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오리콘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5년 전 (Drhyme님) - 주제: 연도별 오리콘 싱글 차트의 정리

연도별 오리콘 싱글 차트의 정리[편집]

안녕하세요. 개인이 판단할 만큼 작은 부분이 아니라서, 다른 편집자 님들의 의견을 구합니다. 제가 부디 기여자분들의 필명을 누락하지 않길 바랍니다만은, 근 반년정도간에 "연도별 오리콘 싱글 차트"를 꽤 비중있게 편집한 사람은 저를 제외하고 두 분 더 계십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 편집하는 편집자 셋은 전부 다른 포맷으로 편집을 하고 있기 때문에, 포맷을 결정지어 효율적인 문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의견 요청을 남기게 됩니다.

"연도별 오리콘 싱글 차트"는 현재 두 가지로 표현됩니다. 하나는 목록형 문서고, 다른 하나는 둘러보기 상자 이고, 둘러보기 상자는 또 두가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목록형 문서 (Anonyman390 님)

목록형 문서는 저 개인적으로는 정리된 감이 있다고 생각되며, 글이 쓰여있는 공간이 틀 공간이 아닌 일반 공간이기 때문에, 마치 도화지가 넓은 것처럼 목록을 표현하는데에 있어 제약이 적고 시원시원한 느낌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목록형 문서로 작성했을 경우에 이미 시행하고 있는 서구권 문서가 그렇듯, 둘러보기 상자가 없기 때문에 그 해의 다른 1위곡들을 보다 직관적으로 링크로 연결하는데에 애로사항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둘러보기 상자는 저와 Drhyme님이 생성하였고, 애석하게도 각각 형태가 다릅니다.

둘러보기 상자 (Drhyme 님)
둘러보기 상자 (Tablemaker)
  • 이미 Drhyme 님께서 생성하신 포맷이 있는데 저 개인이 다른 형태로 생성한 이유는,
    • 가장 큰 이유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일본어 곡을 표제어로 삼을때 번역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가수를 적지 않으면 번역된 곡명만 가지고 누구의 곡인지 절대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며,
    • 부차적으로 둘러보기 상자에서 사용되는 색상이 무슨 연유에서 하늘색인지, 또한 저 레이아웃이 이 차트 문서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인지에 대해서 개인적인 의문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가 만든 형태가 가장 합리적인 모양이라는 이야기는 아니고, 저 또한 이 부분의 표현엔 실패했다고 생각합니다.)
  • 제가 생성한 둘러보기는 세 개로, 틀:1968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틀:1969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틀:1989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입니다. (현재 생성된 것보다 개선된 안을 아래에 제시합니다.)
  • 색상은 오리콘의 로고에서 따왔습니다. 단, 1위가 지속적으로 바뀌면 둘러보기 상자가 걷잡을 수 없이 길어지는 형태적 치명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60년대와 89년을 만들었습니다만은, 현재 음반 소비자의 소비 형태가 저 시절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아마 21세기 이상의 문서에서 생성된다면 배 이상 길어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 개인은 비록 둘러보기 상자를 만들었고, 현재도 둘러보기 상자가 주는 메리트가 아직도.. 여전히 크다고 생각합니다만은, 요즘 이 안을 다시 놓고보니 목록형 문서쪽이 효율적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됩니다. 둘러보기 상자가 담아도 부담없는 양은 아닌 것 같고, 그런 정보도 아닌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조금 있습니다. 1년은 50주가 넘으니, 링크도 그에 준할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편집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쭤봅니다. 글이 길어진 점 죄송합니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1월 8일 (일) 02:32 (KST)답변

목록 문서와 상자 둘 다 남겨야겠습니다. 다만 제 생각으로는 Tablemaker님의 틀이 더 가독성이 좋아보이나, 너무 큽니다. 이걸 어떻게 줄일 수만 있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오리콘 위클리 차트이다 보니 틀이 좀 방대해지는 것 같기는 합니다.
간결하기는 다른 사용자분이 남기신 것이 더 좋기는 한 것 같은데 일단 그 Drhyme님의 포맷에서 Tablemaker님이 작성하신 틀 색깔을 대입하면 어떨까요. -- S.H.Yoon · 기여 · F.A. 2017년 1월 8일 (일) 16:11 (KST)답변
1989년 차트 둘러보기를 가지고 형태를 다시 잡아보았습니다. 2단락으로 구성되어있던 기존의 제 안을 4단락으로 쪼개 크기를 대폭 줄였습니다. 틀:1997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에 임의로 만들어 두었으니 이 방식에 관해서도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1월 9일 (월) 00:26 (KST)답변
@Tablemaker: 이제서야 봤네요. 전 97년도 틀이라면 괜찮다고 봅니다. 색도 최소화되어서 괜찮네요. -- S.H.Yoon · 기여 · F.A. 2017년 1월 22일 (일) 05:32 (KST)답변

