 일본
2009 킥 오프 Kick Off 샤우캇 아민 코르키Shawkat Amin KORKI 이라크의 기 이라크
나는 곤경에 처했다I'm in Trouble! 소상민SO Sang-m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마닐라의 청춘, 빛과 그림자 Squalor GB 삼페드로 Giuseppe Bede SAMPEDRO 필리핀의 기 필리핀
2010 무산일기 The Journals of Musan 박정범 PAKR Jung-Bu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파수꾼 Bleak Night 윤성현 YOON Sung-Hyu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소리없는 여행 Mourning 모르테자 파르샤바프 Morteza FARSHBAF 이란의 기 이란
니뇨 Nino 로이 아르세나스 Loy ARCENAS 필리핀의 기 필리핀
2012 36 36 나와폰 탐롱라타나릿 Nawapol THAMRONGRATTANARIT 태국의 기 태국
카얀 Kayan 마리암 나자피 Maryam NAJAFI 레바논의 기 레바논
캐나다의 기 캐나다
[특별언급] 시네마 FILMISTAAN 니틴 카카르 Nitin KAKKAR 인도의 기 인도
2013 파스카 Pascha 안선경 Seonkyoung AH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리모트 콘트롤 Remote Control 비암바 사키아 Byamba SAKHYA 몽골의 기 몽골
독일의 기 독일
[특별언급] 경유 Transit 한나 에스피아 Hannah ESPIA 필리핀의 기 필리핀
2014 철원기행 End of Winter 김대환 Daehwan KI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13 13 호우만 세예디 Hooman SEYEDI 이란의 기 이란
2015 아야즈의 통곡 Immortal 하디 모하게흐 Hadi MOHAGHEGH 이란의 기 이란
호두나무 Walnut Tree 예를란 누르무캄베토프 Yerlan NURMUKHAMBETOV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2016 아버지의 마지막 선택 The Donor 장치우 ZANG Qiwu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깨끗한 물속의 칼 Knife in the Clear Water 왕수에보 WANG Xuebo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17 죄 많은 소녀After My Death 김의석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폐색Blockage 모흐센 가라에이 이란의 기 이란
2018 폭설Savage 추이시웨이 중국의 기 중국
호흡Clean up 권만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9 《롬》 Rom 짠 탱 휘 TRAN THANH Huy 베트남의 기 베트남
《하이파 거리》 Haifa Street 모하나드 하이얄 Mohanad HAYAL 이라크의 기 이라크

선재상[편집]

