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환경 빅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경 빅딜은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자치단체간의 협상을 통해 지역 이기주의인 이른바 님비(NIMBY) 현상과 입지선정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관한 정책용어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라고 할 수 있다.

사례[편집]

  • 대한민국 최초의 환경 빅딜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두 자치단체인 서울특별시 구로구경기도 광명시가 광명시의 자원회수시설과 서울시의 하수처리장을 공동으로 이용하기로 2000년 4월 18일에 맺은 협약이다.[1]

각주[편집]

  1. 김명수; 김병호 (2000년 4월 18일). “서울-광명시 `환경 빅딜' 성사”. 매일경제. 2019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