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한명숙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2년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2월)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중요하지 않아 보였던 프로필[편집]

아래 내용을 문서에서 중요하지 않거나 중복되는 내용이 많아 이 곳으로 옮겼습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Nemonem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정치경력
  • 한국크리스천아카데미 간사 (1974~1979)
  • 크리스천아카데미 사건 구속 수감(1979~1981)
  •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 강사(1986~1987)
  • 성심여자대학교 여성학 강사(198~1994)
  • 한국여성단체연합 가족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1989)
  • 한국여성민우회 회장(1990~1994)
  •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이사(1992~)
  •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서울토론회 실행위원(1992~1996)
  • 방송바로세우기 시청자연대회의 공동대표(1993~1994)
  • 환경운동연합 지도위원(1993~1995)
  • 감사원 부정방지대책위원회 위원(1993~1995)
  • 환경처 환경보전실무대책위원회 위원(1993~1995)
  • 통일부 교류협력분과위원회 정책자문 위원(1993~1994)
  •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1993~1996)
  • 방송개혁국민회의 공동대표(1994~1995)
  •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초빙연구원(1996)
  • 새천년민주당 신당창당 발기인 준비위원회 조직위원회 부위원장(1999)
  • 새천년민주당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대본부 부본부장 및 여성위원장(2000)
  • 제16대 국회의원(2000~2001)
  • 여성부 장관(2001~2003)
  • 환경부 장관(2003~2004)
  • 열린우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2004)
  • 제17대 국회의원(2004~)
  • 한국아동·인구·환경의원연맹(CPE) 회장 (2004~2006)
  • 가정법원 가사소년제도개혁위원회 위원장(2004~2005)
  • 열린우리당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회 위원[2004.7)
  •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2004~2005.1)
  •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자문위원[2004.8)
  • 열린우리당중국의고구려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위원[2004.8]
  • 광복 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2005.1]
  • 열린우리당 국정과제추진특별위원회 회장(2004.5~2005.5)
  • 열린우리당 당혁신위원회 위원장(2005.4~7)
  • 대법원장임명동의에관한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2005.9.8~9.9)
정당활동
  • 새천년민주당 신당창당 발기인 준비위원회 조직위원회 부위원장(1999)
  • 새천년민주당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중앙선대본부 부본부장 및 여성위원장(2000)
  • 새천년민주당 여성위원장
  • 열린우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제16대 국회의원의정활동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국회 여성특별위원회 위원
  • 국회 한/이란 의원친선협회 부회장
  • 국회 한/일 의원연맹 간사
  • 국회 한국아동환경인구연맹(CPE) 이사
  • 국회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
  • 새시대전략연구소 회원
  • 모성보호관련 3법 개정안 제출(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2000)
  • 헌법재판소 소장 및 재판관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2000.9)
