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Hun99/2007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16년 전 (Hun99님) - 주제: 삭제요청 딱지

유저박스를 만드신다면[편집]

자신이 만든 유저박스를 모아두고 활용 관리할 수 있는 공간(예: 사용자:Hun99/유저박스)을 만들어 두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사용자:IRTC1015/유저박스 * 사용자:Airridi/유저박스와 같은 공간도 참고해 보세요. :) - χε 아이리디 (토론) 2007년 1월 26일 (금) 14:45 (KST)답변

유저박스로 공통의 관심사를 찾아보세요!
유저박스는 사용자 간에 관심 분야와 같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고안된 틀입니다.
유저박스를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가 공통의 관심사 등을 파악하기 쉽게 하여, 사용자 간의 공동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목록 중에서 마음에 드는 유저박스를 골라 사용자 페이지에 붙여 보세요!
  바벨 방언 문자 문법 기타언어 프로그래밍   교육 건강 생활 지역 성향 시간 띠/별자리 출생 병역 직업   정치 정당 국제 신념 과학 종교
  교통 서적 방송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컴퓨터 음식 음료 게임 패션 음악 동물 스포츠 기타흥미   위키백과 언어별 기여 위키프로젝트 유저박스 사용자   유머 계절

제3의 물결 vs 제3물결[편집]

토론:제3물결에 근거 자료를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Alfpooh 2007년 1월 28일 (일) 14:25 (KST)답변

삼황오제[편집]

하하 다른 것도 잘 살펴보세요. Prehistory가 틀에 나타나는것은 중국사 밖에 없어요. 한국사도 한번 보세요. Prehistory가 틀에 보이는지요. 환국과 신시가 거기네 나오나요? 중국애들의 무지막지한 근성때문에 올려진거죠.

말씀드렸듯이, 널리 알려지고 인정된 신화는 보통 포함해서 기술해주는 것이 보통입니다. 널리 알려지지 않거나 널리 인정되지 않는 신화들도 텍스트에서 적당히 이런저런 이야기도 있다고 써줍니다. 다만, 후자는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틀'에는 들어가기 힘들겠죠.--Hun99 2007년 1월 29일 (월) 02:37 (KST)답변
한국사에도 신화를 넣었습니다. 어떻게되나 보죠. 한국사에서는 빼라고 난리나고 중국사에서는 집어넣으라고 난리날걸요. 제말대로 된다면 한국사람들의 냄비근성을 여짐없이 보여주는것이라 하겠죠.

질문[편집]

죄송합니다. 여기서 편집으로 hun99님께 글 드려도 되는 건가요? 저는 가입은 아주 오래 전에 했고 여기를 자주 서핑을 했습니다. 주로 영문판만 구경을 했지요. 한국어판은 제가 위키를 설치하면서 와보고 있습니다. 로그인을 하려니 아이디를 찾을 수가 없더군요. 이런 일이 ... :) 저는 law4u.net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위키미디어를 설치했구요. http://law4u.net/mediawiki 입니다. 그곳도 많은 도움바랍니다. 이 곳의 저작권 규정을 찾아봐야겠군요.--Winnie 2007년 4월 12일 (목) 06:10 (KST)답변

마지막 황제 일리는 있군요.[편집]

님의 의견을 수렴해서 님의 제안대로 바꾸겠습니다. --윤성현 2007년 5월 1일 (화) 00:16 (KST)답변

수능 문서[편집]

안녕하세요. 그렇다면 특정 부분에 대한 지식만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이 지식은 다른 지식에 비해 훨씬 불확실하며, 고쳐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다른 지식에 비해 고쳐져야 할 필요가 훨씬 큽니다" 라는 경고를 어떤 방식으로 할 수 있을까요? 혹은 그런 경고 자체가 위키백과와 어긋나므로 해서는 안 되며, 지식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아예 언급하지 않아야 하는가요?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김용락(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자신이 백과사전을 집필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불명확한 부분은 가급적 기술하지 않는 것이 좋겠고, 기술할 필요성이 있다면 완곡한 표현으로 기술하거나 토론 부분에 확인 여부를 적어주시면 좋겠죠. --Hun99 2007년 5월 14일 (월) 11:18 (KST)답변

