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호의동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의동승(好意同乘)이란 자동차의 운행자가 대가를 받음없이 호의에 의해 동승케 하는 것으로 직장 출근시 지인을 태우고 출근하는 경우나 마을 어귀에서 만난 동네 어른을 태우고 운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1]

손해배상책임[편집]

음주및 졸음상태의 운전자가 모는 차량에 호의동승으로 타고 가다 사고를 당했다면 본인에게도 5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있었다.[2]
남자 친구가 운전하는 차를 호의동승으로 타고 가다, 상대방 가해 차량에 의해 사고를 당했다면 동승자 책임이라는 판결도 있다.[3]

판례[편집]

  • 호의동승 사실 그 자체를 운행자의 책임을 부정하거나 감경의 사유로 볼 수 없다고 한다[4].
  • 함께 술을 마신 조카를 태우고 가다 사고가 난 사안에서, 동승자의 과실을 고려하여 손해배상액을 50% 감액하였다[5]
  • 차량의 운행자가 아무런 대가를 받지 아니하고 동승자의 편의와 이익을 위하여 동승을 허락하고 동승자도 그 자신의 편의와 이익을 위하여 그 제공을 받은 경우 그 운행 목적, 동승자와 운행자의 인적관계, 그가 차에 동승한 경위, 특히 동승을 요구한 목적과 적극성 등 여러 사정에 비추어 가해자에게 일반 교통사고와 동일한 책임을 지우는 것이 신의법칙이나 형평의 원칙으로 보아 매우 불합리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그 배상액을 경감할 수 있으나, 사고 차량에 단순히 호의로 동승하였다는 사실만 가지고 바로 이를 배상액 경감사유로 삼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6]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양창수, 호의동승자에 대한 자동차 보유자의 배상책임"-외국의 예", 황적인박사화갑기념논문집, 290면.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