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49주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2021년 제49주
2021년 12월
48 29 30 1 2 3 4 5
49 6 7 8 9 10 11 12
50 13 14 15 16 17 18 19
51 20 21 22 23 24 25 26
52 27 28 29 30 31 1 2

장기 삭제 토론 두 건에 대하여[편집]

네, 압니다. 현재 결론나지 않은 삭제 토론 두 건이 정치적 사안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 말입니다. 올해 중순 즈음 제기되었을 텐데, 어쩐 이유에서인지 아무도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양측의 토론이 길어지기도 했고, 그 와중에 서로 차단된 전적도 있으니 말입니다. 답보 상태인 지금 더 이상 토론을 지속해도 이득이 없다고 판단하여, 올해가 가기 전 이 두 안을 끝내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습니다.

왜 관리자인 제가 마무리짓지 않느냐고 물으신다면, 저는 이미 두 토론 모두 의견을 낸 바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해당 토론의 참여자 신분이므로 중재에 직접 개입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전 다른 넘겨주기 문서 관련 삭토만 끝마친 이유도, 그곳에는 제가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토론을 지속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득이 없으니 최후의 수단으로 제가 직접 종결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만, 그런 그림은 되도록 피하고 싶습니다. 처음부터 제 성향대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으나 결국 뒷말이 더 나올 테니까요.

그리하여 방아쇠를 당기기 이전, 다른 관리자분들께 종결 권한을 한 번 위임하고 싶습니다. 일반 유저들이 개입하기엔 사안이 너무 중대한 사안이라 생각되고, 압박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만한 수단도 없으니까요. 바라건대, 저 이외의 다른 관리자분께서 이 사안을 해결해 주셨으면 합니다. 결과에 대해서는 제가 결과를 막론하고 존중함을 여기서 공개적으로 밝히는 바입니다. 이럼에도 이번달 말까지 문제가 지속된다면, 그 때는 제가 직접 해결해야 할 만큼 다른 관리자분들로서도 건드리기 힘든 사안이라 생각하겠습니다.

올 한 해, 위키백과에서 관리자의 역할과 존재 의의에 대해 여러 논의가 가열차게 진행되었습니다. 마지막에 그 의미를 다시금 되새겼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Reiro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01:53 (KST)답변

그 삭제 토론중 한 건(위키백과:삭제 토론/문빠)은 최근 한 일반 사용자에 의해 중간안으로 끝났습니다. 나머지 한 건(위키백과:삭제 토론/노빠)은, 다른 분이 끝내는 게 낫긴 하지만, Reiro님이 토론 주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의견을 내지 않으셔서 Reiro 님이 끝내도 이해관계가 충돌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데니스3 (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21:31 (KST)답변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편집]

선진국이면 도로가 깨끗하고 국민의식이 좋아야 하잖아요. 그런데 대한민국이나 선진국 문서를 보면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잘못 분류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개발도상국입니다. 출처: https://investopedia.com/updates/top-developing-countries/ 2021년 4월자 최신 자료입니다. 위키백과 본문 안에서 개발도상국으로 지금 당장 수정이 필요합니다. 할아버지 말씀이 대한민국은 정치도 후진적이고 선진국 따라가려면 한참 멀다고 하셨어요. 39.7.59.137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15:56 (KST)답변

무슨 말입니까? 대한민국은 선진국 맞습니다. 그렇게 치면 님은 개발도상국에서 잘 먹고 잘 자고 계시네요. 대한민국은 새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발전된 나라입니다. 아이피 님의 할아버지가 사시던 시대에는 개발 도상국처럼 가난했을 지 몰라도, 지금은 아닙니다. 또 이건 중립적 시각에 어긋납니다. 백:중립 한번 읽어 보십시오. --Key.S(//) 2021년 12월 6일 (월) 16:15 (KST)답변
또 제가 지금 개인 사정으로 링크를 못 들어 가는게, 언젠가 들어가서 그게 무슨 헛소리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죠. --Key.S(//) 2021년 12월 6일 (월) 16:22 (KST)답변
기분 나쁘시더라도 헛소리라고 하시면 마음에 상처 입습니다. 좋은 말, 고운 말 사용해 주세요 39.7.59.137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21:18 (KST)답변
해당 주장과는 별개로, 해당 출처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 출처인 UN DESA가 한국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고 있었던 건 사실입니다. 해당 출처는 2020년에 나온 근거로 보이고 2021년에 출간된 World Economic Situation Prospects 2021에서도 그 내용이 나옵니다. 하지만 2021년 7월에 결의에 따라 UN CTAD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에서 한국을 선진국으로 재분류했기 때문에 내년에는 선진국 표에 올라올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선진국으로 바꿀 여지는 충분하지만 개발도상국으로 있는 것이 각종 규제나 이득이 더 크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늦게 벗어나는 이유라 볼 수 있죠. --José Carioca (talk) 2021년 12월 6일 (월) 16:47 (KST)답변

