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팔괘
후천도




 



선천도




 



육십사괘
상경 (1-30)
하경 (31-64)
주 문왕(周文王)의 후천팔괘.도(後天八卦圖)

팔괘(八卦)는 배달국에서 유래한 동아시아(易)과 관련된 기호체계이다. 이 팔괘중 사괘는 태극기에도 사용되었다. 팔괘도는 고구려무덤 벽화에도 사용되었다.

64 quẻ
팔괘
이름 표상 자연 성정 가족 선천방위 후천방위 동물 신체부위 기관 오행 이진법 유니코드
건(乾) 하늘(天) 굳셈(健) 아버지 서북 머리 111 U+2630
태(兌) (澤) 기쁨(悅) 소녀 동남 허파 110 U+2631
이(離) (火) 고움(麗) 중녀 쓸개 101 U+2632
진(震) 번개(雷) 움직임(動) 장남 동북 심장 나무 100 U+2633
손(巽) 바람(風) 듦(入) 장녀 서남 동남 넓적다리 나무 011 U+2634
감(坎) (水) 빠짐(陷) 중남 돼지 콩팥 010 U+2635
간(艮) (山) 그침(止) 소남 서북 동북 001 U+2636
곤(坤) (地) 순함(順) 어머니 서남 비장 000 U+2637

진손[편집]

離震乾
艮 兌
坤巽坎

곤건[편집]

艮坤震
坎 離
巽乾兌

효(爻)[편집]

효는 역(易)의 괘(卦)를 나타내는 가로 그은 획 하나를 가리킨다. ‘⚊’을 양(陽)으로 하고 ‘⚋’을 음(陰)으로 하며 따라서 괘(卦) 하나는 세개의 효로 이루어진다.

역경 64괘에서는 2개의 괘가 위와 아래로 연결되어 1괘를 이루고 따라서 이러한 괘는 총6개의 효를 갖게된다. 이때 밑에서부터 세어 초효(初爻), 이효(二爻)라고 하고, 맨 위 여섯 번째의 것을 상효(上爻)라고 한다.


한편 주역이 효(爻)를 아래에서부터 순서매기는 관례에 따른 이진법표기는

000 100 010 110 001 101 011 111

이된다.

이진법에서도 마찬가지로 ‘⚋’을 '0'으로 ‘⚊’을 '1'로 하여 밑에서부터 세어준다.

대성괘와 소성괘[편집]

대성괘(大成卦)는 상괘와 하괘로 이루어진 총6효를 갖는 괘로 총64괘이다. 주역의 괘이다. 중괘(重卦)라고도 한다.[1]

소성괘(小成卦)는 총3개의 효로 이루어진 괘로 팔괘중 하나씩 총8개를 이룬다. 대성괘에 대해서 팔괘의 괘들을 일컬을 때 부른다. 각각 상괘(上卦)와 하괘(下卦)로 불리기도 한다.[2]

감괘[편집]

갑골문자의 물 수(水) 물 수(水)의 의미를 갖는 감(坎)괘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주역사전)정약용
  2. (주역사전)정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