어이쿠 수고하십니다.[편집]

환영 틀 붙이시느라 수고하십니다! 열심히 해 주세요! --Vgs16 2007년 5월 16일 (목) 19:54 (KST)답변

컨트롤v만 하면 되는 일인건요 :) 격려 감사드립니다. --Hun99 2007년 5월 16일 (목) 19:56 (KST)답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법학[편집]

함께 놀아요(?)<  천어/토론 2007년 5월 28일 (화) 23:33 (KST)답변

초청감사합니다. 일단 참여토록 하겠습니다만 요새 여러모로 바빠서 기여는 많이 못할 듯 하네요. 나중에 인원이 늘어 알찬 법학 문서가 많아지면 정말 좋겠습니다. --Hun99 2007년 5월 29일 (화) 01:14 (KST)답변

동해 문서 중립성[편집]

안녕하세요 ^^ 문서 편집/되돌리기 반복하다간 정말 중요한 내용을 놓칠 것 같아서, 일단 그 쪽은 자제하려고 합니다. 대신에 여기에서 말씀을 좀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최초에 제가 거론한 중립성 문제는 약간 문제가 있는 이의제기였다고 생각하니 잊어주시면 좋겠습니다. 다만, Summary에 굳이 명칭 관련 분쟁이 언급되어야 하는가 문제는 얘기를 해 보고 싶네요. 동해 명칭 분쟁에 관한 별도의 문서도 있고 동해 문서에도 별도의 제목으로 그 내용이 소개되고 있는데 Summary에 굳이 그 내용을 언급할 필요도 없고, 언급하지 않는 것이 중립성 위반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정말 Summary에 그 내용이 필요하다, 한 줄이라도 언급은 할 필요가 있겠다고 생각하신다면, 시작 주어 부분은 건드릴 필요 없이 그 뒷문장에 “북조선에서는 조선동해 일본에서는 일본해로 부르며 국제적으로는 Sea of Japan이란 이름이 통용되고 있으나 현재 IHO에서 명칭과 관련한 문제가 논의 중에 있다”라고 추가하는 게 낫지 않을가요? 이렇게 추가한다면 그 아래에 별도로 표시된 명칭과 관련된 토픽과 많은 내용이 겹칠 겁니다. 그래서 아래에 그 내용들이 있는 이상 위의 Summary가 별도로 언급하고 넘어갈 필요가 없다고 보는 건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답변 달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Iulius36 2007년 5월 29일 (화) 12:24 (KST)답변

남겨주신 글에서 '만약 ...' 부분 이후로 언급하신 것이 제가 원했던 방향의 편집입니다. --Hun99 2007년 5월 29일 (화) 12:27 (KST)답변
그렇군요. 지금 확인해보니까 그쪽 방향으로 편집을 해 놓으셨는데, 약간만 보완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Iulius36 2007년 5월 29일 (화) 12:29 (KST)답변

Re: 你好![편집]

Hi there. Sorry for the late reply, as I seldom visit this ko version of Wikipedia (mainly to update my User Page and add interwikis). So, if you would like to leave me messages that need a quick reply, please go to my Talk Page at Chinese Wikipedia instead, thanks! --Moonian 2007년 5월 30일 (수) 00:02 (KST)답변

Końskowola - Poland[편집]

Could you please write a stub http://ko.wikipedia.org/wiki/Ko%C5%84skowola - just a few sentences based on http://en.wikipedia.org/wiki/Ko%C5%84skowola ? Only 3-5 sentences enough. Please. 123owca321 2007년 5월 31일 (목) 05:04 (KST)답변

