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폭형 핵분열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핵무기

핵무기의 역사
맨해튼 계획
핵전쟁
핵 군비 경쟁
핵무기 설계
핵실험
핵폭발의 영향
핵무기 운반
핵간첩
핵확산
핵무기 목록
핵 테러리즘

핵무기 보유국

미국 · 러시아
영국 · 프랑스
중국 · 인도 · 이스라엘
파키스탄 · 북한

v  d  e  h

증폭형 핵분열탄(增幅形 核分裂彈, Boosted fission weapon)은 수소폭탄내폭형 핵분열탄 사이의 단계와 파괴력을 가진다. 보통 40kt - 150kt 이상 정도이며 핵분열 과정을 통해서 고온을 만들고 핵융합을 일으키는 폭탄이다. 수소폭탄과 유사하지만 위력에서 다르다.

구조[편집]

중앙에 중수소와 삼중수소 혼합물이 위치하며 이를 플루토늄-239가 감싸고 있다. 이를 리튬-6이 둘러싸고 있다. 또 우라늄-238이 탬퍼로 작용하는데 리튬과 플루토늄-239와사이에는 진공이 존재하고 이는 고르게 압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폭발순서[편집]

먼저 외부의 고폭(고속/저속)이 폭발하면 충격파와 폭발력으로 보라색의 비분열성 우라늄-238(탬퍼) 이것은 구중심으로 압축된다.(진공은 압축을 고르게 해주는 역할)

임계질량 이하의 플루토늄-239 압축당하면서 원자간의 간격이 가깝게되고 자발중성자에 의해 연쇄반응이 시작되는데 미임계질량이라도 압축하면 임계에 도달하여 연쇄반응을 시작하게 된다.(내폭형 원자폭탄처럼)

구중심에 있는 중수소,삼중수소는 핵분열에 의해 고온(1천만도이상)에 이르게되어 핵융합을 시작한다.중수소+삼중수소는 핵융합(핵융합하면 헬륨-4 로 변환)을 하고남은 잉여중성자(80%)가 발생하는데 이 중성자 일부는 핵분열에이용되어 핵분열효율을 높인다. 자세한 핵분열 반응은 핵분열 문서를 참고할 것.

참고로 증폭핵분열탄은 핵융합을 이용하지만 어디까지나 거기에서 발생한 잉여 중성자를 이용하는 것이고 수소폭탄은 핵융합에너지기 핵폭발의 주가된다는점에서 차이는 존재한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