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살상전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살상전략(殺傷戰略, Countervailing Strategy)은 1980년 8월 당시 미국 대통령 지미 카터가 대통령 지령 제59호에서 채용한 전략으로, 미·간 전면 핵전쟁이 발발할 경우 양국의 군사목표·정치중심지, 교통·공업 시설 등 국가기반 대부분이 완전 파괴되고, 결국 서로간의 분명한 자살행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는 내용이다. 그 후 레이건 행정부에 계승된 이 전략은 피스키퍼(MX미사일)·트라이던트탑재 잠수함·ALCM 탑재 전략공군이 중심이 된 1980년대 미국 핵전략의 기본원칙이 되었다. 미국의 핵전략은 1950년대 대량보복전략에서 1960년대에는 확증파괴전략(Assured Destruction:AD)으로 바뀌었는데, 그 내용은 "적(소련을 가리킨다)의 제1격을 받더라도 그를 견디고 잔존한 핵전력으로 적에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큰 타격을 확실하게 입힐 수 있는 고도의 신뢰성을 가진 핵전력을 유지한다"는 것이었다. 그 후 소련의 전략핵전력 증강으로 미·소가 실질적인 균형상태를 이루었다는 상호확증 파괴(Mutual Assured Destruciton:MAD) 핵억지이론이 대두되었는데, 이 전략은 군사과학·기술의 발달로 핵탄두 파괴력과 CEP의 비약적 향상, 공격목표전환 기술의 발전, 전술핵전력의 비취약성이 강화됨으로써 종래의 AD 전략에 기초한 MAD 억지이론이 논리적 허구가 되자, 소련의 전략목표·정치중심지 등 지도부의 지휘명령기구로 목표를 좁힘으로써 한정적인 공격의사를 명확히 한다는 새로운 핵전쟁억지 전략이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