근데 시민의식이나 길거리를 일본과 비교하면 한참 떨어지는 게 사실이고.. 2000년 쯤이었나 일본 갔다온 사람 말 들어보면 기반 시설이 한국과 천지 차이라고 했어요. 완전 한국과 다른 최첨단 도시를 다녀왔다고 하고요. 그리고 대한민국이 개발도상국이기 때문에 미국 등 선진국 대비 의료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야기도 불과 얼마 전에 올라왔어요 https://clinicsoncall.com/en/clinics/country-south-korea/ 39.7.59.137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17:13 (KST)답변

글쎄요. 시민의식이 중요할까요? 그리고 2000년대면 IMF 구제금융때문에 경제 휘청이고 있을때인데, 굳이 왜 2000년을 근거로 드시는지 의문입니다. 현재 한국 국내총생산만 보더라도 10위권에 머물고 있습니다. 여러 기관에서 대부분 한국을 선진국으로 분류하고 있기도 하고요. 더 이상 반박 않토록 하겠습니다. —— Melon. T. 2021년 12월 6일 (월) 18:27 (KST)답변
의료비가 미국 등 선진국 대비 낮은 이유로 south korea가 developing country라고 위 출처에 적혀있어요. 업데이트된지 얼마 안 됐어요 39.7.59.137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21:23 (KST)답변
선진국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구분은 모호한 편이며 다양한 분류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선진국 문서에서도 다양한 구분에 따른 국가 목록을 나열하고 있는데, IMF나 세계은행 분류가 사기업 의료플랫폼보다 훨씬 신뢰도가 높지 않을까요? 개발도상국 문서도 다양한 분류와 기준을 설명하며 보강해야 할 문제이지, 선진국 문서에서 이미 존재하는 분류를 빼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보이진 않습니다. L. Lycaon (토론 / 기여) 2021년 12월 6일 (월) 21:28 (KST)답변

음.. 2000년대 쯤 이면 IMF 구제금융 끝나고 얼마 안됬을 때인데,, 그리고 멜론트리님의 말씀처럼 국내 총생산만 10위권 안에 드는데,, 개발도상국이라고 보기엔 너무 선진국이네요. 또 도로가 깨끗해야 된다는건..? 뭐죠?.. 이웃집 또털어 2021년 12월 6일 (월) 19:50 (KST)답변

다들 경제 얘기를 하시니 둘러봤는데 투자 적격여부를 판단하는 기관인 MSCI랑 STOXX에서는 미국, 일본 등은 선진국으로 인정해도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에 투자할 정도로 대한민국은 선진국이 아니라는 증거죠. 개발도상국, 선진국, 대한민국 문서 모두를 올바르게 개편해야 옳습니다. 118.235.9.154 (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08:44 (KST)답변

그러니까 위에서 말했습니다. '다양한 분류와 기준을 설명하며 보강'해야지, 이미 존재하는 걸 빼는 게 해결책은 아니라고요. OECD에서 선진국 분류했으면 끝났죠. Reiro (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11:29 (KST)답변
개편은 보강의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위에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인정하지 않는 저명한 기관들도 나열했습니다. 이 내용을 문서 초반에 넣어서 보강하면 되지 않을까요 118.235.9.154 (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12:36 (KST)답변
각각 비중에 맞게 작성해 주세요. Reiro (토론) 2021년 12월 8일 (수) 00:33 (KST)답변

모바일 게임 문서 <다시 그리는 시간> 문서의 편집 모든 이용자가 작성 할 수 있게 허용을 해주세요.[편집]

안녕하세요. 저는 <다시 그리는 시간>의 모바일 게임에 문서만을 작성하고 있던 위키 유저입니다.

