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4G LTE 침투율에 따른 나라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4G LTE 침투율에 따른 나라 목록이다.

아래는 2017년 1, 2, 3월 OpenSignal.com이 측정한 4G LTE 커버리지에 따른 나라/영토 목록이다.[1]

순위 나라/영토 침투율
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96%
2 일본의 기 일본 93%
3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87%
4 미국의 기 미국 87%
5 홍콩의 기 홍콩 86%
6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86%
7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85%
8 스웨덴의 기 스웨덴 84%
9 헝가리의 기 헝가리 84%
10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83%
11 핀란드의 기 핀란드 83%
12 쿠웨이트의 기 쿠웨이트 83%
13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82%
14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82%
15 인도의 기 인도 82%
16 카타르의 기 카타르 81%
17 캐나다의 기 캐나다 81%
18 체코의 기 체코 80%
1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79%
20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79%
21 덴마크의 기 덴마크 78%
22 태국의 기 태국 76%
23 바레인의 기 바레인 76%
24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 75%
25 슬로베니아의 기 슬로베니아 75%
26 스위스의 기 스위스 74%
27 벨기에의 기 벨기에 74%
28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73%
29 스페인의 기 스페인 72%
30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72%
31 조지아의 기 조지아 72%
32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71%
33 브루나이의 기 브루나이 70%
34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70%
35 멕시코의 기 멕시코 69%
36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68%
37 페루의 기 페루 67%
38 오만의 기 오만 67%
39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67%
40 파나마의 기 파나마 67%
41 사우디아라비아의 기 사우디아라비아 66%
42 그리스의 기 그리스 66%
43 영국의 기 영국 66%
44 레바논의 기 레바논 65%
45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65%
46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64%
47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64%
48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64%
49 폴란드의 기 폴란드 63%
50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63%
51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63%
5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63%
53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62%
54 요르단의 기 요르단 62%
55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61%
56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61%
57 모로코의 기 모로코 61%
58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59%
59 러시아의 기 러시아 59%
60 독일의 기 독일 59%
61 프랑스의 기 프랑스 58%
62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58%
63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58%
64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58%
65 이란의 기 이란 57%
66 칠레의 기 칠레 57%
67 튀니지의 기 튀니지 56%
68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56%
69 도미니카 공화국의 기 도미니카 공화국 56%
70 브라질의 기 브라질 55%
71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53%
72 필리핀의 기 필리핀 53%
73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49%
74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42%
75 스리랑카의 기 스리랑카 40%
76 네팔의 기 네팔 40%

2016년 11월 순위[편집]

다음은 2016년 11월 OpenSignal.com이 측정한 4G LTE 커버리지에 따른 나라/영토 목록이다.[2]

순위 나라/영토 침투율
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96%
2 일본의 기 일본 92%
3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85%
4 홍콩의 기 홍콩 84%
5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84%
6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83%
7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82%
8 쿠웨이트의 기 쿠웨이트 82%
9 스웨덴의 기 스웨덴 81%
10 미국의 기 미국 81%
11 카타르의 기 카타르 81%
12 헝가리의 기 헝가리 80%
1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79%
14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78%
15 핀란드의 기 핀란드 76%
16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 76%
17 캐나다의 기 캐나다 75%
18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75%
19 중국의 기 중국 74%
20 바레인의 기 바레인 74%
21 슬로베니아의 기 슬로베니아 74%
22 체코의 기 체코 73%
23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73%
24 인도의 기 인도 72%
25 스위스의 기 스위스 71%
26 덴마크의 기 덴마크 71%
27 벨기에의 기 벨기에 70%
28 태국의 기 태국 70%
29 스페인의 기 스페인 67%
30 페루의 기 페루 67%
31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66%
32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66%
33 조지아의 기 조지아 65%
34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 65%
35 브루나이의 기 브루나이 64%
36 멕시코의 기 멕시코 64%
37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64%
38 사우디아라비아의 기 사우디아라비아 63%
39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63%
40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63%
41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63%
42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63%
43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62%
44 오만의 기 오만 62%
45 파나마의 기 파나마 62%
46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61%
47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 61%
48 모로코의 기 모로코 60%
49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60%
50 그리스의 기 그리스 60%
51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59%
52 요르단의 기 요르단 58%
53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58%
54 영국의 기 영국 58%
55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58%
56 칠레의 기 칠레 58%
57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58%
58 독일의 기 독일 57%
59 폴란드의 기 폴란드 57%
60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57%
61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55%
62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54%
63 브라질의 기 브라질 54%
64 튀니지의 기 튀니지 54%
65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 53%
66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53%
67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53%
68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53%
69 도미니카 공화국의 기 도미니카 공화국 52%
70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52%
71 프랑스의 기 프랑스 49%
72 러시아의 기 러시아 49%
73 이란의 기 이란 48%
74 필리핀의 기 필리핀 45%
75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43%
76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42%
77 레바논의 기 레바논 41%
78 스리랑카의 기 스리랑카 40%

