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실질적 평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질적 평등(實質的平等, substantive equality)은 사회 속 이득을 받지 못하거나 소외된 사람들이나 그룹들의 결과의 평등, 기회 균등과 관련한 인권법의 근본 개념이다.[1][2] 학자들은 실질적 평등을 국가와 행위자가 차별을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책, 절차, 관습의 산물로 정의한다.[3][2][4]

각주[편집]

  1. Cusack, Simone, Ball, Rachel (2009) Eliminating Discrimination and Ensuring Substantive Equality. Public Interest Law Clearing House and Human Rights Law Resource Centre Ltd.
  2. "What is substantive equality?" (PDF). Equal Opportunity Commission,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November 2014. Retrieved 28 October 2018.
  3. “systematic discrimination”. 2019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19일에 확인함. 
  4. Mitchell, Ben (2015). Process Equality, Substantive Equality and Recognising Disadvantage Constitutional Equality Law. Irish Jurist. 53: 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