제15회 부산국제영화제 마스터클래스, 카를로스 사우라

선재상(Sonje Award)은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단편 중 최우수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차기작을 제작할 수 있도록 각 1천만 원 의 상금을 수여한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6 기차의 도착 Arrival of the Train 안드레이 젤레즈니아코프 Andrej Sheleznjakov 러시아의 기 러시아
1997 티벳의 소금장수 The Saltman of Tibet 올리케 코흐 Ulrike Koch 스위스의 기 스위스
1998 눈물 Lachrymal 임창재 Lim Chang-ja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느린 여름 Heavy 박찬옥 Park Chan-o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9 1979년 10월 28일 일요일 맑음 28th October 1979, A Sunny Sunday 권종관 Kwon Jong- kwa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0 바르도 Bardo 윤영호 Yoon Young-h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1 샴, 하드로맨스 Siam Hard Romance 김정구 KIM Jeong-g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호흡법, 제2장 Chapter Two: How to Breathe 이형석 Lee Hyung-su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3 춘희 The Spring and the Delight 박정선 Park Jung-se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제3언어 The Third Tongue 손광주 Son Kwang-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4 단속평형 Punk Eek 손광주 Son Kwang-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금붕어 Gold Fish 박신우 Park Shin-wo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5 처용의 다도 Tea & Poison 정용주 Joung Yong-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뜨거운 차 한 잔 A Bowl of Tea 김영남 KIM Young-na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6 졸업 영화 Portfolio 윤성호 Yoon Seongh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바람이 분다 The Wind Stirs 이진우 Lee Jin-Wo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메리 크리스마스 Merry Christmas 최영준 Young-jun CHOI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7 웅이 이야기 Woong's Story 이하송 Lee Ha S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영향 아래 있는 남자 A Man under the Influenza 정주리 Jung July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8 꼬마 안동 Andong 롬멜 톨렌티노 Rommel Tolentini Milo 필리핀의 기 필리핀
아들의 여자 Girl 홍성훈 Hong Sungho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9 닿을 수 없는 곳 Somewhere Unreached 김재원 Kim Jae-w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월척 Rare Fish 바실 미로네 Basil Vassili Mironer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미국의 기 미국
2010 부서진 밤 Broken Night 양효주 Yang Hyo-Jo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숨 들이쉬기 Inhalation 에드문드 여 Edmund Yeo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일본의 기 일본
[특별언급] 수선화(火) Unfunny Game 박종철 PARK Jong-chu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여행 The Journey 임경동 YIM Kyung-d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애드벌룬 See You Tomorrow 이우정 Lee Wooju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그를 기다리는 카페 Thug Beram 뱅캇 아무단 Venkat Amudhan 인도의 기 인도
[특별언급] 천국도청 Bugging Heaven; Listen to Her 오현주 O Hyun-ju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스스로 해보세요 DIY Encouragement 요시노 코헤이 Kohei YOSHINO 일본의 기 일본
2012 목격자의 밤 The Night of The Witness 박범 Park Bue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금만 더 멀리 A Little Farther 니칸 네자미 Nikan Nezami 이란의 기 이란
2013 홀인원을 본 적 없는 캐디 A Lady Caddy Who Never Saw a Hole in One 요셉 앙기 노엔 Yosep Anggi Noen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여름방학 In the Summer 손태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콩나물 Sprout 윤가은 YOON Ga-eu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하룻동안 Temporary 베흐자드 아자디 Behzad AZADI 이란의 기 이란
2014 사십세개의 계단 Stairway 오중천 Wu Chungtien 대만의 기 대만
그날 밤 The Night 최기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가정부 니아 Nia's Door 라우 켁 홧 LAU Kek Huat 대만의 기 대만
치욕일기 Shame Diary 이은정 LEE Eunje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오프-시즌 Off-season 예르잣 에스켄디르 Yelzat ESKENDIR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아는 사람 Viewer 김소윤 KIM Soyou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비프메세나상[편집]

