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Byeonggyu24/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건물명 번호 시설
60주년 기념관 100 강원의료융합인재양성센터
공학교육혁신센터
국제회의실
기초교육원
수생태복원사업단
LINC 사업단
WISET 강원지역 사업단
뚜레쥬르
Cafe Mountain
IT대학 (공과대학 6호관) 101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
컴퓨터정보통신공학전공
데이터분석센터
창업보육센터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공과대학 1호관 102 기계의용공학전공
시스템경영학과
전기전자공학전공
공과대학 5호관 103 자원에너지시스템공학과
환경공학과
전자통신공학전공
산업기술연구소
지구자원연구소
공과대학 2호관 104 나노응용공학과
생물공학과
공과대학 4호관 105 전자공학전공
화학공학과
공학정보센터
공과대학 3호관 106 건축공학전공
건축학전공
토목공학과
공과대학장실, 행정실
실내체육관 107 -
제 127 학군단 108 -
제 2학생회관 (백록관) 109 학생식당
동아리실
스포츠과학부 110 -
한빛관 (IT대학) 111 전기전자공학부 실험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아이디어팩토리 사업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
IT대학장실, 행정실
보듬관 112 강원창업보육센터
산업기술연구소
청정신기술지원센터
창업지원단
실사구시관 201 강당
생활협동조합
제 1학생회관 (천지관) 202 구내 매점
구내 서점
구내 안경원
신문방송사
우체국
학생식당
총학생회
자연과학대학 1호관 203 물리학과
화학과
자연과학대학장실, 행정실
자연과학대학 2호관 204 생명과학과
에코환경과학전공
과학영재교육원
자연과학대학 3호관 205 지구물리학전공
지질학전공
자연과학대학 4호관 206 생화학과
분자과학융기술연구소
자연과학대학 5호관 207 수학과
정보통계학과
사범대학 4호관 208 과학교육학부
교육학과
영어교육과
사범대학장실, 행정실
사범대학 3호관 209 가정교육과
지역공동체 휴먼공공서비스 전문인력양성사업단
사범대학 1호관 210 강의실
사범대학 2호관 211 국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역사교육과
윤리교육과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
한문교육과
국제어학원 212 공자학원, 한국어문화원
미래관 213 공동실험실습관
교수학습개발원
정보화본부
강원대학교병원 214 -
대학본부 310 -
중앙박물관 302 -
나래관 303 장애학생 지원센터
취업지원과
학생생활상담센터
Job-cafe
경영대학 1호관 304 경영학전공
경제학전공
관광경영학과
국제무역학전공
글로벌비지니스학과
회계학전공
경영대학장실, 행정실
외국인 기숙사 305 강의실
연구실
중앙도서관 306 -
농업생명과학대학 1호관 307 바이오시스템공학전공
Cafe Mountain
농업생명과학대학장, 행정실
농업생명과학대학 2호관 308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생명과학대학 3호관 309 연구실
영상바이오관 310 영상문화학과
의생명소재공학과
문화예술대학 2호관 311 디자인학과
무용학과
미술학과
문화예술대학장실, 행정실
문화예술대학 1호관 312 음악학과
개인연습실
평생교육원 313 -
제 3학생회관 (태백관) 314 신한은행
국제교류본부
산학협력단
한울관 315 동아리회관
체육관
친환경농업연구센터 316 국제농촌개발협력사업단
농촌사회교육원
환경연구소 401 -
아산관 402 정보통신연구소
집현관 403 별관 도서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춘천센터
약학대학 404 약학과
생체이용률조절연구실
약학대학장실, 행정실
창강제지기술연구소 405 -
산림환경과학대학 2호관 406 산림경영학전공
산림자원학전공
산림환경과학대학 1호관 407 산림바이오소재공학전공
산림환경보호학전공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제지공학전공
단기소득산림자원 사업단
산림과학연구소
산림환경과학대학장실, 행정실
의생명과학대학 408 분자생명과학과
생명건강공학전공
생물의소재공학과
시스템면역과학전공
의생명공학전공
실험동물센터
의생명과학연구소
의생명과학대학장실, 행정실
동물생명과학대학 1호관 409 사료생산과학전공
축산과학전공
동물생명6차산업 특성화사업단
동물생명과학대학장실, 행정실
동물생명과학대학 2호관 410 농업자원경제학과, 동물생명공학전공, 축산식품과학전공
수의과대학 411 수의예과
수의학과
수의과대학장실, 행정실
동물병원 412 강원도 야생동물 구조센터
의과대학 2호관 413 간호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의과대학 1호관 414 의학도서관
의학영재교육원
의학전문대학원장실, 행정실
국제생활관 415 학생생활관
국제인재양성관 416 아시아태평양리더십센터
학생생활관
강원대학교 어린이집 417 -
스크립스 코리아 항체 연구원 418 -
백령아트센터 500 -
서암관 501 디지털미디어센터
RASE 특성화사업단
법학전문대학원 502 -
사회과학대학 1호관 503 문화인류학과
부동산학과
사회학과
신문방송학과
심리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회대학장실, 행정실
율곡관 504 법학전문대학원생 생활관
퇴계관 505 학생생활관
다산관 506 향토학사
예지원 507 향토학사
BTL 생활관 508 학생생활관
인문대학 3호관 509 국어국문학과
사학과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인문대학 2호관 510 독어독문학과
일본학과
인문대학 1호관 511 불어불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교양강의실
석재신소재제품연구센터 512 석재신소재제품연구센터
식당
카페
난지원 513 학생생활관
국지원 514 학생생활관
종합운동장 517 -
법학도서관 518 -
사회과학대학 2호관 519 사회과학연구원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520 -
Byeonggyu24/연습장
행사 정보
장소춘천시
주최(사)춘천마임축제, 한국마임협의회, 춘천 MBC
주관춘천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강원도, KT&G 상상마당 춘천, 코레일
웹사이트http://www.mimefestival.com/