게임의 관련된 캐릭터의 기본 프로필과 설정들을 적었다고, 자신들이 보기엔 "불편하다."라고 취급을 하는 것으로 판단해
몇일을 걸쳐서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통째로 반달하고, 문서를 사유화 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문서의 반달을 저지르고 있는 위키유저 닉네임: 유미사카 (토론), Reiro (토론))

그뿐 만이 아닙니다. 해당 게임은, 본토가 중국 게임이기에, 본토와 관련된 정보들도 한국 서버와 맞게 작성도 했는데 그것마저 자신들이 보기엔 불편하다면서 통째로 반달까지 자처하고 있습니다.

이건 너무 불공정한 행위입니다.
다시 그리는 시간의 게임 문서는 지금, 장기 기간 위키 백과를 사용한 유저들만 편집할수 있게 의의재기도 없이 변경까지 되었습니다.

관리자님, <다시 그리는 시간>의 문서의 편집 허용을, 모든 이용자가 할 수있게 다시 변경을 부탁드립니다.— 이 의견은 Yyti00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6일 (월) 17:05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Yyti00: 오히려 반달을 하고 계시는건 님같은데요... 위백은 게임 안내서가 아닙니다. 그리고, 자신들이 보기엔 불편하다고 지웠다고요..? 님이 정책이나 지침에 어긋난 편집을 하시니 지운겁니다. 하지만 그 두분이 너무 지운 것 같긴 하네요. 캐릭터의 특징이나 관계 등은 너무 갔지만, 캐릭터 이름만 적은 목록정도는 남겨둘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MILK ⍤⃝♬ 2021년 12월 6일 (월) 17:05 (KST)답변
@Yyti00: 저녁 즈음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잠시 추가적인 토론은 자제해 주세요.--Reiro (토론) 2021년 12월 6일 (월) 17:33 (KST)답변
@Yyti00: 갑작스러운 편집 제한 때문에 많이 놀라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해당 제한은 정확히 6시간 뒤인 06:55에 풀리니 걱정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제가 Yyti00님의 편집을 받아들이기 힘든 까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키백과는 가이드북이 아닙니다. 좀 더 세세히 말하자면, 출처가 없거나 무한정 늘어날 수 있는 정보를 무작정 넣는 곳이 아닙니다. 현재 강조하시는 다시 그리는 시간은 전형적인 오토메 게임, 즉 캐릭터 수집형 게임으로 보이며, 플레이어블 캐릭터 역시 늘어날 것이라 생각됩니다. 문제는 비슷한 모바일게임이 분류:오토메 게임에만 28개, 더 거칠게 분류:안드로이드 게임으로 넓혀도 400개를 훌쩍 넘깁니다. 이런 글마다 캐릭터, 이벤트 정보로만 문서가 가득차 있으면 정작 다른 내용을 넣을 수 없습니다. 그 리그 오브 레전드조차도 그렇지는 않아요.
  2. 그렇다면 어떤 정보가 보통 들어가는가. 한국어 위키백과의 문서가 부실하긴 하지만, 영어판의 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가 일종의 정답에 가까운 선지이리라 생각됩니다. 해당 글은 백:알찬글로 선정되어 있지요. 영어가 어려우실까봐 문단명만 말하자면 크게 1) '게임 플레이' - '소환사의 협곡', '기타 모드'// 2) '개발'// 3) 평가// 4) 이용자의 행동 방식 //5) e스포츠 //6) 스핀오프 및 다른 매체로 이루어져 있지요. 아래 7번 문단을 보시면 독립적인 출처가 (쉽게 말해서, 라이엇 게임즈와 관계없는 신문에서 발행한 기사들) 167개나 달려 있습니다. 물론 해당 내용에 단기적인 이벤트라거나, 소소한 패치 및 캐릭터 스펙 등을 일일이 적어넣지는 않고요. 이는 그러한 정보가, 위키백과에서 원하는 방향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3. 위에서 캐릭터성을 이야기하셨는데, 유감스럽게도 모든 게임에는 전부 그런 특성이 존재합니다. 예전 그랜드체이스가 그랬고, 더 올라가면 메이플스토리카트라이더가 그렇죠. 이 게임들이 20년 가까이 되는 서비스 시간 동안 이벤트를 몇 번 열었을 것 같은가요? 반대로 묻겠습니다. 학교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를 조사하는 숙제를 냈을 때, 님이라면 캐릭터만 줄줄 나열된 문서와 영어판 문서 중 어느 쪽을 참고해서 하실 건가요.
  4. 위키백과에 관심 가져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기여 내용이 삭제되어 상심 크셨을 테고, 참고할 만한 문서가 한국어판에 없어 저로서도 문서를 가꿔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제 토론창에 글을 남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Reiro (토론) 2021년 12월 7일 (화) 01:18 (KST)답변

