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월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월영
본명서영관
출생1902년 4월 8일(1902-04-08)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1973년 2월 26일(1973-02-26)(70세)
대한민국

서월영(徐月影, 1902년 4월 8일 ~ 1973년 2월 26일)은 한국의 배우이다. 연극배우로 출발하여 말년에는 영화 배우로 주로 활동했다.

본명은 서영관(徐永琯)이며, 월영(月影)은 예명이다. 서울 출신[1]으로 토월회를 통해 연극배우가 되었다. 현철이 세운 조선배우학교를 제1기생으로 졸업했다.[2] 초기에는 동양극장의 전속극단 청춘좌 소속으로 활동했다.[3]

그러나 신파극의 인기와 함께 동양극장이 지나친 상업주의 경향으로 흘러가자 1937년 심영, 박제행, 남궁선 등과 더불어 청춘좌를 탈퇴한 뒤에는 신파극과 신극 사이의 타협점으로 중간극을 표방한 중앙무대를 창설했다.[4] 1939년 조직된 극단 고협에서도 활동했다.[5] 1927년 《운명》과 《불망곡》으로 영화계에도 데뷔해 《지나가의 비밀》(1928) 등에 출연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흙에 산다》 (1942), 《젊은 모습(일본어: 若き姿)》 (1943), 《조선해협》 (1943), 《우러르라 창공》(일본어: 仰げ大空) (1943), 《거경전》 (1944) 등 국책 영화에 잇따라 출연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친일 영화 단체인 조선영화인협회에도 연기자 대표격으로 참여하여 임원을 맡은 바 있다.[6]

토월회와 청춘좌, 중앙무대, 고협 등에서 꾸준히 함께 했던 심영과는 광복 후 좌익우익 계열로 갈라졌다. 심영은 김두한에게 피습을 받고 월북했고, 그는 극단 청탑을 창설하고 반공 영화 《성벽을 뚫고》(1949)에 출연하는 등 남한에 남아 1950년대와 1960년대 많은 영화에 출연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마지막 작품은 1967년 신상옥이 연출한 《다정불심》과 《꿈》이다.

각주[편집]

  1. 전갑생 (2004년 11월 4일). “친일미술단체들, 전쟁동원에 '회화보국'나서 - [특집] 경남.부산 친일예술인 연구 2 미술과 연극영화단체들”. 거제타임즈. 2008년 6월 15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7) (도움말)
  2. 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2006년 12월 15일).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서울: 소도. 353쪽쪽. ISBN 9788990626264. 
  3. 예술로, 한국연극의 황금 시대를 구현한 동양극장 Archived 2007년 11월 8일 - 웨이백 머신
  4. “신파극(新派劇)”. 《서울六百年史》. 서울특별시.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2일에 확인함. 
  5. 권영민 (2004년 2월 25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8쪽쪽. ISBN 8952104617. 
  6. 이효인, 영화계 친일행위의 논리와 성격 《디지털 웹진 Now Art》 (2002년 광복 57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 - 문화예술의 친일 논리와 성격)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