Sorry, but kowiki isn't "big" enough to write about all the villages around the world. Yeom0609 2007년 5월 31일 (목) 05:08 (KST)답변
I'm pleased that you leaved the message. But I'm sorry that I don't know the pronunciation of polish alphabets like ł,ó exactly which is not used or pronounced differently in the Enlish speaking world. In Korean wikipedia, the name of city should be transliterated into Korean. Moreover, a small village like Końskowola of which population is about 2,000 could be deleted for non-notability. I'm sorry for it. --Hun99 2007년 5월 31일 (목) 12:39 (KST)답변

서울대학교[편집]

자신의 입장과 다르다고 하여 문서 일부를 함부로 삭제하지 마십시오. 서울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대학소개-연혁-발자취를 참조해 주십시오. 직접링크가 안되는 것 같군요. Diabetes333 2007년 6월 30일 (토) 14:05 (KST)답변

POV라 삭제한 것이지 제입장과 다르다고 삭제한 것이 아닙니다. 제 입장과 생각에 부합하더라도 POV라면 당연히 삭제되어야 할 것입니다. --Hun99 2007년 6월 30일 (토) 14:18 (KST)답변

구체적인 내용은 그냥 국대안 파동에 남겨두고, ‘서울대학교’에는 중요한 부분만 요약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본문 중에 국대안 파동이라는 단어가 언급되면, 더 알고 싶은 사람은 클릭해서 보면 될테니까요. :) --정안영민 2007년 6월 30일 (토) 14:31 (KST)답변

정안영민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그렇게 하는 방향으로...--Hun99 2007년 6월 30일 (토) 15:19 (KST)답변

삼국지 이동[편집]

일본어/중국어 위키백과 역시 삼국지 문서는 진수의 삼국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동음이의 처리가 이제까지의 다른 관례와는 다르게 처리되었네요. 코에이의 역사물 시리즈 때문에 이동을 하는 것도 조금 이상하고요. (FIFA 게임 때문에 월드컵이나 FIFA 문서를 동음이의처리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위/촉/오의 삼국 시대를 삼국지라고 하나요? -- ChongDae 2007년 8월 16일 (목) 15:45 (KST)답변

네, 종대님, 일문판에서 삼국지를 검색했을 때 '三国志(さんごくし)は、中国の後漢末期から三国時代にかけて群雄割拠していた時代(180年頃 - 280年頃)の興亡史の通称である。この時代の歴史物語が三国志と呼ばれるのは、ほぼ同時代の歴史家陳寿(233年 - 297年)がこの時代の出来事について記録した歴史書の書名が、『三国志』であることにちなむ'로 설명을 나오다시피, 워낙 삼국지라는 사서와 연의가 유명해져서 그 시대 자체를 삼국지라고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역사 드라마에서 '삼국지'하는 것도 여기서의 삼국지는 시대를 지칭하는 의미이지요. 게임 때문에 옮긴 것은 아니고, 삼국시대를 같이 넣으려고 하다보니까 동음이의 처리를 해줬습니다 --Hun99 2007년 8월 16일 (목) 16:16 (KST)답변
{{다른 뜻}} 틀 종류로 처리해야 할 내용으로 보입니다. 일본어 문서에서는 일반명사 삼국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따로 문서를 뽑은 것이지, 동음이의 처리를 한 게 아닙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6일 (목) 17:49 (KST)답변
첨에는 다른 뜻 처리를 하려고 했는데 다른 뜻 소개가 2개가 되니 이리 처리한 것입니다. 일문판을 긁어온 것은 일문판에서 삼국지를 동음이의 처리를 했다는 것이 아니라, 삼국지라는 어의에 삼국 시대라는 의미도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로 가져온 것입니다. --Hun99 2007년 8월 16일 (목) 18:45 (KST)답변