둘러보기 상자는 관련 문서 하단에 삽입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Tablemaker님의 틀은 디자인이 과하고 정보가 너무 많아 오히려 방해가 되네요. 자세한 정보는 독립 문서로(표를 만들면 정렬 등도 가능합니다), 둘러보기 상자는 간단한 (시간순) 목록만 보였으면 합니다. Drhyme 님 틀도 굳이 월별로 묶어야 할까요? 그냥 풀고, 2-3주 연속으로 1등인 노래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보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7년 1월 10일 (화) 16:47 (KST)답변

@ChongDae: 혹 적절한 예시가 될 표가 존재하는지? 시간순 간단한 정렬이라고 해도 최대 52줄짜리 목록인데 50줄이 넘는 목록이며 날짜+곡명(+가수?)가 존재하므로 들어갈 키워드는 150개를 훌쩍 넘는데..이를 "간단히" 표현하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데요. 1997년 틀도 디자인이 과한 것인지? 구체적인 안을 좀 제시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손에 잡히지 않는 말씀이시기 때문에요 Tablemaker (토론) 2017년 1월 10일 (화) 20:45 (KST)답변
@ChongDae: 하신 말씀이 구체적으로 머릿속에 형태가 잡히는 것은 아니라 반은 알겠고 반은 모르겠습니다. 이해는 잘 안갑니다만은, 일단 이해한 상황 내에서 일단 수정했습니다. 말씀하실때 머릿속에 그리식 형태랑 물론 많이 다르리라 생각됩니다만은, 일단은 공유합니다. (사용자:Tablemaker/연습장6) 정보가 많다는 것이 무슨 정보가 많다는것인지는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날짜랑, 곡과 가수만 적혀있습니다. en:Template:Billboard Year-End number one singles 1946–1959과 같은 영어권 둘러보기 틀에서도 "년도", "곡명" "가수"를 기입합니다. 딱 그만큼만 적었는데 저로서는 납득이 잘 안갑니다. 최대한 간결하게 하려고 노력은 했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바꾼 형식은 infobox를 이용해서 만들었고, 뭔가 정리에 요긴하게 쓰일 다른 틀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좋겠군요. Tablemaker (토론) 2017년 1월 11일 (수) 04:15 (KST)답변
자세한 내용은 2003년 오리콘 1위 싱글 목록과 같은 목록 문서로 만드는게 좋아보입니다. (색깔 등으로 추가 정보를 넣을 수도 있을테고요.) 틀 문서는 최대한 간결하게 노래와 가수, 날짜 정도만 들어있게 하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7년 1월 11일 (수) 09:57 (KST)답변
@ChongDae: 네. 목록의 유용성을 말하는분이 꽤 있었기 때문에 만들예정입니다. 둘러보기엔 노래,가수,날짜 외의 것을 적은적도 없고, 적을 예정도 없습니다. 묻는것은 지금 말씀하신게, 현재 작성되어있는 모든 둘러보기 틀에 내용적 측면이 아닌 디자인에 관해 지적을 하셨고, 그 '방해가 된다'는 그 정도를 가늠키 힘들어 이야기하는 겁니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1월 11일 (수) 10:37 (KST)답변
@ChongDae, Tablemaker: 제가 1월에 훈련병 신분이여서 토론 내용을 2월 첫 주가 되어서야 봤습니다. 아니면, 제가 만든 틀에서 아래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도 되지 않을까요? 제목 (가수명, 날짜), 제목 (날짜, 가수명), 날짜 제목 (가수명) (원본 틀의 양식)
@Drhyme: 국방의 의무중이셨군요 ..... 몸 건강히 지내시길 바랍니다 (저는 병장 다되갈쯤에 된통 다쳤어서 ㅜㅜ) 제안하신 말씀이 이해가 잘 가지 않는데, 휴가 나오실때같이 시간 좀 많이 나실때 상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제안을 세개 하신것인지..요? 예시로 만들어주시면 일단 비교하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오리콘 관련 문서들이 많이 생성이 안된 편이고 걸음마 단계인지라, 아마 님께서 어느정도 위키활동을 재개하실 수 있을때까지는 지금과 상황이 많이 달라져있지는 않을 겁니다. 일단 저는 그나마 다른 사용자님들에게 의견을 물어 일부 긍정적이었던 평가였던 틀:1997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을 바탕으로, 아직 생성되지 않은 문서들을 만들 생각입니다. 기여자님께서 의견을 내실 시간이 충분히 마련되는 때까지 기다리겠으니, 그 때에 전혀 다른 두 틀의 스타일에 대해 고민해봅시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2월 25일 (토) 15:52 (KST)답변
@ChongDae, Tablemaker: 사용자:Drhyme/작업실/틀:작업방 4에 틀을 비교하기 쉽게 하나로 나열해봤습니다. 맨 위 틀은 S.H.Yoon 님의 말대로 제 포맷에 Tablemaker 님의 틀에서의 색상과 제목 표시를 반영한 것이고 나머지 두 개는 각각의 디자인을 반영한 2018년 오리콘 차트 틀입니다. --디라임(야단치거나 칭찬해줘요 · 업적(전체 · 생성) · 우체통) 2018년 5월 19일 (토) 14:29 (KST)답변
@ChongDae, Shyoon1: 토론이 진행 안 된지는 저의 마지막 글을 제외하고는 2년 2개월이 지난 것 같은데 틀은 어떤 식으로 하는 것이 좋을지...? 토론을 제안하신 Tablemaker 님의 사용자 문서를 보니까 현재 위키백과를 떠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토론을 하고나서부터의 싱글부터를 기입하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ㅠㅠ (이유는 토론 끝나고 그 양식에 따라 만들기 위해서...) --디라임(야단치거나 칭찬해줘요 · 업적(전체 · 생성) · 우체통) 2019년 4월 5일 (금) 09:41 (KST)답변