2015년 Q4 순위[편집]

다음은 2015년 Q4에 OpenSignal.com이 측정한 4G LTE 커버리지에 따른 나라/영토 목록이다.[3]

순위 나라/영토 침투율
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97%
2 일본의 기 일본 90%
3 홍콩의 기 홍콩 86%
4 쿠웨이트의 기 쿠웨이트 85%
5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84%
6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83%
7 미국의 기 미국 81%
8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 81%
9 헝가리의 기 헝가리 79%
10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79%
11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79%
12 카타르의 기 카타르 79%
13 스웨덴의 기 스웨덴 79%
14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78%
15 아랍에미리트의 기 아랍에미리트 76%
16 중국의 기 중국 76%
17 캐나다의 기 캐나다 76%
18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75%
19 핀란드의 기 핀란드 75%
2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75%
21 슬로베니아의 기 슬로베니아 73%
22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71%
23 덴마크의 기 덴마크 70%
24 스위스의 기 스위스 69%
25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67%
26 페루의 기 페루 66%
27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66%
28 벨기에의 기 벨기에 66%
29 요르단의 기 요르단 65%
30 체코의 기 체코 65%
31 사우디아라비아의 기 사우디아라비아 65%
32 조지아의 기 조지아 64%
33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64%
34 볼리비아의 기 볼리비아 61%
35 멕시코의 기 멕시코 61%
36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61%
37 폴란드의 기 폴란드 61%
38 모로코의 기 모로코 60%
39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60%
40 스페인의 기 스페인 59%
41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59%
42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58%
43 그리스의 기 그리스 57%
44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 57%
45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 57%
46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 57%
47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57%
48 태국의 기 태국 56%
49 독일의 기 독일 56%
50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55%
51 러시아의 기 러시아 55%
52 오만의 기 오만 54%
53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54%
54 도미니카 공화국의 기 도미니카 공화국 53%
55 영국의 기 영국 53%
56 브라질의 기 브라질 53%
57 이란의 기 이란 52%
58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52%
59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51%
60 프랑스의 기 프랑스 51%
61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50%
62 인도의 기 인도 49%
63 칠레의 기 칠레 47%
64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44%
65 필리핀의 기 필리핀 43%
66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41%
67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 41%
68 스리랑카의 기 스리랑카 39%

2015년 Q3 순위[편집]

다음은 2015년 Q3에 OpenSignal.com이 측정한 4G LTE 커버리지에 따른 나라/영토 목록이다.[4]

순위 나라/영토 침투율
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97%
2 일본의 기 일본 90%
3 홍콩의 기 홍콩 86%
4 쿠웨이트의 기 쿠웨이트 86%
5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84%
6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 84%
7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81%
8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80%
9 바레인의 기 바레인 79%
10 미국의 기 미국 78%
11 스웨덴의 기 스웨덴 78%
12 중국의 기 중국 76%
13 카타르의 기 카타르 75%
14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74%
15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74%

2013년 순위[편집]

다음은 2013년 주니퍼 네트웍스가 측정하고 블룸버그가 출판한 4G LTE 커버리지에 따른 나라 목록이다.[5][6]

순위 나라/영토 침투율
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86.0%
2 일본의 기 일본 21.3%
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21.1%
4 미국의 기 미국 19.0%
5 스웨덴의 기 스웨덴 14.0%
6 캐나다의 기 캐나다 8.0%
7 영국의 기 영국 5.0%
8 독일의 기 독일 3.0%
9 러시아의 기 러시아 2.0%
10 필리핀의 기 필리핀 1.0%
11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The State of LTE (June 2017)”. 《opensignal.com》. 2017년 9월 11일에 확인함. 
  2. “The State of LTE (November 2016)”. 《opensignal.com》. 2017년 2월 25일에 확인함. 
  3. https://opensignal.com/reports/2016/02/state-of-lte-q4-2015/
  4. http://opensignal.com/reports/2015/09/state-of-lte-q3-2015/
  5. “Countries With the Most 4G Mobile Users: Top 10 Nations - Bloomberg”. bloomberg.com. 2014년 4월 29일에 확인함. 
  6. “Mapping out the world’s LTE coverage (It’s in fewer places than you think) — Tech News and Analysis”. gigaom.com. 2018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9일에 확인함.