  • 호주제폐지를 위한 청원서 소개(2000.9)
  • 2000년도 국정감사 베스트 의원 선정(뉴스메이커)
  • 2000년도 국정감사 베스트 의원 선정(문화일보)
  • 2000년도 국정감사 베스트 의원 선정(국감연대)
  • 2000년도 국감스타 5인 선정(월간 말)
  • 법률연맹 국감모니터단 선정 국감우수 의원(법률연맹)
국제 활동
  •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에 관한 제3차 토론회 참석(평양)(1992)
  • 북경 세계여성대회 NGO대표 참석(중국 베이징)(1995)
  • 제104회 IPU총회 참석(인도네시아 쟈카르타)(2000.10)
  • 국회 아동 인구/인구/환경 연맹 APPCED 8차 회의 환경관련 국가보고서 발표(인도)(2000.11)
  • 한/중/일 여성장관회의 참가(중국 베이징)(2001.3)
  • 제45차 국제 연합 여성지위위원회 한국수석대표 참가 기조연설(뉴욕 UN본부)(2001.3)
  • 한/중/일 동북아 여성지도자 회의 - 여성선언 채택(서울)(2001.5)
  • 세계인종차별철폐회의 참가(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2001.9)
  • 제2회 아동성착취 반대 세계회의 참가(일본 도쿄)(2001.12)
  • 제46차 국제 연합 여성지위위원회 한국수석대표 참가 기조연설(뉴욕 UN본부)(2002.3)
  • 제2회 아동특별총회 참가(뉴욕 국제 연합 본부)(2002.5)
  • [21세기 아시아와 일본]심포지움 참가 및 기조연설(일본 요코하마)(2002.5)
  • APEC 여성장관회의 기조연설(멕시코 과달라하라)(2002.9)
  • 제11차 국제 연합 지속가능개발위원회 회의 한국수석대표 참가 및 기조연설(뉴욕 UN본부)(2003.4)
  • 노무현 대통령 중국국빈방문 수행(중국 베이징)(2003.7)
  • 파나마 독립 100주년 기념 경축 대통령 특사(파나마)(2003.11)
  • 기후변화협약 고위급 회의 한국수석대표/세계여성환경장관간담회 참석(이태리 밀라노)(2003.12)
  • 제5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중국 베이징)(2003.12)
  • 한일의원연맹 회장단 부회장자격으로 방일(訪日)(2004.8)
  • 제11차 아시아태평양환경개발의원회의(APPCED)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제5대집행위원장 선출(2004.8)
  • 한일포럼 참가 방일(訪日)(2004.9)
  • '군소도서개도국(SIDS)의 지속가능발전을위한 UN국제회의'에 정부수석대표자격으로 참가 (모리셔스)(2005.1)
초대 여성부 장관
  • 여성부 남녀차별개선위원회 위원장
  • 21세기 남녀평등헌장 제정(2001.7)
  •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출범(2001.7)
  • 남녀평등의식제고를 위한 고위공직자 특별강연(2001.7)
  • 모성보호관련3법 대통령 서명식(2001.8)
  • 여성부 청사 어린이집 개원(2002.4)
  • 2002 FIFA 월드컵 홈스테이 참여-일본 언론인 초청(2002.6)
  • 여성신직업페스티벌 개최(2002.9)
  • 경향이 뽑은 한국의 얼굴 55인 빛나는 ‘동방의별’ 선정(2002.10)
  • 여성사 전시관 개관(2002.12)
초대 여성부 장관 시기 주요업적
  • 여성발전기본법 개정
  • 여성채용 불평등 기업에 대한 여성부의 직권조사 강화
  • 각부처 ‘여성정책 책임관’ 도입
  • 여성정보종합 Women-NET 구축
  • 영/유아 보육 및 방과후 보육정책 수립
  • 긴급전화 1366 개설
환경부 장관
  • 세계물의날 행사 개최(2003.3.22)
  • 환경의날 행사 개최(2003.6)
  • 주한EU상공회의소 특강(2003.6)
  • 맨스필드재단 국제회의 참가 및 기조연설(2003.8)
  • 녹색나눔장터 개최 (2003.9)
  • 수도권매립지 드림파크 음악회 개최 후원(2003.10)
  • 지상최대 벼룩시장 후원(2003.11)
  •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안」,「백두대간보호에관한법률」 「야생동식물 보호법」등 제정(2003.12)
  • 장관리더쉽평가 1위 선정 (중앙일보, 2003.12)
  • 정부업무평가 최우수 부처로 선정 (2003.12)
국무 총리
  • 2006. 04. 20 제37대 국무총리 취임
  • 2006. 06. 20 저출산, 고령화대책 연석회의사회협약체결
  • 2006. 09. 29 여수세계박람회CI선포식
  • 2006. 10. 17 한·러 총리회담 (협정서명, 공동기자회견)
  • 2006. 11. 08 제1차 한·아프리카 포럼. 정상회담
  • 2007. 02. 15 평창동계올림픽유치 IOC 현지실사단 공식 환담.
  • 2007. 03. 07 제37대 국무총리 이임.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Nemonemo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혼자 좋아서 기록 남깁니다.[편집]