비프메세나상(BIFF Mecenat Award)은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차기작을 제작할 수 있도록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첫회부터 2007년까지는 운파상(Woonpa Award), 2008년에서 2010년까지는 피프메세나상(PIFF Mecenat Award)으로 불렸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6 내 안에 부는 바람 Echoing In My Being 전수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7 명성, 그 6일간의 기록 The Six Day Fight in Myong Dong Cathedral 김동원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8 본명선언 Reclaiming Our Names 홍형숙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9 숨결 My Own Breathing 변영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민들레 Mindullae 최하동하
이경순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0 하늘색 고향 Sky-Blue Hometown 김소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1 작별 Farewell 황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철로 위의 사람들 Workers In Railroad - Episode 1 이지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영매 - 산자와 죽은자의 화해 Mudang : Reconcili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박기복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3 그리고 그 후 And Thereafter 이호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4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What Do People Live For? 이정순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5 꼬레엥 2495 Coreen 2495 하준수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안녕, 사요나라 Annyoung Sayonara 김태일
카토 쿠미코 Kato Kumik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6 우리 학교 Our School 김명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강을 건너는 사람들 People Crossing the River 김덕철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7 할매꽃 Grandmother's flower 문정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8 멘탈 Mental 소다 카즈히로 Kazuhiro Soda 일본의 기 일본
워낭소리 Old Partner 이충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9 땅의 여자 Earth's Woman 권우정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또 다른 노래 The Other Song 사바 데완 Saba Dewan 인도의 기 인도
2010 종로의 기적 Miracle on Jongno Street 이혁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새로 지은 성 New Castle 궈흥치 Guo Hengqi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11 나비와 바다 Sea of Butterfly 박배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쇼지와 타카오 Shoji & Takao 이데 요코 IDE Yoko 일본의 기 일본
2012 불안 Anxiety 민환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기억의 잔상 Embers 타마라 스테파니안 Tamara Stepanyan 레바논의 기 레바논
카타르의 기 카타르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
[특별언급] 웰랑 뜨레이 Wellang Trei 김태일 Tae-il KI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3 거리에서 Jalanan ("Streetside") 다니엘 지브 Daniel ZIV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논픽션 다이어리 Non-fiction Diary 정윤석 Yoonsuk JU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특별언급] 구럼비 - 바람이 분다 Gureombi - The Wind Is Blowing 조성봉 CHO Sung-b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스톰 메이커 The Storm Makers 기욤 수온 Guillaume SUON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붕괴 Collapse 문정현
이원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소년, 달리다 Boys Run 강석필 KANG Seokpi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마주 보다 Look Love 예윈 YE Yun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특별언급] 그럼에도 불구하고 Still and All 김영조 KIM Youngj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옆집 Neighborhood 성승택 SUNG Seungtae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폭동의 시절 The Crescent Rising 셰론 다욕 Sheron DAYOC 필리핀의 기 필리핀

BNK부산은행상[편집]

제14회 부산국제영화제 오픈토크 - 감독들의 만남: 김지운과 브라이언싱어

BNK부산은행상(Busan Bank Award)은 2009년에 신설한 상으로 플래시 포워드 부문에서 상영된 영화 중 최우수작을 선정하여 부산은행이 2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1] 2만 달러 중 1만 달러는 감독에게 수여하고 1만 달러는 국내 배급을 지원한다. 비아시아권에서 새로운 영화인을 발굴하여 격려하는 취지이다. 2012년까지는 플래시 포워드상(Flash Forward Award)으로 불렸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09 루퍼트와 에버트 LAST COWBOY STANDING 자이다 베르그로트 Zaida BERGROTH 핀란드의 기 핀란드
독일의 기 독일
[특별언급] 미스 키키 Miss Kicki 호콘 리우 Håkon LIU 스웨덴의 기 스웨덴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2010 순수소녀 Pure 리자 랑세트 Lisa LANGSETH 스웨덴의 기 스웨덴
[특별언급] 시행착오 Erratum 마렉 레츠키 Marek LECHKI 폴란드의 기 폴란드
2011 그곳 LA-BAS - A Criminal Education 귀도 롬바르디 Guido LOMBARDI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012 꽃봉오리 Flower Buds 즈데넥 이라스키 Zdeněk JIRÁSKÝ 체코의 기 체코
2013 Home 막시밀리언 훌트 Maximilian HULT 스웨덴의 기 스웨덴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
2014 사장님 El patron 세바스티안 쉰델 Sebastian SCHINDEL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2015 헬라스로 통하는 고속도로 Highway to Hellas 아론 레만 Aron LEHMANN 독일의 기 독일
2016 천 시간의 밤 Night of a 1000 Hours 비르질 비드리히 Virgil WIDRICH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KNN관객상[편집]

