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올림사장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사장조(-長調)는 이론상 존재하는 조성 중 하나로 올림사(G) 음을 으뜸음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음계가 G♯, A♯, B♯, C♯, D♯, E♯, Fdouble sharp로 되어있다. 이 조성의 음계에는 겹올림표 붙은 음 1개와 올림표 붙은 음 6개가 있다.[1] 이론적으로는 조표 형태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올림사장조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key gis \major s8 \clef F \key eis \minor s^"" }

대체 표기법
{ \magnifyStaff #3/2 \omit Score.TimeSignature \set Staff.keyAlterations = #`((3 . ,SHARP)(0 . ,SHARP)(4 . ,SHARP)(1 . ,SHARP)(-2 . ,SHARP)(2 . ,SHARP)(-1 . ,SHARP)(3 . ,DOUBLE-SHARP)) s^"" }
다른 언어 이름
영어G sharp major
독일어Gis-dur
관계조
나란한조올림마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바단조
같은으뜸조올림사단조
딸림조올림라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내림마장조
버금딸림조올림다장조
이명동조내림가장조
구성음
G, A, B, C, D, E, Fdouble sharp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내림가장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19-TET, 31-TET 혹은 순정률처럼 G과 A음높이가 다른 경우, 이 조성을 그대로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이 조성이 간헐적으로 쓰일 때는 일반적으로 임시표로 구현되나, 매우 드물게 조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시로 존 파울즈의 'A World Requiem'의 맨 끝 부분에 올림사장조가 직접적인 조표 형태로 사용되었다.[2]

 {
\omit Score.TimeSignature \relative c'' {
  \key eis \minor \time 7/4
  gis ais bis cis dis eis fisis gis fisis eis dis cis bis ais gis2
} }

올림사장조일 경우 조표에서 겹올림표 붙은 음 1개와 올림표 붙은 음 6개를 나타내는 반면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는 조표에 4개의 내림표만 있기 때문에 보통은 올림사장조보다 선호된다. 다만, 올림사장조는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를 쓰지 않더라도 여러 작품에서 간헐적인 형태로 등장하기도 한다. 직접적인 조표 형태가 아니면서 다른 조표 사용 도중 필요할때마다 적절한 임시표를 매번 사용하는 것으로라도 말이다. 특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The Well-Tempered Clavier올림다장조의 전주곡과 푸가에서 등장한다.

간헐적이더라도 직접적인 조표 형태가 아닌 임시표의 형태가 대부분이었긴 하나 매우 극소수로 직접적인 조표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존 파울즈(John Foulds)의 《A World Requiem》의 마지막 페이지는 올림사장조로 쓰여져 있으며, Fdouble sharp를 포함한 정확한 조표가 표시되어 있다. 해당 조표는 위의 음계에 쓰여있는 릴리폰드 예제와 같이 C♯로 시작하여 Fdouble sharp에서 끝난다.[3]

음계의 화음 종류[편집]

각주[편집]

  1. Thomas Busby (1840). 〈G-sharp major〉. 《A Dictionary of Three Thousand Musical Terms》. revised by J. A. Hamilton. London: D'Almaine. 55쪽. 
  2. "John Foulds: A World Requiem (1921), Wise Music Classical
  3. "John Foulds: A World Requiem (1921), Wise Music Class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