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소고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고춤(小鼓舞)은 농악에서 12차 장단에 맞추어 소고를 두드리면서 춤을 추는 것으로, 황홀한 체기와 멋이 깃든 춤이다.

농악은 원래 풍물이라 했는데, 조선 후기에 와서 농악이라 일컬었다. 이 춤의 모습은 농사행위와 수렵행위나 전쟁행위로부터 생성된 돌격무진(突擊舞進)의 동작과 포위하는 동작 등이 있고, 때로는 길군악(軍樂)으로도 쓰였던 것 같다. 소고잽이를 일명 법고잽이·벗구잽이라고도 하는데, 전립대(戰笠帶)와 화관대(花冠帶)의 두 차림이 있어, 전복(戰服)에다 상모가 달린 전립을 쓰고, 자루가 달린 소고를 두드리면서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더욱 장관이라 할 것이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