제가 위키백과에 참여하게 된 이유가 되었고, 지금까지 가장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던 내용의 대부분이 브레이크뉴스의 기사[1]에서 인용되었습니다. 기쁩니다. --Nemonemo (토론)

한명숙 최신 인터뷰[편집]

"노 대통령이 세상을 놓은 심정과 내 심정 똑같다". Komitsuki (토론) 2010년 12월 28일 (화) 20:44 (KST)답변

한명숙 전 총리의 출생지가 어째서 일본입니까?[편집]

한명숙 전 총리가 아무리 일제 강점기 시절에 태어났지만 출생지가 평안남도인데 어찌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되어 일본국기가 표시되어있는 것입니까? 식민지였지만 이 곳은 대한민국입니다. 그래서 대한민국 평안남도로 편집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출생지는 출생 당시의 행정구역을 따릅니다. 1944년에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건국조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대한민국' 표기는 잘못되었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9월 9일 (금) 17:48 (KST)답변

출처와 이것저것 엉망인데[편집]

2심 유죄 판결이 뜨면서, 편집하러 찾아왔는데.. 출처들이 엉망인 부분이 많네요. 링크가 열리지도 않는 것들도 많고. 중복되어 있는것도 보이고. 너무 길어서 편집할 엄두도 잘 안나네요. 시간나면 정리 시도해 보겠지만, 이전분들이 너무 막 편집하신듯한 느낌이. Kipacti (토론) 2013년 9월 16일 (월) 16:04 (KST)답변

새로 의견을 다실때에는 맨 밑에 작성해주세요. 차근차근 편집해나가면 되겠죠...ㅎ--아드리앵 (토·기) 2013년 9월 16일 (월) 16:08 (KST)답변

"간첩 출신인 남편"에서 "간첩" 어쩌구 뺐습니다. ref를 명확히 달아놓고 간첩이라고 주장하시길. 찾아보니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되어 실형을 선고받고 13년 동안 복역하다가 1981년 출소" 더군요. 박정희 시절이고... 박성준 (1940년) 여기도 출처가 없네요. 추가로 년, 월일마다 내부링크 넣은것도 대부분 뺐습니다. 내부링크가 너무 많아서 지저분해 보이네요. 생년월일 정도에만 있으면 된다고 봅니다. Kipacti (토론) 2013년 9월 16일 (월) 16:26 (KST)답변

조선일보의 일주일 이전 기사는 로그인 이후, 결제 이후에만 전체 열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기사가 많네요. ref 달 때 조선을 피하거나 네이버, 다음쪽에 넘어간 기사 링크를 거는것이 더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Kipacti (토론) 2013년 9월 16일 (월) 16:28 (KST)답변

동아 기사[1]가 삭제되어서 ref 지웁니다. Kipacti (토론) 2013년 9월 16일 (월) 16:30 (KST)답변

굳이 여기에 일일이 남길 필요 없이 편집요약을 통해서 알려주셔도 됩니다. 좋은 편집 부탁드립니다^^--아드리앵 (토·기) 2013년 9월 16일 (월) 16:31 (KST)답변


범죄인 분류 요건 미비[편집]

1.적법한 절차에 따라 대한민국의 법원에서 특정강력범죄 또는 그보다 중한 범죄(내란죄 등)를 저지른 것으로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1] 2.위키백과에 등록된 주요한 이유가 '범죄'인 사람. 3.해당 인물의 활동 중 '범죄'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람. 판단이 애매할 경우에는 개별 토론을 통해 결정한다.

위키백과 문서에 의하면 뇌물 정치자금법 위반이라고 하는바 그렇다면 1번 해당하지 않고 전직 국무총리와 국회의원을 지낸 유력한 분으로서 2)번에도 해당하지 않고 그렇다면 3)번도 당연히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보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아 논의의 여지없이 삭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이나 일단 토론 주제 올립니다.(앞서 토론내용이 없는 관계로 우선 그 부분은 삭제합니다. 제가 편집한 부분을 되돌리실 분은 제가 제시한 의견에 대한 반론을 제기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Backtothe (토론)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11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명숙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11월 3일 (일) 01:25 (KST)답변

검찰에 의한 무고사건[편집]

2015년 5월 26일 보도된 사건으로 인해 한명숙 총리에게 내려진 유죄 선고가 서울시 공무원 간첩조작사건과 동일하게 검찰의 소행이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부분이 전혀 기입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관심 부탁드립니다. - Ellif (토론) 2020년 6월 16일 (화) 17:57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명숙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7월 24일 (금) 14:28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5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명숙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5월 8일 (토) 12:05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2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한명숙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2월 23일 (수) 00:4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