춘천마임축제는 매년 5월 마임을 주제로 춘천시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춘천마임축제는 매년 5월 마임을 주제로 춘천시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춘천마임축제는 세계 3대 마임 축제 중 하나로 1989년 한국마임페스티발로 출발하여, 1995년 춘천국제마임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15년까지 27회 개최되었다. (사)춘천마임축제가 주최하고 춘천마임축제 운영위원회 주관하는 춘천의 대표 거리예술축제이며 매년 5월 말 중앙로, KT&G 상상마당 춘천, 수변공원을 중심으로 춘천시 전역에서 축제가 진행된다.

프로그램[편집]

제 28회 (2016.05.26~29)[편집]

개막난장: 봄의도시[편집]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따뜻한 도시. KT&G 상상마당에서 펼쳐지는 봄 풍경과 어울리는 몸짓을 감상할 수 있다. 따뜻한 아름다움에 흠뻑 취하고 싶은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야외 무대 공연 프로그램.

물의도시: 아!水라장[편집]

중앙로에서 소방차와 함께하는 거대한 물난장 도시. 목마른 몸, 회색의 도시에 뿌려지는 해방의 물이 춘천 중앙로에 흩뿌려진다.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무료 물놀이 프로그램과 흥겨운 EDM 파티도 펼쳐진다!

불의도시: 도깨비난장[편집]

화려한 불 퍼포먼스와 설치물이 어우러진 도시. 사회 발언적이고 실험적이며 도전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 예술을 볼 수 있다. 일상에서 벗어난 관객들이 불, 예술, 술과 어울러져 아름다운 일탈을 보여주는 예술 난장 프로그램.

  • 2016 공연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극단 고등어
  • 극단 사하따나
  • 김기민
  • 김찬수마임컴퍼니
  • 다미르쇼
  • 도토리
  • 라퍼커션
  • 마블러스 모션
  • 마임극단 동심
  • 마트
  • 모다트
  • 배낭속사람들
  • 비주얼씨어터 꽃
  • 신용구
  • 연구과제 3과4(△)
  • 연희집단 The 광대
  • 예술불꽃 화랑
  • 온앤오프 무용단
  • 유지영
  • 음악당 달다
  • 이종현
  • 작은극장 H
  • 중식이
  • 창작중심 단디
  • 천하제일탈
  • 청년예술가네트워크
  • 클라운 진
  • 타이거백 몸짓
  • 팀클라운
  • 판토마임팩토리
  • 판토스
  • 프라나
  • 프로젝트 루미너리
  • 프로젝트 모아
  • 플레이밍

지난 축제[편집]

몸짓배우 몸꾼 프로젝트[편집]

몸짓을 중심으로 창작 활동을 원하는 배우, 연출가, 디자이너, 기획자들의 독립적인 모임 집단으로 축제 컨텐츠의 기반을 다지는 작업을 지향하는 그룹으로 2015년 처음으로 실행하며 깨비 SHOW단, 깨비꾼과 함께 하는 플래시 몹 프로젝트.

깨비(자원봉사단)[편집]

축제 준비기간부터 축제가 끝날 때 까지 축제를 위해 모집된 봉사단으로 축제 진행에 꼭 필요한 존재이자 마임축제의 '꽃'이다. 사전에 공연기획실, 제작운영실, 홍보마케팅실, 행정실 깨비를 공개 모집하며 ID카드, 깨비 활동 인증서, 수업할애공문, 축제 티셔츠, 축제 기념품, 초대권, 깨비수첩, 봉사활동 시간을 제공한다.

바깥 고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