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2024년 북서태평양 열대저압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에서는 2024년에 발생하는 열대저압부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이전
2023년
열대저압부 정보
2024년
다음
 2025년 

활동중인 열대저압부[편집]

활동한 열대저압부[편집]

발달한 열대저압부[편집]

제1호 태풍 에위니아[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2등급 태풍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26일 ~ 5월 31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2m/s
JMA 35m/s (70kt)
태풍 피해 사망 6명
재산피해 790만 달러

2024년 제1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5월 26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남동쪽 약 1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동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5월 28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62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36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동진하면서 건조 공기와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5월 31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에위니아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의 신을 의미한다.

제2호 태풍 말릭시[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저기압 (SSHS)
위성 화상 이동 경로
활동 기간 5월 31일 ~ 6월 1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2호 태풍 말릭시(MALIKSI)5월 31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홍콩 남서쪽 약 3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북동진하였고, 6월 1일 12시에 중심기압 1002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중국 광둥성 양장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광둥성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약화되어서 6월 1일 15시에 중국 홍콩 서북서쪽 약 1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말릭시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빠름을 의미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