KNN관객상(KNN Award)은 KNN문화재단이 뉴 커런츠 부문에서 상영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2005년까지는 PSB관객상(PSB Award)으로 불렸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8 4월 이야기 April Story 이와이 슌지 Iwai Shunji 일본의 기 일본
1999 쌍생아 Gemini 츠카모토 신야 Shinya Tsukamoto 일본의 기 일본
2000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Die Bad 류승완 Ryoo Seung-wa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1 꽃섬 Flower Island 송일곤 Song Il-g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죽어도 좋아! Too Young to Die 박진표 Park Jin-py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3 선택 The Road Taken 홍기선 Hong Ki-su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천상의 소녀 Osama 세디그 바르막 Sedigh Barmak 아프가니스탄의 기 아프가니스탄
이란의 기 이란
2004 서바이브 스타일 5+ Survive Style 5+ 세키구치 겐 Sekiguchi Gen 일본의 기 일본
2005 용서받지 못한 자 The Unforgiven 윤종빈 Yoon Jong-b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6 하얀 아오자이 The White Silk Dress 후인 루 Huynh Luu 베트남의 기 베트남
2007 주머니 속의 꽃 Flower in the Pocket 리우 셍 탙 Liew Seng Tat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2008 100 100 크리스 마르티네즈 Chris Martinez 필리핀의 기 필리핀
2009 안녕 할아버지 Lan 장웬리 Jiang Wenli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10 맹인영화관 My Spectacular Theatre 루 양 LU Yang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11 인디안 서커스 Dekh Indian Circus 망게쉬 하다왈레 Mangesh Hadawale 인도의 기 인도
2012 빛의 손길 Touch of the Light 장영치 Chang Jung-Chi 대만의 기 대만
2013 10분 10 Minutes 이용승 Yong-seung L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가디 Ghadi 아민 도라 Amin DORA 레바논의 기 레바논
2015 라디오 Radio Set 하리 비스와나스 Hari VISWANATH 인도의 기 인도
2016 환절기 In Between Seasons 이동은 LEE Dong-eu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피프레시상[편집]

피프레시상(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la Presse Cinématographique Award, 약칭 FIPRESCI Award)은 뉴 커런츠 부문 작품 가운데 뛰어난 작품성과 진취적인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작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7 메이드 인 홍콩 Made in Hong Kong 프룻 첸 Fruit Chan 홍콩의 기 홍콩(중국)
1998 자살 관광버스 Suicide Bus 시미즈 히로시 Hiroshi Shimizu 일본의 기 일본
1999 The Cup 키엔체 노르부 Khyentse Norbu 부탄의 기 부탄
2000 해바라기(일본어판) Sunflower 유키사다 이사오 Yukisada Isao 일본의 기 일본
2001 꽃섬 Flower Island 송일곤 SONG Il-go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봄날은 간다 One Fine Spring Day 허진호 Hur Jin-h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죽어도 좋아! Too Young to Die 박진표 Park Jin-py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3 긴 한숨 Deep Breath 파르비즈 샤흐바지 Parviz Shahbazi 이란의 기 이란
2004 비누극 Soap Opera 우얼샨 Wu Er-shan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05 용서받지 못한 자 The Unforgiven 윤종빈 Yoon Jong-b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6 사랑은 이긴다 Love Conquers All 탄취무이 Chui Mui TAN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2007 빨간 콤바인 The Red Awn 차이상준 Shangjun Cai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08 잘라이누르 Jalainur 자오예 Ye Zhao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09 킥 오프 Kick Off 샤우캇 아민 코르키 Shawkat Amin Korki 이라크의 기 이라크
이란의 기 이란
일본의 기 일본
2010 무산일기 The Journals of Musan 박정범 Park Jeong-beom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소리없는 여행 Mourning 모르테자 파르샤바프 Morteza Farshbaf 이란의 기 이란
2012 36 36 나와폰 탐롱라타나릿 Nawapol Thamrongrattanarit 태국의 기 태국
2013 10분 10 Minutes 이용승 Yong-seung L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당신의 세상은 지금 몇 시? What's the Time in Your World? 사피 야즈다니안 Safi YAZDANIAN 이란의 기 이란
2015 아야즈의 통곡 Immortal 하디 모하게흐 Hadi MOHAGHEGH 이란의 기 이란
2016 하얀 개미 White Ant 추시엔체 CHU Hsien-Che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넷팩상[편집]