관리자,사무관분들께[편집]

안녕하세요.지금 백:권신에서 롤백 기능에 7명의 사용자가, (최대)한달이나 된 요청들이 밀려있습니다. 재촉이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좀 많이 밀려있어서 글 올리는 것이니 한번 읽어보시고 시간 되시면 처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S.M ִֶָ☆ˊ 2021년 12월 7일 (화) 21:43 (KST)답변

솔직히[편집]

안녕하세요, 위키백과 편집자 여러분. 키페입니다. 제가 이번에 글을 쓰게 된 이유는 다름 아닌 편집할 문서가 없다입니다. 사실 여러분께는 핑계나 헛소리로 들릴 수 있어도, 사실입니다. 그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는 사람님은 제 실친 (실제 친구)입니다. 원래 나무위키에서 아이피로 활동하던 친구였는데, 제 권유로 위키백과에 오게 됐습니다. 그 친구에게 전 일단 제 사토에 글을 남겨 보라고 했고, 그 글이 사토:KeySpace#키페님입니다. 친구임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존댓말을 사용해 달라고 했죠... 그런데 나는 사람이 제 사토 외에는 일문 편집을 하지 않았습니다. 전 나는 사람에게 메시지로 '왜 일반 문서 편집을 하지 않고 있냐?' 라고 묻자, 나는 사람은 '편집할 문서가 없어서' 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전 어이가 없어서 '그게 무슨 헛소리냐' 라고 물었지만, 생각해보니 저도 편집할 문서가 없어, 최근 바뀜만 보고 반달만 모바일언도로 잡고 있었습니다. 사실 편집할 문서가 없는 이유는, 전 위키에서 전자기기나 케이팝 분야만 편집하죠. 그마저도 전자기기가 거의 대부분이고, 케이팝도 제가 좋아하는 세븐틴이나 방탄밖에 편집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런 문서들은 모두 거의 완벽하죠. 그래서 자잘한 오타 외에는 편집할 게 없다는게 사실입니다.. 제 친구도 그런 이유로 편집할 게 없다는 말이었습니다. 후.. 이걸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여러분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키페(//) 2021년 12월 8일 (수) 08:10 (KST)답변

@KeySpace: 아직 위백엔 편집할 문서가 많습니다. 토막글이나 초안들도 많고요. 정 없으시다면 문서를 만드시면 됩니다.--MILK ⍤⃝♬ 2021년 12월 8일 (수) 08:55 (KST)답변
위에서 다른 분께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아직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관심 있으신 IT 분야도 편집하고 생성할 부분이 무궁무진하죠. 당장 몇 개 찾아보면 en:Matter (standard), en:BlackBerry Key2 는 한국어 위키백과에 문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홈킷, 서피스 Go 3 등은 내용이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저는 다른 일에 힘쓰는 관계로 예전만큼 못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분들께서 기여할 부분은 아직 엄청납니다 ㅎㅎ --SVN (토론) 2021년 12월 8일 (수) 10:50 (KST)답변

2021년 올해의 위키인 후보 추천[편집]

2021년 한 해는 어떤 사용자들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활약했을까요?

한국어 위키미디어 사용자 여러분이 생각하는 올 한 해를 빛낸 사용자들을 위키인 후보로 추천해주세요!

--이강철 (WMKR) (토론) 2021년 12월 8일 (수) 11:34 (KST)답변

전거통제 에디터톤을 엽시다[편집]

어떤가요 — 이 의견은 2001:2d8:e126:6fdd::13a:30a4님이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아 2021년 12월 8일 (수) 15:18 (KST)에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IP사용자가 아니다면 직접 에디터톤을 여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웃집 또털어 2021년 12월 8일 (수) 15:15 (KST)답변

위키백과:조정의 조정자 조건 추가[편집]

위키백과:사랑방/2021년 제48주#조정자에 대해 토론에 의거, 총의가 형성되었다고 판단하여 조정자의 조건을 추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바로 바꾸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하여, 약 20일 간의 유예기간을 적용하였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White.t.(Alt) 2021년 12월 8일 (수) 15:18 (KST)답변

--양념파닭 (토론) 2021년 12월 9일 (목) 13:26 (KST)답변

로블록스 문서를 영구적으로 준보호 했으면 좋겠습니다.[편집]

준보호가 끝나는 2022년 1월 1일이 되면 또 준보호 이전처럼 문서 훼손이 심할 것 같기 때문입니다.--Yellow Cookie 2021년 12월 10일 (금) 19:15 (KST)답변