다른 뜻 처리를 했고 같이 보기에서 언급하는 것으로 했습니다. 이 정도면 컨센서스를 확보하는 안이 아닐까 사료됩니다 --Hun99 2007년 8월 16일 (목) 18:55 (KST)답변

copy&paste 이동 후 삭제 요청은 과거의 기여를 모두 사라지게 합니다. Hun99 님이 고친대로 바꿔보겠습니다. -- ChongDae 2007년 8월 16일 (목) 19:06 (KST)답변
감사합니다 :) --Hun99 2007년 8월 16일 (목) 19:10 (KST)답변


뉴스[편집]

뉴스의 피랍자 석방 합의설을 삭제하셨는데요, 이유를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을 쓴 사용자는 Salamander03(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일개 신문사인 Afghan Islamic Press카더라 같은 설을 대문에 싣기보다는, 석방 합의에 대한 공식 발표가 뜬 후에 대문에 거는 것이 상당합니다. Afghan Islamic Press는 저번에도 석방 구출 군사작전 오보를 낸 적이 있습니다. 더이상의 되돌림은 3RR룰 위반이 될 수 있으니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Hun99 2007년 8월 26일 (일) 14:49 (KST)답변

해당 삭제 토론이 의견이 갈린 채로 시간이 많이 흘렀네요. 얼마 되지 않지만, 최근 의견이 삭제 쪽에 많은데, 혹시라도 더 하실 말씀이 있으시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 --정안영민 2007년 8월 29일 (수) 11:07 (KST)답변

의견을 첨가했습니다. 유저박스에 관한 다양한 생각들이 있을터 언젠가 구체적 합의가 만들어지겠지요. --Hun99 2007년 8월 29일 (수) 17:25 (KST)답변

유비 : 진수의 평[편집]

“'한고조의 풍도'는 위정통론에 있었던 진수의 평이라 신뢰할 만한 합니다.”라고 하셨는데, 진수의 평은 진수의 평일 뿐입니다. 흔히 하는 말로 오리지널 리서치일 뿐이죠. 다만 그것이 오래 전의 저작이고, 일반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오리지널 리서치와는 다릅니다(오리지널 리서치도 널리 인정받으면, 그 진위에 관계없이, 그 순간부터 일반적 사실이 되어 버리죠). 하지만 그와 같은 내용이 개요를 기술하는 곳에 적어야 할 만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적는다면, 따로 “평가” 항목을 만들어서 적어 주셨으면 합니다. --Knight2000 2007년 9월 7일 (금) 15:13 (KST)답변

찬동합니다. Knight2000님 말씀대로... --Hun99 2007년 9월 7일 (금) 17:01 (KST)답변

김구 사진[편집]

저작권이 불명확한 거 같습니다. 삭제될 거 같아 보이네요.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9월 14일 (금) 22:50 (KST)답변

영어 위키에서 라이선스가 Fair use로 이동되었군요. 한국어 위키에는 올릴 수 없게 되었네요. --Hun99 2007년 9월 15일 (토) 11:00 (KST)답변

메달 증정[편집]

이 사용자는 저니맨 에디터 이므로 이 Service Badge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즐위키 하세요 ^^ -- WonYong (토론기여총편집횟수로그e-Mail) 2007년 9월 19일 (수) 09:40 (KST)답변

Re: hi![편집]

Hi there!

About the phrase "復行視事": yes, after searching the web a bit (I was not quite sure the meaning of that phrase at first, as it's quite an old phrase, probably), I believe you've guessed correctly (i.e. "to return to the post and carry on service again"), at least from the context of the search results.