넷팩상(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The Network for the Promotion of Asian Cinema Award, 약칭 NETPAC Award)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에 출품된 한국영화 가운데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1996 세 친구 Three Friends 임순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7 나쁜 영화 Bad Movie 장선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8 강원도의 힘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홍상수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999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 The Bird Who Stops in the Air 전수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0 춘향뎐 Chunhyang 임권택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1 고양이를 부탁해 Take Care of My Cat 정재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2 로드 무비 Road Movie 김인식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3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Untold Scandal 이재용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4 빈 집 3-Iron 김기덕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5 용서받지 못한 자 The Unforgiven 윤종빈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6 마지막 밥상 The Last Dining Table 노경태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7 처음 만난 사람들 Hello Stranger 김동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검은 땅의 소녀와 With a Girl of Black Soil 전수일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8 장례식의 멤버 Members of the Funeral 백승빈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민둥산 Treeless Mountain 김소영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9 파주 Paju 박찬옥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0 두만강 Dooman River 장률 Zhang Lu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2011 돼지의 왕 King of Pigs 연상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2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Jiseul 오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3 셔틀콕 Shuttlecock 이유빈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소셜포비아 Socialphobia 홍석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소통과 거짓말 Communication & Lies 이승원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모 Merry Christmas Mr. Mo 임대형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부산시네필상[편집]

부산시네필상(Busan Cinephile Award)은 2011년에 신설된 상으로 대학생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와이드 앵글 다큐멘터리 쇼케이스에 소개된 월드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심사한 후 최우수 작품에 시상하는 상으로 5백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부산 지역 6개 영화 관련 학과 대학생 60여 명이 심사위원단으로 참여한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11 쌍생아 The Twin 구스타프 다니엘손 Gustav DANIELSSON 스웨덴의 기 스웨덴
2012 다섯 대의 부서진 카메라 5 Broken Cameras 기 다비디 Guy DAVIDI
에마드 부르낫 Emad BURNAT
팔레스타인의 기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프랑스의 기 프랑스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2013 아버지의 정원 Father's Garden - The Love of My Parents 피터 리슈티 Peter LIECHTI 스위스의 기 스위스
2014 침묵의 시선 The Look of Silence 조슈아 오펜하이머 Joshua Oppenheimer 덴마크의 기 덴마크
2015 경계의 저편 The Other Side 로베르토 미네르비니 Roberto MINERVINI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6 나비의 눈물 The Apology 티파니 슝 Tiffany HSIUNG 캐나다의 기 캐나다

대명컬처웨이브상[편집]

대명컬처웨이브상(Daemyung Culture Wave Award)은 대명홀딩스와 한국독립영화의 배급 기회 확대를 목적으로 2014년에 신설된 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과 뉴 커런츠 섹션의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작품에게는 2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하고 대명이 직접 배급한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14 거짓말 The Liar 김동명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초인 Overman 서은영 SEO Eunyou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용순 Yongsoon 신준 Joon SH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시민평론가상[편집]

시민평론가상(Citizen Critics' Award)은 2011년에 신설된 상으로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가 배출한 시민평론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차기작을 제작할 수 있도록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11 물고기 A Fish 박홍민 PARK Hong-m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로맨스 조 Romance Joe 이광국 LEE Kwang-ku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밍크코트 Jesus Hospital 신아가 이상철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2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Jiseul 오멸 O Mue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3 한공주 Han Gong-ju 이수진 Su-jin L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셔틀콕 Shuttlecock 이유빈 Yubin L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거인 Set Me Free 김태용 Kim Tae-Yo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혼자 ALONE 박홍민 PARK Hong-m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누에치던 방 Jamsil 이완민 LEE Wanm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CGV 아트하우스상[편집]