백:문관에서 기간 조정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The untold truth (토론) 2021년 12월 10일 (금) 20:42 (KST)답변
틀의 변수가 잘못 적혀 있어서 (보호는 2022년 1월 1일 00:00이 아니라 2021년 12월 14일 (화) 18:19에 해제될 예정입니다) 이를 수정했습니다.
9월 14일에 Reiro님이 3달간 보호하셨는데 굳이 그걸 또 연장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느낌상 저도 반달이 계속 있을 것 같지만, 위키백과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을 표방하고 있고 보호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해야 합니다. 반달이 다시 일어나지도 않았는데 문서를 보호하는 것은 이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Ddxfx 2021년 12월 10일 (금) 23:34 (KST)답변
생각해보니 그렇군요:)--Yellow Cookie 2021년 12월 11일 (토) 19:12 (KST)답변

보호해재되면 항시대기 하겠습니다. 메소드연기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1:44 (KST)답변

일괄되돌리기 권한 있으신분들 도와주세요[편집]

한IP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제 사토에 장난을 칩니다.. 전 권한이 없어서 편집취소로 되돌리지만 되돌리자마자 바로 회손하네요.. 누가 쫌 도와주세요.. 하늘🦋 2021년 12월 11일 (토) 21:01 (KST)답변

해결 됐습니다! 하늘🦋 2021년 12월 11일 (토) 21:37 (KST)답변

마음고생 많으셨습니다. 지금 봤네요...--Reiro (토론) 2021년 12월 12일 (일) 01:18 (KST)답변

사용자:멀뚱이씨의 현재진행형 독자연구[편집]

그냥 놔두기로 한건가요?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 등을 편집하고 있네요. 2001:2D8:E879:FC75:0:0:1157:50A5 (토론) 2021년 12월 12일 (일) 16:03 (KST)답변

사랑방에 이런 식의 저격성 글을 올리는 것을 자제해 주십시오.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토론 문서에서 토론해 주시기 바랍니다. — Ddxfx 2021년 12월 12일 (일) 16:05 (KST)답변
이 문단은 사랑방보다 사용자 관리 요청에 어울리는 글입니다. 멀뚱이 님이 해당 문서를 편집하고 있고 그게 문제라면 사용자 관리 요청에서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을 편집한 사용자중 누가 멀뚱이 님과 동일인인지, 어떤 편집이 독자연구에 해당하는지 설명하세요. -- 데니스3 (토론) 2021년 12월 12일 (일) 16:22 (KST)답변
해당 사용자(멀뚱이)는 2008년 이후 활동이 없는 상태이며, 무기한 차단된 사용자 입니다. 117.123.41.20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20:39 (KST)답변
특수:기여/122.128.215.4이 멀뚱이입니다. 특수:기여/122.128.215.4/16위키백과:관리자 권한 회수/관인생략/2를 봐주세요. 동대문구 케이블 IP로 계속 편집중입니다. 27.175.46.5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12:05 (KST)답변
위키백과:삭제 토론/제너럴 일렉트릭 T700에서 시인한 적이 있네요. 27.175.46.5 (토론) 2021년 12월 14일 (화) 12:08 (KST)답변

와 힘들어죽을 뻔 했네요[편집]

오스트레일리언 셰퍼드 이거 번역이 되있드라구요 ㅎ 그래서 거의 존댓말만 고쳤는데 -370바이트라네요. 눈 아프네요--˗S.M ִֶָ☆ˊ 2021년 12월 12일 (일) 19:47 (KST)답변

수고하셨습니다:)--Yellow Cookie 2021년 12월 12일 (일) 21:33 (KST)답변
본래 퇴고가 그래서 힘들죠. 고생하셨습니다.:) Reiro (토론) 2021년 12월 13일 (월) 00:31 (KST)답변
우와, 대단하시네요. 수고하셨습니다. ;) --MILK ⍤⃝♬ 2021년 12월 13일 (월) 07:46 (KST)답변
(+ 제가 어투나 맞춤법도 거의 마무리 했는데 막상 빼고, 넣고 하다보니 정작 결과는 -28바이트네요.. ㅎㅎ... --MILK ⍤⃝♬ 2021년 12월 13일 (월) 08:02 (KST)답변
ㅎㅎ 저두 WowCube, 오피스스위트땜에 죽는 줄 알았습니다.. By 키페(//) 2021년 12월 13일 (월) 08:1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