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칠면조 염통

동물의 염통 (=심장(心臟)을 식자재로 쓰기도 한다. 부속 고기의 일종이다.

요리[편집]

한국[편집]

의 염통을 구워 염통구이로 먹거나,[1] 넓적하게 저며서 꼬챙이에 꿴 다음 양념해서 구워 염통산적으로 먹는다.[2] 간막국을 끓일 때 넣기도 한다.[3]

브라질[편집]

의 염통을 꼬치에 꿰어 구워 먹는다. 슈하스쿠를 먹을 때, "심장"이라는 뜻의 "코라상(포르투갈어: coração)"은 보통 닭 염통 꼬치구이를 가리킨다.[4]

각주[편집]

  1. “염통구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2. “염통산적”.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3. “간막국”.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4. 최영지 (2014년 6월 12일). “브라질의 맛”. 《국제신문》. 25면.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