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 (157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완(李莞, 1579년 5월 6일음력 4월 11일)~1627년 2월 28일(음력 1월 13일)

선조 12년(1579) 기묘년 4월11일 ∼ 인조 5년(1627) 정묘년 1월 13일. 조선중기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열보(悅甫) 시호는 강민(剛愍). 조부는 덕연부원군 이정(李貞)이며, 이희신(李羲臣)의 아들이자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의 조카이다. 선조 32년(1599) 기해년 무과. 가선대부(嘉善大夫) 의주부윤겸의주진관병마절제사(義州府尹 兼義州鎮管兵馬節制使).

1592년 임진왜란 때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였고, 19세에 숙부인 충무공 이순신을 수행하여 왜적을 무찔러 공을 세우다. 노량해전(1598)에서 이순신이 『전방급신물언아사(戰方急 愼勿言我死)』를 남기고 전사하자 종형제인 이회(李薈)와 이 사실을 알리지 않고 독전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선조 32년(1599) 기해년 무과에 급제하고 광해군 10년(1618) 평양중군이 되었다. 인조 1년(1623) 갑자년 충청평마절도사에 올랐다. 인조 2년(1624) 호현에서 이천으로 도망치는 이괄(李适)의 난군을 평정한 공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인조 2년(1624) 의주부윤이 되었는데 인조 3년(1625)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의 군사들이 마을에서 행패를 부리자 부장 한명을 곤장으로 때려 문제가 되어 자급(資級)이 한등급 강등되었다. 인조5년(1627) 음력 1월 13일 정묘호란이 일어나 후금의 군사들이 의주를 침범하여 포위하였을 때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부상을 당하여 싸울수 없게 되자 “군기는 적에게 내 줄 수 없다.”라고 하면서 군기고에 불을 지르고 종제 이신(李藎)과 함께 향년 49세에 분사(焚死)하였다.

숙종 30년(1704) 충신 명령이 내려지고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영조 2년(1726) 아산 현충사에 추가 배향되었다. 배위는 정부인 파평윤씨이며 현종 원년(1660) 10월 20일 별세하였다. 이완(李莞)의 종형제인 이봉(李菶, 율리공 이요신의 장남)의 차남 이지연(李之衍)이 양자로 입적하여 후사없이 전사한 강민공 이완의 대를 이었다.

전기 자료[편집]

  • 덕수이씨대종회 『德水李氏世譜』

각주[편집]

莞 字悦甫 一五七九年宣祖己卯四月十一日生 一五九九年 宣祖己亥 武科 嘉善大夫義州府尹 兼義州鎮管兵馬節制使 年十九隨叔父忠武公討倭立功 一六二四年仁祖甲子 以忠清兵使討平李适亂陞資移義州 一六二七年 仁祖丁卯 胡亂力戰中 正月十四日死之 亨年四十九 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悤管 諡「剛」「愍」公 守義不屈曰剛 使民悲傷曰愍命 旌間 配享于牙山顯忠祠命不祧之典 墓龍仁郡水枝面古基里道德洞庚坐 有表石 配貞夫人坡平尹氏 父尹僖 坡山府院君之任 五世孫一五八一年辛巳生▶一六六0年庚子十 月二十日卒▶墓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