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Leykhy/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KS-SQI 로고
주최기관
한국표준협회 주관
세 개 모두 입력 (주제)
홈페이지http://ks-sqi.ksa.or.kr/ks-sqi/index.do
아랫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KS-SQI, 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 는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개발한 모델로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개량화한 지수이다. 매년 한국표준협회가 조사를 실시하고 상·하반기 결산 결과를 보도하고 있다.

KS-SQI 지수모델[편집]

KS-SQI는 기초자료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업종별 특징을 파악하고, 이로 선행변수를 생성해 설문을 구성하고 조사를 실시한다. 각 변수마다의 비중과 가중은 산업별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정해진다.
KS-SQI 지수는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와 함께 개발한 한국형 서비스 품질관리 시스템과 모델을 토대로 지수를 측정하고 운영한다. 이 모델은 크게 PIMS (Profit Impact of Marketing Strategy) 이론<ref>Lacobucci, Ostrom and Grayson(1995)”인용 오류: 열린 <ref> 태그가 잘못 만들어졌거나 이름이 잘못되었습니다을 따른다. 성과, 서비스 경영성과, 서비스 품질영역, 그리고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의 4가지 변수 중 서비스 품질영역과 결정 요인을 측정 변수로 사용하며, 이를 통해 서비스 경영성과와 기업성과 및 국민행복이라는 성과지표를 추정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 및 설계[편집]

2016년 현재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기초한 69개 서비스 산업, 8개의 공공행정서비스 부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며, 도소매 서비스, 금융 서비스, 숙박 및 요식업, 통신 서비스, 운수 서비스와 공공 서비스 및 교육 서비스, 보건/건설 서비스 등 공공행정서비스 부문으로 분류된다. 각 업종 내의 매출액 및 시장점유율, 인지도 등을 종합하여 업종 내 점유율 합이 70% 이상이 되도록 대표성을 가진 상위 기업들을 선정한다. 기업별 300명의 표본을 원칙으로 일대일 개별면접조사(50%)와 인터넷 패널조사(50%)를 동시에 진행한다.

분류 개수 쿼터 선정 기준
서비스 산업 69 한국표준산업분류
소비자표본 300 일대일 개별면접, 인터넷 조사

조사 방법[편집]

1대1 개별면접방식. 인터넷 패널방식. 설문지 질문구성내용...


관련 사업[편집]

함께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