CGV 아트하우스상(CGV Arthouse Award)은 CJ CGV 아트하우스와의 협력 하에 2011년에 신설된 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한국영화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준 독립영화, 인디, 신인, 저예산영화의 실질적인 배급과 상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취지다. 배급사에게 현금 1천만원과, CGV 아트하우스 극장 홍보마케팅을 현물지원한다. 브랜드 이름의 개정에 따라[2] 2015년에 기존 CGV 무비꼴라주상에서 CGV 아트하우스상으로 바뀌었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11 돼지의 왕 King of Pigs 연상호 Yeun Sang-h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2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Jiseul 오멸 O Mue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3 한공주 Han Gong-ju 이수진 Su-jin L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4 꿈보다 해몽 A Matter of Interpretation 이광국 LEE Kwang-kuk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눈꺼풀 Eyelids 오멸 O Mue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꿈의 제인 Jane 조현훈 Hyunhoon CHO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편집]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The Asian Filmmaker of the Year)은 한 해 동안 아시아영화 산업과 문화발전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아시아영화인에게 수여된다.

연도 수상자 직업 국가
2003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 제작자 이란의 기 이란
2004 허우샤오셴 영화감독 대만의 기 대만
2005 NHK 방송국 일본의 기 일본
2006 유덕화 배우 홍콩의 기 홍콩(중국)
2007 에드워드 양 감독 대만의 기 대만
2008 굴나라 사르세노바 제작자, 유라시아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2009 야쉬 초프라 제작자, 감독 인도의 기 인도
2010 차이밍량 감독 대만의 기 대만
2011 쉬커 감독 홍콩의 기 홍콩(중국)
2012 와카마츠 코지 감독 일본의 기 일본
2013 리티 판 감독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2014 허안화 감독 홍콩의 기 홍콩
2015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제작사 일본의 기 일본
2016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이란의 기 이란

한국영화공로상[편집]

한국영화공로상(Korean Cinema Award)은 한국영화에 대한 전 세계적 대중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영화를 국제영화계에 널리 소개하는데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된다.

연도 수상자 직업 국가
1996 아드리아노 아프라 페사로영화제 집행위원장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토니 레인즈 평론가 영국의 기 영국
알랭 잘라두 낭트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울리히 그레고르 베를린영화제 인터내셔널포럼부문 집행위원장 독일의 기 독일
래리 카디쉬 NoMA 프로그래머 미국의 기 미국
임안자 전주국제영화제 부집행위원장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사이먼 필드 로테르담영화제 집행위원장 영국의 기 영국
1997 아루나 바수데프 시네마야편집장 인도의 기 인도
사토 다다오 후쿠오카영화제 집행위원장 일본의 기 일본
1998 질 자콥 칸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모리츠 드 하델론 베를린영화제 집행위원장 독일의 기 독일
1999 세르쥬 로지크 몬트리올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캐나다의 기 캐나다
이영일 영화평론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00 마틴 지로 스위스의 기 스위스
안나 루이자 지로 스위스의 기 스위스
2001 에바 자오랄로바 카를로비 바리 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체코의 기 체코
2002 알랭 파텔 도빌아시아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3 박병양 아시아영화사 대표 일본의 기 일본
이봉우 시네콰논 영화사 대표 일본의 기 일본
2004 야노 카즈유키 야마가타국제다큐멘타리영화제 집행위원장 일본의 기 일본
필립 쉐어 싱가포르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2005 디터 코슬릭 베를린영화제 집행위원장 독일의 기 독일
티에리 프레모 칸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6 마샬 크나벨 프리부르그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스위스의 기 스위스
데라와키 겐 전 일본문화청 문화부장 일본의 기 일본
2007 사브리나 바라체티 우디네 극동영화제 집행위원장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장 프랑수아 로제 프랑스국립영화박물관 수석프로그래머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08 리차드 페냐 뉴욕영화제 집행위원장 미국의 기 미국
2009 리카르도 젤리 피렌체한국영화제 집행위원장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자넷 폴슨 헤레니코 아시아퍼시픽필름닷컴 대표 미국의 기 미국
2010 브뤼노 바르드 도빌아시안영화제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1 율리에타 시셸 전 카를로비 바리 국제영화제 프로그램 디렉터 체코의 기 체코
2012 하야시 카나코 도쿄필름엑스 집행위원장 일본의 기 일본
2013 샤를 테송 칸영화제 비평가주간 집행위원장 프랑스의 기 프랑스
2014 코린 시그리스트-오부시에르 필름포디움 대표 스위스의 기 스위스
2015 빌란트 쉬펙 베를린영화제 파노라마 집행위원장 독일의 기 독일
2016 로랑스 에르즈베르그 포럼 데지마주 대표 프랑스의 기 프랑스