--Moonian 2007년 10월 3일 (수) 15:10 (KST)답변

P.S. Anyways, en:Chiang Kai-shek has mentioned that "Chiang moved the government to Taipei, Taiwan, where he formally resumed his duties as president on March 1, 1950." Hence the meaning of that phrase. --Moonian 2007년 10월 3일 (수) 15:23 (KST)답변

Thank you for your kind comments!--Hun99 2007년 10월 3일 (수) 19:53 (KST)답변
You're welcome :) --Moonian 2007년 10월 3일 (수) 20:59 (KST)답변

화염병[편집]

화염병은 한국어 기사를 참고로 한 것입니다(주석 옆에 있습니다.) 그럼 한국어 기사가 잘못되었다는 소리인가요? BongGon 2007년 10월 19일 (금) 22:47 (KST)답변

위키백과:추천 글에서 지침 편집하신 부분.[편집]

'물론 때에 따라서는 선정위원들이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여론과 반하는 결과를 낳을 수는 있지만 이는 매우 특별한 상황에 해당될 것입니다.'를 지우셨더군요. 뭐 쓸데없는 트집을 잡고자 온 것은 아니구요. 사실 저도 이 문장 쓸때 조금 이상하다는 생각을 하긴 했습니다. 자칫 선정위원이 마치 권력을 가진 양 보일 수 있으니까요. 다만 여기서 묻고싶은 건, 아주 예외적인 상황으로 해당 후보에 관해 다수의 의견이긴 하나 선정위원의 생각에 옳지 않다고 생각할 때 그에 반하는 판결을 내리는 자체를 반대하시는지 궁금하게 생각합니다. BongGon 2007년 10월 21일 (일) 23:33 (KST)답변

따라서 대체적으로는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여론을 따르게 됩니다 라는 말에서 대체로라는 의미때문에 이미 선정위원들은 컨센서스에서 벗어날 예외적인 재량을 가지는 듯한 진술을 하고 있습니다. 고로 아주 에외적인 상황을 뒷문장에서 한 번 더 강조한다면 원칙과 예외를 뒤집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Hun99 2007년 10월 22일 (월) 02:07 (KST)답변
추천 글 선정이 삭제토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삭제 토론에서 저작권 침해나 반달 등의 사유가 아닌 한, 컨센서스에 반하는 결정을 관리자들이 내린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un99 2007년 10월 22일 (월) 08:19 (KST)답변

German dictionary[편집]

안녕하세요 Hun99님. There are two good German-English dictionaries at [1] and [2]. For a fully automatic translation you can use the Google language tools, but since it is automaticly, it's not perfect. Also there is a German Korean forum, where you can ask for translations. -- IGEL 2007년 10월 26일 (금) 16:39 (KST)답변

Danke für die Antwort! 답변 감사합니다 :) --Hun99 2007년 10월 29일 (월) 22:04 (KST)답변

삭제요청 딱지[편집]

NDSL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에 딱지 붙이셨는데, 로그인 사용자가 작성한 글입니다. 로그인 사용자에게 한마디라도 남기고 딱지 붙여 주세요. 그 사람도 위키백과의 숭고한 이념에 감명을 받고 무언가 기여할 게 없을까 하는 선한 마음으로 들어왔을 수 있잖아요. xAOs 2007년 11월 1일 (목) 22:44 (KST)답변

제 사용자 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도 그 부분에 있어서는 상당히 조심을 하고 있습니다. 삭제 태크를 붙이고 직후 환영 틀을 일단 붙였습니다. 저작권 문제 글을 쓸까 하다가 되려 저작권 운운에 겁먹는 분들이 종종 계셔서 그냥 환영글만 붙였습니다. 차후에 연유를 그 분께서 물으신다면 친절히 답해드려야죠. 신규 사용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 감사합니다. --Hun99 2007년 11월 1일 (목) 22:47 (KST)답변
환영 틀을 붙이면서 삭제되는 이유를 짧게 써 주시면 안 될까요? 환영 틀이 삭제 이유를 설명해주는 것은 아닙니다. -- ChongDae 2007년 11월 2일 (금) 10:45 (KST)답변
위에 저작권운운에 신규사용자가 겁을 먹을까라고 이미 썼습니다. 짧게 언질을 던지는 것은 오히려 무성의해보이지 않을까요? 다음에는 좀더 길게 저작권 설명을 드리거나 관련 틀을 만들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Hun99 2007년 11월 2일 (금) 11:1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