오리콘 → Oricon 문서 변경[편집]

타언어(일본어 제외)에서는 Oricon으로 문서의 제목을 정한 것 같은데 한국어 위키에서도 변경해야 되지 않을까요?--카리야진 (토론) 2017년 2월 17일 (금) 07:49 (KST)답변

@카리야진: 오리콘의 원어 사명이 Oricon이 아닌 오리콘 주식회사(オリコン株式会社)인데 바꿔야 할 필요가 있나요? Tablemaker (토론) 2017년 2월 17일 (금) 07:54 (KST)답변
@Tablemaker: 알려주신 건에 대한 생각인데요. 일본 국내에서만 オリコン 적용이고 국외에서는 Oricon 으로 하는 것 같은데요..--카리야진 (토론) 2017년 2월 17일 (금) 08:16 (KST)답변
@카리야진: 그 "도쿄증권거래소" 상장 회사를 다루는 사이트를 왜 링크해주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은, 일단 그 검색창에 オリコン, oricon을 검색해도 영문으로는 안나오는걸요. (제가 이 검색을 처음해봐서 그럴수도 있겠지만요) 그리고 결국 주장하시는 말씀이 "(어떤 회사든) 한 회사가 설립한 국가의 원어 표기는 고려하지않고, 결국 그 회사의 대외- 선전용 표기를 표제어로 삼자"는 것인지요? 그렇게 따지면 삼성 역시 국외(대한민국 외)에서는 SAMSUNG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표제어를 SAMSUNG으로 변경하자고 주장하시는 것인가요? 국외(국외라는 표현은 백:아님#국가때문에 이상합니다만은) 표기가 왜 중요한지는 전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Tablemaker (토론) 2017년 2월 17일 (금) 09:06 (KST)답변
@Tablemaker: 이미 넘겨주기 문서로 누군가에 의해서 이미 되어 있군요. 설득 당하지 않으셔도 동의하지 않으셔도 되요. 문서 변경에 대한 의논을 하고자 할 뿐이에요.--카리야진 (토론) 2017년 2월 17일 (금) 09:30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오리콘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7일 (금) 08:5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