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광역시의 무 형 문 화 재무 형 문 화 재 중에서 인천광역시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지정 목록[편집]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보유자 지정일 참조
1호 삼현육각
(三鉉六角)
인천 남동구 구월동 김석숭(남) 1985년 10월 23일 지정 [1]
2호 단소장
(短簫匠)
인천 인천전역 김환중(남) 1990년 11월 9일 지정 [2]
3호 인천근해 갯가노래 뱃노래
(仁川近海 갯가노래 뱃노래)
인천 인천전역 김병기(남), 김정숙(여) 1988년 12월 24일 지정 [3]
4호 대금정악
(大笒正樂)
인천 인천전역 진철호(남) 1989년 12월 28일 지정 [4]
5호 주대소리
(주대소리)
인천 인천전역 김필운(남) 1992년 5월 15일 지정 [5]
6호 대금장 인천 인천전역 임경배(남) 1993년 7월 6일 지정 [6]
7-1호 가곡(남창)
(歌曲(男唱))
인천 연수구 - 1995년 11월 14일 지정 [7]
7-2호 가곡(여창)
(歌曲(女唱))
인천 남구 김명순(여) 2006년 10월 30일 지정 [8]
8호 강화외포리곶창굿
(江華外浦里곶창굿)
인천 인천전역 정정애(여) 1997년 7월 14일 지정 [9]
9호 대금장(일반대금)
(大芩匠(一般大芩))
인천 인천전역 이정대 (남) 2002년 2월 4일 지정 [10]
10-1호 범패와작법무(바라춤)
(梵唄와 作法舞)
인천 남구 김종형(능화)(남) 2002년 2월 4일 지정 [11]
10-2호 범패와작법무(나비춤)
(梵唄와 作法舞)
인천 부평구 박치훈(일초)(남) 2002년 2월 4일 지정 [12]
11호 규방다례
(閨房茶禮)
인천 인천전역 최소연 (여) 2002년 12월 23일 지정 [13]
12호 강화용두레질소리
(강화용두레질소리)
인천 인천전역 황길범 (남) 2003년 10월 27일 지정 [14]
13호 자수장
(刺繡匠)
인천 인천전역 - 2003년 10월 27일 지정 [15]
14호 단청장
(丹靑匠)
인천 인천전역 정성길 (남) 2004년 4월 6일 지정 [16]
15호 인천수륙재
(仁川水陸齋)
인천 인천전역 박치훈(일초)(남) 2004년 4월 6일 지정 [17]
16호 인천근해도서지방상여소리
(仁川近海島嶼地方喪輿소리)
인천 인천전역 박상주 (남) 2006년 1월 23일 지정 [18]
17호 완초장
(莞草匠)
인천 남구 한명자 (여) 2008년 12월 15일 지정 [19]
18호 서곶들노래 인천 서구 2008년 12월 15일 지정 [20]
19호 갑비고차농악 인천 강화군 전내익 (남), 임명선 (남) 2008년 12월 15일 지정 [21]
20호 휘모리잡가 인천 서구 김국진 (남) 2008년 12월 15일 지정 [22]
21호 경기12잡가
(京畿 十二雜歌)
인천 남구 - 2009년 3월 30일 지정 [23]
22호 목조각장 인천 계양구 이방호 (남) 2009년 3월 30일 지정 [24]
23호 고법(북·장구)
(鼓法(북·장구))
인천 서구 조경곤 (남) 2013년 4월 30일 지정,
2019년 5월 7일 종목 명칭변경
[25]
24호 꽃맞이굿 인천 미추홀구 김매물 (여) 2013년 4월 30일 지정 [26]
25호 지화장
(紙花匠)
인천 중구 김은옥 (여) 2013년 4월 30일 지정 [27]
26호 부평두레놀이
(富平두레놀이)
인천 부평구 - 2015년 3월 16일 지정 [28]
27호 강화 교동 진오기굿
(江華 喬桐 진오기굿)
인천 강화군 주정자(여) 2019년 5월 7일 지정 [29]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