올해의 배우상[편집]

올해의 배우상(Actor & Actress of the Year)은 2014년에 신설됐다. 뉴 커런츠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 출품된 한국영화에서 연기한 최고의 남, 여 배우 1명씩 선정해 폐막식에서 수상한다. 한국 장편독립영화의 새로운 배우들을 주목하기 위한 상이다. 수상자에겐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연도 수상자 작품 국가
2014 최우식 CHOI Woo-shik 거인 Set Me Fre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조수향 CHO Soohyang 들꽃 Wild Flowers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이주원 LEE Ju-Won 혼자 ALON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장선 JANG Sun 소통과 거짓말 Communication & Lies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구교환 Gyohwan GU 꿈의 제인 Jan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이민지 Minji LEE 꿈의 제인 Jan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한국영화감독조합상[편집]

한국영화감독조합상(Directors Guild of Korea Award, 약칭 DGK Award)은 한국영화감독조합이 선정한 심사위원들이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 선정작 가운데 뛰어난 연출력을 선보인 영화 2편을 뽑아 각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2010년~2012년에는 감독상과 남, 여 우수연기상을 시상했고, 2013년에는 시상하지 않았다. 2014년부터는 작품에 대한 시상으로 진행한다. 상금은 메가박스에서 협찬한다.

연도 작품 감독 국가
2014 한여름의 판타지아 A Midsummer's Fantasia 장건재 JANG Kunja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소셜포비아 Socialphobia 홍석재 Hong Seok-jae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5 양치기들 The Boys Who Cried Wolf 김진황 KIM Jin-hwa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눈꺼풀 Eyelids 오멸 O Mue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6 춘천, 춘천 Autumn, Autumn 장우진 JANG Wooj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나의 연기 워크샵 Hyeon’s Quartet 안선경 AHN Seonkyoung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감독상
연도 수상자 작품 국가
2010 민용근 Min YongKeun 혜화, 동 Re-encounter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연상호 Yeun Sang-ho 돼지의 왕 King of Pigs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2 오멸 O Muel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Jiseu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신연식 Shin Yeon-shick 러시안 소설 The Russian Nove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남자배우상
연도 수상자 작품 국가
2010 박혁권 PARK Hyukwon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Read My Lips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하현관 HA Hyun Kwan 미스진은 예쁘다 Beautiful Miss Ji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2 안재홍 Ahn Jae-hong 1999, 면회 Sunshine Boys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심희섭 Sim Hee-seop
김창환 Kim Chang-hwan
  • 여자배우상
연도 수상자 작품 국가
2010 라미란 RHA Mi-ran 댄스 타운 Dance Town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011 황정민 WHANG Jungmin 밍크코트 Jesus Hospital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한송희 HAN Song Hee
2012 장영남 JANG Young-nam 공정사회 Azooma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각주[편집]

  1. 2012년까지는 3만 달러, 2010년까지는 2만 달러
  2. 유선희 (2014년 10월 7일). “무비꼴라쥬의 새 이름은 ‘아트하우스’”. 한겨레신문. 2016년 3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